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금주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6초

음주와 치주질환간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Periodontal disease)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95-1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에서 알코올 소비와 치주질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4,328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치주질환은 지역사회치지수를 이용하였다. 참조군은 비음주이며, 성별, 연령, 교육, 당뇨를 공변량으로 하여 음주경험, 음주빈도, 음주량, 음주 시작연령, 음주기간에 대한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30세이상 성인의 음주상태에 따른 치주질환 위험은 비음주군에 비해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이 7잔 이상인 경우에서 1.39배(95% CI=1.01-1.90) 위험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폭음빈도, 음주량, 음주기간이 증가할수록 치주질환 위험에 대한 용량-반응관계가 나타났다. 음주는 치주질환의 잠재적인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치과 의료인은 음주를 하는 경우 더 높은 치주질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금주와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하도록 권고해야 할 것이다.

활동성 결핵의 중증도 및 병변 부위에 따른 전혈 인터페론 감마 분비능 측정의 민감도 (Sensitivity of Whole-Bloo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the Location of Disease in Patients with Active Tuberculosis)

  • 김이영;이재희;이윤지;이소연;이용훈;최금주;황보엽;차승익;박재용;정태훈;박준식;김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2호
    • /
    • pp.125-131
    • /
    • 2011
  • Background: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M.$ $tuberculosis$ infection ranges from asymptomatic latent infection, to focal forms with minimal symptoms and low bacterial burdens, and finally to advanced tuberculosis (TB) with severe symptoms and high bacillary loads. We investigated the diagnostic sensitivity of the whole-bloo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according to the wide spectrum of clinical phenotypes. Methods: In patients diagnosed with active TB that underwent $QuantiFERON^{(R)}$ (QFT) testing, the QFT results were compared with patients known to be infected with pulmonary tuberculosis (P-TB) and extra-pulmonary TB (EP-TB).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QFT test were further analyzed according to the radiographic extent of disease in patients with P-TB and the location of disease in patients with EP-TB.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verall distribution of QFT results between 177 patients with P-TB and 84 patients with EP-TB; the positive results of QFT test in patients with P-TB and EP-TB were 70.1% and 64.3%, respectively. Among patients with P-TB, patients with mild extents of disease showed higher frequency of positive results of QFT test than that of patients with severe form (75.2% vs. 57.1%, respectively; p=0.043) mainly due to an increase of indeterminate results in severe P-TB. Patients with TB pleurisy showed lower sensitivity by the QFT test than those with tuberculous lymphadenitis (48.8% vs. 78.8%, respectively; p=0.019). Conclusion: Although QFT test showed similar results between overall patients with P-TB and EP-TB, individual sensitivit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radiographic extent of disease in P-TB and the location of disease in EP-TB.

임신 중 모체와 신생아 제대 혈청의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 변화 (A Change of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during Pregnancy)

  • 이금주;장혜미;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15-622
    • /
    • 2005
  • Folate and Vitamin $B_{12}$ are essential nutrients important during pregna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late and vitamin $B_{12}$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umbilical cord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recall (3 times).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umbilical cord of 27 pregnant women at 1'st-, 2'nd-, 3'rd-trimester and delivery were measured by RIA (radioimmuno assay), respectively. Means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take were $283.53\pm58.01{\mu}g/day\;and\; 2.99\pm1.32mg/day$, respectively. Maternal mean serum folate levels of the trimester and delivery were $9.75\pm3.60ng/ml,\;10.46\pm4.63ng/ml,\;10.71\pm4.14ng/ml\;and\;15.05\pm7.04ng/ml$. Those materna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blood $(23.99\pm9.42ng/ml)$. Serum vitamin $B_{12}$ levels of maternal trimester and delivery were $479.07\pm137.56 pg/ml,\;310.96\pm137.56pg/ml,\;308.22\pm74.65pg/ml,\;and\;295.67\pm93.36pg/m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500.13\pm185.60ng/ml)$.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uptake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 the fetus may be due to an active placental transport mechanism. Maternal serum level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showing that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might be affected by maternal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folate levels in maternal-umbilical cord blood and the pregnancy outcomes. However, maternal vitamin $B_{12}$ level at l'st trimester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stational age except for birth weight and weight gain.

