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글 읽기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xamining Line-brea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Promotion of Word Spacing and Reading Skills (한국어 교재의 행 바꾸기 -띄어쓰기와 읽기 능력의 계발 -)

  • Cho, In Jung;Kim, Danbee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v.23 no.1
    • /
    • pp.77-10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issues in relation to text segmenting, in particular, line brea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Research on L1 and L2 reading has shown that readers process texts by chunking (grouping words into phrases or meaningful syntactic units) and, therefore, phrase-cued texts are helpful for readers whose syntactic knowledge has not yet been fully developed. In other words, it would be important for language textbooks to avoid awkward syntactic divisions at the end of a line, in particular, those textbooks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ccording to our analysis of a number of major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beginner-level learners, however, many textbooks were found to display line-breaks of awkward syntactic division. Moreover, some textbooks displayed frequent instances where a single word (or eojeol in the case of Korean) is split between different lines. This can hamper not only learners' learning of the rules of spaces between eojeols in Korean, but also learners' development in automatic word recognition,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reading processes. Based on the findings of our textbook analysis and of existing research on reading, this study suggests ways to overcome awkward line-break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대명사의 종류에 따른 참조해결과정

  • Lee, Jae-Ho;Lee, Man-Y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0.11a
    • /
    • pp.104-111
    • /
    • 1990
  • 대명사의 종류에 따른 대명사의 어휘적 특성이 대용어 참조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두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대명사 문장의 읽기시간과 선행어에 대한 어휘판단과제를 통해서 복수가 단수에 비해 읽기시간은 빠르지만, 어휘판단시간은 단수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단수는 애매성에 따라 반응시간의 차이를 보였다. 실험 2에서는 단수가 복수에 비해 어휘판단이 빠름을 반복하였다. 그리고 단수는 여전히 성별단서의 애매성에 대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용어의 참조해결에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서 대명사의 어휘적 특성이 한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명사의 종류에 따라 참조해결과정이 다르게 일어 날 가능성과 표상되는 글 모형도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덩이글에서 스크립트 비부합정보의 처리

  • Park, Cheon-Sik;Do, Gyeong-S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0.11a
    • /
    • pp.97-103
    • /
    • 1990
  • 읽기시간과 재인기억을 통하여 스크립트에 부합되지 않는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문장을 읽고 문장 재인검사틀 하였다. 스크립트 비부합 문장의 읽기시간은 길고 재인 반응시간은 빨랐다. 실험 2, 3은 스크립트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가 기억이 잘되는데, 그 이유가 노력의 결과로 다른 정보와 통합되었기 때문인지 아니면 비부합정보가 두드러졌기 때문인지 알아보려고 설계되었다. 실험 2에서는 명제쌍을 만들어 즉시 재인기억을 하였고, 실험 3에서는 피험자가 비부합정보를 충분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자기 속도(self-paced)로 읽고 명제쌍으로 지연재인검사를 했다. 비스크립트 정보와 전형적인 명제로 된 명제쌍이 전형적인 명제쌍보다 반응시간이 길었다. 이 결과는 스크립트 비부합정보는 자체로는 기억이 잘되나 다른 정보와 통합은 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Differences of Reading the Pure Hangul Text and the Hangul Plus Hanja Text in Reading Speed, Comprehension, and Memory (한글 전용과 국한 혼용의 언어 심리학적 고찰(I): 읽기 시간, 이해, 기억에서의 차이)

