DOI QR코드

DOI QR Code

Management Strategy For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Several Functional Ingredients

두 가지 이상 기능성원료를 복합하여 함유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안전 관리 방안

  • Kim, Ji Y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 Kwon, Oran (Department of Nutritional Science and Food Management, Ewha Womans University)
  • 김지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공학과) ;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2.10.18
  • Accepted : 2012.11.1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atabase for items reported t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 for manufactured health/functional food during 2010. There were 183 health functional food products manufactured in domestic having over 2 functional ingredients (hereinafter,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among total 7319 products. Among 183 products, there were 177 products having over two kinds of functional ingredient and 6 products were over 3 ingredients. The most commonly use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were Garcinia cambogia extracts which were used in 41 products, Octacosanol and Saw Palmetto extract. When we searched the safety information for the pair of ingredients used in combinational health functional food using several database, there were no reports for safety concern. However, as there are still safety concerns when intake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at once, we suggested to enforce the reporting system of adverse event in order to strength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With these complement, the safety management of health functional food might be achieved including a combinational products.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제품에 여러 기능성 원료를 복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실태를 파악 및 분석하고 이들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문헌조사를 토대로 복합건강기능식품의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식약청에 품목제조신고되어 있는 database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이 되는 제품은 총 7319개의 제품 중 "복합 건강기능식품"으로 파악된 제품의 개수는 183개 제품이었으며 이들 제품 중 기능성 원료를 2개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총 177제품, 3가지 이상의 기능성 원료를 함유하고 있는 제품은 모두 6개 제품이 있다. 183개 복합건강기능식품에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을 순위별로 나열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능성 원료가 가르시니아캄보지아로서 41개 제품에서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옥타코사놀"과 "쏘팔메토열매추출물"이 가장 많은 빈도로 제조되고 있었다. 복합건강기능식품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들의 pair를 사용하여 안전성 정보를 검색한 결과 현재 복합 사용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에서의 안전성 우려사항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섭취에 대한 안전선 우려는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이를관리하기 위해서는 부작용에 대한 조기 시그날을 감지하기 위한 부작용 모니터링 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근에 개정된 건강기능식품법 시행규칙의 원활한 시행을 통해 복합 건강기능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청, 미국 Dietary supplement의 안전성 평가 체계,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industry/(2007).
  2.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및 기준규격 인정에 관한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34호).
  3.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식품의 약품안전청 고시 제2011-68호).
  4.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안전성평가 해설서 (사례 중심),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5.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공전 해설서,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6. 질병관리본부, 2008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차년도, (2009).
  7.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안전관리 연구 (09081영기안093), (2009).
  8.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원료정보,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12).
  9.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표시.광고 가이드라인,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industry/ (2008).
  1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rning on Hydroxycut products. Available from: http://www.fda.gov/ForConsumers/Consumer Updates/ucm152152.htm (2009).
  11. Dara, L., Hewett, J., Lim, J., Hydroxycut hepatotoxicity: A case series and review of liver toxicity from herbal weight loss supplement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4, 6999-7004 (2008). https://doi.org/10.3748/wjg.14.6999
  12. Shim, M., Saab, S., Severe hepatotoxicity due to hydroxycut: A case report,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54, 406-408 (2009). https://doi.org/10.1007/s10620-008-0353-4
  13. Park. K., Kwon, O., The state of adverse event reporting and signal generation of dietary supplements in Korea,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57, 74-77 (2010). https://doi.org/10.1016/j.yrtph.2009.12.011
  14. 식품의약품안전청,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 사례 수집 현황, Available from: http://www.foodnara.go.kr/hfoodi/ (2012).
  15.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Dietary Supplement and Nonprescription Drug Consumer Protection Act (Public Law 109-462).
  16. Frankos, V., Stree, D., O'Neill, R,, FDA regulation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quirements regarding adverse event reporting,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 87, 239-244 (2010). https://doi.org/10.1038/clpt.2009.263
  17. 보건복지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보건복 지부령 제142호).

Cited by

  1. Effect of Black Garlic and Herb Formulas on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Status in Rats by Interval Running Training vol.23, pp.12, 2013, https://doi.org/10.5352/JLS.2013.23.12.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