경기도지역 송이버섯 분포 및 식생환경조사 (Survey on distribution and vegetation environment of Tricholoma matsutake in Kyonggi province, Korea)

  • 하태문;김영호;지정현;;김희동;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75-183
    • /
    • 2004
  • 송이가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경기지역의 과거 송이발생지와 발생가능지역을 중심으로 '99~'00년간 송이 발생현황 및 식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내 송이발생 지역은 조사지역 19개 지역중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등 16개 지역이었고 년간 발생량은 총470~600kg정도였으며, 여주군 강천면 걸은리, 북내면 도전리와 포천군 영중면 금주리 등 일부지역은 현재까지 양호한 식생환경조건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향후 지속적인 적송림의 유지관리가 요구되었으며, 나머지 지역에서는 식생변화 등으로 송이발생량이 대폭 감소하였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2. 도내 조사지역의 송이버섯은 9월 12~15일에 발생되기 시작하여 9월말에 최성기, 10월 7~9일경 마무리 되었고 송이발생전후의 기온과 지온은 9월 5~7일경에 송이자실체 발생을 위해 자극을 받기 시작하는 온도인 $19^{\circ}C$ 이하로 낮아졌고, 그 후 약 5~7일 이후에 송이자실체가 발생되었으며, 송이발생기간동안 기온은 $12{\sim}18^{\circ}C$, 지온은 $14{\sim}18^{\circ}C$를 유지하였다. 3. 송이 발생지점의 적송밀도는 $100m^2$당 5.1~27.1그루, 수령은 15~50년생, 수고는 4~11m이었고, 활엽수 및 관목의 밀도가 43~80%로 높아 간벌과 적송의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유기물층의 깊이는 여주, 포천지역은 3.5~4.5cm, 양평, 가평, 광주는 7.2~7.7cm였으며 울폐도는 50~75%범위였다. 5. 토성은 조사지역 모두 사질토였고 토양pH는 4.3~5.1, 유기물함량은 3.91~8.28 범위였다.

  • PDF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추출물 및 잎새버섯과 흰목이 (Tremella fuciformis) 혼합추출물의 급성독성시험 (Acute toxicity evaluation of maitake mushroom extract and the mixture of maitake and white jelly mushroom extract)

  • 오영주;박금주;하효철;김현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1-9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혈당강하 소재로서 가능성이 확인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었다.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체중 kg 당 최고 5g의 각 시험물질을 마우스 위에 직접 투여하여 48시간 동안 관찰 한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사망예가 관찰되지 않아 LD50 은 5g/kg B.W. 이상으로 계산되었으며, 임상 증상이나 체중에서도 유의할만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마우스에 있어서 단기 급성 경구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식품소재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GFPC와 잎새버섯 및 흰목이 추출 혼합물은 급성 독성이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임상사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 PDF

건강 앱 이용자들의 단계적 건강행위변화와 정보탐색행태 (Stages of Change to Health Behavior and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of Health Application Users)

  • 이용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61-181
    • /
    • 2017
  • 본 연구는 모바일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건강행위를 변화시키는 건강정보소비자 들이 그 역동적인 단계적 변화에 따라 추구하는 건강정보 탐색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변화단계모형(Stages of change)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여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건강정보소비자들의 인식, 정보요구 및 탐색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30명의 대학생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3개월 동안 건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금연, 금주, 및 규칙적 운동 등의 건강행위의 변화를 시도하였으며,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소셜 미디어와 인터넷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원을 사용할 뿐 아니라 정보요구에 따라 상이한 정보원을 탐색했다. 특히, 실행단계에 접어든 소비자들의 본격적인 건강 앱 활용에서 나타나는 정보요구와 정보탐색행태는 특별히 건강 앱을 통한 건강정보서비스의 함의를 시사한다. 또한, 행위변화를 시행하면서 경험하는 스트레스 관리와 퇴보(relapse), 그리고 행위변화의 긍정적 및 부정적 효과는 건강정보제공자에게 소비자의 건강행위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서울지역 의료기관의 급식서비스 및 환자식 급여화 현황 분석 (Analysis of Hospital Foodservice Management an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Inpatient Meals in Seoul)