  • Nam, Ki-Chun;Kim, Tae-Hoon;Lee, Kyung-In;Park, Young-Chan;Seo, Kwang-J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469-476
    • /
    • 1997
  • 본 연구는 한글 전용과 한자 혼용이 글의 이해 속도, 이해 정도, 내용의 기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한글 전용론과 한자 혼용론은 각각 나름대로의 논리를 가지고 서로 논쟁을 펼쳐왔다. 먼저 한글전용론의 주장을 살펴보면, 한자는 배우기 어렵고 쓰기도 불편해 쉽게 익힐 수 있는 한글을 사용해야 하며, 한자를 사용함으로 인해서 순 우리말의 발전이 방해를 받고, 글자 생활의 기계화와 출판 문화의 발달에 있어 한자는 이것을 어렵게 한다는 것이다. 반면에, 한자혼용론의 주장에 따르면, 한자말은 한자로 적을 때 그 의미의 파악이 빠르고 정확하고, 우리말 어휘의 절반 이상을 한자어가 차지하고 있으므로 한자를 가르치는 것이 국어교육의 지름길이고, 우리말에는 동음이의어가 많아서 한글로만 적을 경우 그 뜻을 식별하기 어렵고, 한자는 각 글자가 모두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을 조합하여 새로운 의미의 단어를 쉽게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한글로 쓸 경우 길게 쓰여져야만 하는 것을 짧게 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한자를 쓰지 않으면 우리의 전통 문화를 이어 받을 수 없으며 한자를 공통으로 쓰고 있는 동양문화권에서도 고립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한글전용과 한자혼용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 만큼 우리나라의 한자에 대한 정책도 그 갈피를 잡지 못하고 계속 바뀌어 왔다. 독립이후 정부에서는 법령과 훈령 등으로 모든 공문서에서의 한자사용을 금지하고 일반 사회의 문자 생활에도 한글을 전용할 것을 권고하지만 이 지침은 결국 공문서에만 한정되어 왔고 후에는 이것조차도 유명무실해졌다. 또한 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 정책도 수차례 변화되어 한글만을 배운 세대가 사회에 나와 여전히 한자가 사용되고 있어 적응에 문제점을 가지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계속되어 온 한글과 한잔의 사용에 관한 논쟁을 언어심리학적인 연구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즉, 글을 읽는 속도, 글의 의미를 얼마나 정확하게 이해했는지, 어느 것이 더 기억에 오래 남는지를 측정하여 어느 쪽의 입장이 옮은 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는 문장을 읽는 시간에서는 한글 전용문인 경우에 월등히 빨랐다. 그러나. 내용에 대한 기억 검사에서는 국한 혼용 조건에서 더 우수하였다. 반면에, 이해력 검사에서는 천장 효과(Ceiling effect)로 두 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글의 읽기 속도가 중요한 문서에서는 한글 전용이 좋은 반면에 글의 내용 기억이 강조되는 경우에는 한자를 혼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PDF

Parafoveal Semantic Preview Effect in Reading of Chinese-Korean Bilinguals (글 읽기에서 나타난 중심와주변 의미 미리보기 효과 :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자 대상으로)

  • Wang, Shang;Choo, Hyeree;Koh, Sungryou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4 no.4
    • /
    • pp.315-347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emantic preview effect in the parafoveal processing of words that are presented in advance in the parafoveal area ahead of the fixation point, benefiting word processing in the fovea. Using the boundary technique in eye-tracking experiments, 25 Chinese-Korean bilinguals, whose native language is Chinese, were presented with 96 sentences that contained a mix of Chinese and Korean, where Korean words were associated with Chinese characters semantic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 semantic preview effect could be extracted in reading. The experimental sentences were divided into four conditions: the same Korean native word condition (e.g., "나라" meaning "country"), the same Korean word with semantic equivalent in Chinese condition (e.g., "국가" meaning "country"), the same Chinese condition with semantic equivalent in Korean (e.g., "国家" meaning "country"), and the unrelated Chinese condition to the target word (e.g., "围裙" meaning "apron"). The results showed a preview effect in both the Korean word and Chinese word conditions, with a larger preview effect observed in the Chinese word condition compared to the Korean word condition.