  • 김혜진;김은미;이금주;이정주;임정현;이정민;전현정;이해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4호
    • /
    • pp.378-396
    • /
    • 2010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hospital foodservice management and to investigate conditions related to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inpatient meal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nutrition departments of 44 hospitals in Seoul on July 2009. The average kitchen area was 0.5 $m^2$, and centralized distribution systems were in place. Partition walls from contamination zones, separate work table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exclusive areas for preparing tube feeding, and split carts with refrigerated and convection heat settings were largely used in tertiary hospitals. Most dietitians did meal rounds (93.2%) and surveyed for patient satisfaction (86.4%). The major theme of QI (Quality Improvement) was menu management (31.8%). The health insurance fees for meals were (won)4,938.9 for a general diet, (won)5,199.8 for a therapeutic diet, (won)4,067.0 for tube feeding, (won)9,950.0 for sterilized diet, and (won)18,383.4 for diets no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The prices for general and therapeutic die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ospitals compared to tertiary or general hospitals (P<0.001). The cost composed of 48.3% food, 44.0% labor and 7.7% overhead for general diets and 47.9%, 44.5% and 7.6% for therapeutic diets. In the case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patient meals, the number of items applied to general diets averaged 2.8 out of 4 and for therapeutic diets it averaged 1.9 out of 3. To reform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system for patient meals, it is urgent that the qualified level of patient meals is presented from a national viewpoint, and monitoring should be performed consistently by developing the evaluation tools.

족부전기충격이나 족부전기충격과 연합-학습된 조건자극에 재노출시 흰쥐뇌내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와 Neuropeptide Y(NPY)의 변동에 관한 연구 (Changes o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 and Neuropeptide Y(NPY) of Rats in Response to Footshock or Reexposure to Conditions Previously Paired with Footshock)

  • 신경호;김성진;이금주;신승건;신유찬;이민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10권1호
    • /
    • pp.62-69
    • /
    • 2003
  •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CRF) and neuropeptide Y(NPY) are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ediating stress responses and stress-related behavior. To elucidate the role of neuropeptides in response to the condition that had paired with traumatic event, we observed the changes of CRF and NPY by immunohistochemistry using a conditioned footshock paradigm.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placed in a shuttle box and exposed to 20 pairings of a tone(< 70dB, 5sec) followed by a footshock(FS, 0.8mA, 1sec) over 60min. A second group was exposed to the tone-footshock pairings, returned to the homecage for 2days, and then reexposed to the test chamber and 20tones alone for 60min, prior to sacrifice. Control groups were : a) sacrificed without exposure to FS ; b) exposed to the tone-footshock pairings and then sacrificed two days later ; or c) exposed to the chamber and tones alone, returned to the homecage for 2days and then reexposed to the chamber and 20tones over 60min prior to sacrifice. CRF was increased in animals exposed to FS or the aversive condition(context and tone) that had paired to FS in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BNST) compared to the control. NPY was increased by FS in amygdala and PVN, but the condition previously associated with FS results in slight increase only in amygdala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NST appears to be the mostly involved neural circuit in response to explicit cues previously paired with footshock. Moreover, this study raise the possibility that increased CRF peptide in the BNST in response to re-exposure to the aversive condition may underlie, in part, the experience of conditioned fear-related anxiety behavior.

  • PDF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PHR) Application on Consumer Health Behavior)

  • 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26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어플리케이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소비자 건강정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7명의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PHR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제공, 가족과의 데이터 공유 및 간병인(caregiver)의 환자 건강관리지원, 무엇보다도 환자와 의료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강화 등이 PHR의 혜택으로 부각되었다. 반면 근력운동과 같은 콘텐츠의 미비 내지는 타 기기와의 호환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PHR의 도움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감정적 지원을 받는가 하면, 수면장애극복, 금주, 금연, 그리고 체중감량 및 식습관의 변화 등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생겼으며, 실제로 건강행태의 변화를 성취함으로써 자기효능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도입단계인 PHR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헬스케어분야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 및 의료정보서비스를 모색하는데 통찰력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교육만족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cus on Adult Learner at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y)

  • 최영준;박금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61-367
    • /
    • 2018
  • 이 연구는 소비자 만족 관점에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만족도를 파악하고자 서울, 경인, 충남지역 소재 4년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의 성인학습자 1,0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만족도는 전반적인 만족도, 강사,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시설 및 환경, 담당직원서비스로 구성하고 연령별, 지역별, 성별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교육만족도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강사 관련 만족도가 가장 높고 담당직원서비스 관련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강사, 교육내용, 시설 및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3개 변인의 설명력은 약 36%였다.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부설 평생교육원은 이들 영역에 대한 고려를 우선시 하여 경영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