Word processing observed in an eye-tracking experiment of Korean sentence reading by Chinese-Korean late bilinguals (중국어-한국어 후기 이중언어자들의 한국어 문장 읽기 안구운동 추적 실험에서 나타난 단어 처리)

  • Choo, Hyeree;Jeon, Moong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5 no.3
    • /
    • pp.205-224
    • /
    • 2024
  • The reading processes of Chinese-Korean bilinguals, who have learned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re expected to show different eye movement patterns compared to native Korean speakers. Moreover, these bilinguals may utilize knowledge similar to Chinese in processing Korean word meanings, especially for Sino-Korean words that share semantic relationships with Chinese, potentially processing them faster than native Korean words. This study observed whether Chinese-Korean bilinguals show the word frequency effect typically observed in Korean native speaker reading during Korean sentence reading. Additionally, eye-track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under conditions distinguishing between native Korean words and Sino-Korean word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 advantage in processing Sino-Korean word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Chinese-Korean bilinguals did not show the same frequency effects as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y showed shorter response times in the Sino-Korean condition compared to the native Korean condi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Chinese-Korean bilinguals, whe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mploy strategies focused on meaning similarity akin to their native language vocabulary acquisition strategies, and they process Sino-Korean words faster than native Korean words, suggesting a potential advantage in learning and processing Sino-Korean vocabulary.

The Effects of Macrostructure of Discourse Processing (대형구조가 글 애해에 미치는 영향)

  • Cho, Hey-Ja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 no.1
    • /
    • pp.51-72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crostructure on discourse processing.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story were employed to form macrostructures on different times, and reading time, sentence verification time and free recall rate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 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forming the macrostructure influenced the reading and verification times and the recall rate.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the macrostructure is important to comprehend and recall the stories, and that the story grammars, hierarchies of story schema and causal relation of sentences affect the comprehension and recall through their interaction in macrostructure.

Eye movements during Hangul reading (한글 읽기에 나타나는 안구 운동의 특징)

  • Kim, Jung-Hoon;Lee, Choon-K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1.10a
    • /
    • pp.281-286
    • /
    • 1991
  • 본 연구는 한글 사용자가 한글을 읽을 때 관찰되는 눈의 움직임에 관한 것이다. 연구된 다른 언어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글을 읽을 때 눈의 움직임은 주로 진행성 도약(forward saccade)과 고정(fixation)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 피험자가 제시된 글을 처음 읽었을 때, 진행성 도약은 평균 3.5음절과 1.4개의 자간여백을 읽는 크기로 이루어졌으며, 평균 고정 기간은 250 msec이었다. 통일한 문장을 반복해서 읽었을 때 약 20%씩 도약의 크기는 증가하고 고정 기간은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 효과의 크기는 두 번째 읽기에서 가장 컸으며 3회에서 12회의 반복읽기에서의 부가적 효과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 PDF

프랜시스 골턴 다시 읽기

  • Jo, Jae-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3-116
    • /
    • 2005
  • 오늘날 대부분의 통계학 교과서에서 프랜시스 골턴(Francis Galton 1822-1911)은 비록 "회귀(regression)"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인물이기는 하되, 그가 생각했던 "평균으로의 회귀(regression to the mean)"라는 것은 오늘날의 회귀분석과는 거리가 먼 것이라는 언급과 함께 짧게 소개된다. 이 글에서는 바로 그 골턴이 직접 쓴 것들을 다시 읽어보고 골턴 자신과 후세에 소개되는 골턴 사이의 거리를 살펴보려 한다. 그 결과 골턴은 통계학의 역사에서 여러 가지로 흥미로운 인물이므로 그의 이름이 통계학 교육 내용 중에 지금보다는 조금 더 등장해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Learning System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of Hearing-impaired Persons (청각장애인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2Bi 접근 모형을 활용한 모바일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Jung, Mi-A;Jun, Woo-C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4 no.1
    • /
    • pp.1-12
    • /
    • 2010
  •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it is known that reading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means of communication. In the meanwhile, with recent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mobile devices are used in various education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implement a mobile system to improve reading ability of hearing-impaired students. For this purpose, "Question Generation Strategy", known a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is adopted to make study contents. Also, 2Bi (Bilingual-Bicultural) Approach Model, an attractive model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of hearing-impaired students, is used.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bile 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is developed to let students learn written language usage through repetition and difference of two organically-related curriculum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Second, study contents are made to increase sentence understanding ability using an activity that is to let students read articles, make questions and answer questions for themselves. Third,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to allow students to choose study contents individually anytime anywhere depending on their study le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