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골격 계

Search Result 1,02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Study of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s on Farmer's Syndrome (근골격계 위험요인이 농부증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Beom;Lee, Kyung-Jong;Lee, Se-Wi;Kim, Jong-Goo;Chung, Ho-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5 no.1
    • /
    • pp.11-2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he effects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 on farmer's syndrome. We sampled 97 farmers aged above 30 in 3 villages of Kyunggi-do.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general characteristics, farmer's syndrome, musculoskeletal risk factor,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core of musculoskeletal risk factor, we divide the subjects high risk group and low risk group. The most common musculoskeletal risk factor is repetitiveness, bending of waist and rapid movement in order.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 of all subjects is 28.9%. In female the prevalence of farmer's syndrome(45.2%) is higher than in male(16.4%) significantly. High musculoskeletal risk group had higher score of farmer's syndrome(5.9) than low musculoskeletal risk group(4.4). The most common symptom is lumbago(76.3%), the second was numb limb and shoulder stiffness(54.6%, 54.6%). The prevalence of numb limb and shoulder stiffness higher in high musculoskeletal risk group than low musculoskeletal risk group, but that of lumbago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near regression, score of farmer's syndrome was related to musculoskeletal risk factor as well as gender. Blood pressure and laboratory tes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sculoskeletal risk factor would influence farmer's syndrome. Further ergonom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of farmer's work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re needed.

  • PDF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Stress For Electronical Product Assembly Workers (전자제품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 Moon, Jung-Il;Park,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04a
    • /
    • pp.93-104
    • /
    • 2009
  •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작업과 반복 작업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전자제품 제조업에 대하여 고용 규모 30인 미만과 300인 이상의 사업장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 311명은 근골격계질환 관련 자각증상과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KOSS)에 대해 설문 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영역에서 30인 이하의 사업장이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의 영역에서 불만족도가 300인 이상사업장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근골격계질환 관련 신체 부위별 증상자를 살펴보면 신체부위 목, 허리에 대한 증상 호소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로자들이 근무중 회사와의 갈등으로 격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KOSS)에서는 물리적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에 대하여 30인 미만 사업장 소속 근로자들의 스트 레스 노출정도가 높았다. 다만 KOSS부분에서 근로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관계갈등부분은 약간의 차이로 300인 이상 고용사업장의 근로자에 대한 스트레스 노 출정도가 높았다. 이에 30인 미만 사업장과 같은 영세업종 근로자들에게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예방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esign of Avatar Rehabilitation Content Service with Limited Range of Motion (관절 가동 범위의 제한 정보를 반영한 아바타 기반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 설계)

  • Yoon, Chang-Rak;Chang, Yoon-Seop;Kim, J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990-992
    • /
    • 2021
  •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질환 부위의 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가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관절 가동 범위 제한을 고려하지 않은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는 오히려 환자의 건강 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는 서비스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제한적인 관절 가동 범위를 고려한 아바타 기반의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 기술을 제안한다. 이에 재활 운동의 모션 캡처 데이터로부터 아바타 재활 운동 콘텐츠로의 변환 기술과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관절 가동 범위 제한 정보를 적용한 아바타 기반 재활 운동 콘텐츠 재현 기술을 설계한다. 일련의 기술적 구성 요소를 고찰하고 설계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서로 다른 관절 가동 범위를 반영한 맞춤형 재활 운동 콘텐츠 서비스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재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장애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

  • 이미경;장성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1-197
    • /
    • 1998
  • 작업과 관련된 근골격계 장애(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는 만성적인 근골격계 질병으로 작업과 관계되어 발생되어지는 신체 상태이다. 이와 관련되는 요인에는 반복적인 동작, 무리한 힘, 부적절한 자세, 기계적인 스트레스 및 진동, 온도 등이며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는 인간공학적 질병(ergonomic disorder), 누적 외상성 장애(cumulative trauma disorders), 반복 긴장성 부상(repetitive strain injuries)등이 있다. (중략)

  • PDF

근골격계질환의 제도적 관리에 관한 연구

  • 김용수;이관석;장성록;김유창;배동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8-113
    • /
    • 2003
  • 최근 국내의 산업재해율 증가에 있어 특이한 사항은 근골격계질환, 뇌심혈관질환 등 작업 관련성질환에 의한 증가 현상이다. 특히 단순반복작업, 중량물 취급작업,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에 의하여 신체에 과도한 부담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요통, 경견완장해 등 근골격계질환은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Table 1 참조) 향후에도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된다.(중략)

  • PDF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위험성 평가기법의 비교 및 개선방안 - 제조업을 중심으로 -

  • 임현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55-259
    • /
    • 2003
  •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 또 해당질환의 직업관련성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 평가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가 취해져야 하므로, 작업의 위험성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기법의 활용은 해당작업의 특성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기법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특성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생산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기법들이 어떠한 것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는 그다지 소개되어 있지 않지만 일본에서 활용되고 있는 현장에서의 평가기법을 소개하여, 앞으로 우리나라의 기법을 개발하는 데 있어 직면하게 될 문제들을 거론하고자 하였다.

  • PDF

근골격계 질환의 의학적 관리

  • 김수근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for Industrial Safety
    • /
    • v.3 no.1
    • /
    • pp.6-10
    • /
    • 2003
  • 근골격계 질환은 더 이상 사업주와 노동자간에 상호 책임을 미루거나, 윤리적인 비난으로 에너지를 소비할 한가한 문제가 아니다. 이미 노사간에 노동시간과 노동강도(부담)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어 생산현장의 근본적이며 구체적인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우리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직업과 건강의 문제, 생산과 건강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의학적 측면에서의 접근은 매우 제한된 역할밖에 할 수 없는 상황에 와 있으며, 지금까지 의학적 관리프로그램의 적용은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골격계의 신체적 고통과 이와 관련된 심리적 고통을 당하고 있는 노동자들은 의학적 도움을 요청하고 있으며, 기업 또한 여러 가지 의학적 관리를 통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에서는 사업장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의학적 관리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중략)

  • PDF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in Rural Farmers (농촌지역주민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

  • Oh, Hae-Ok;Kam, Sin;Han, Chang-Hyun;Hwang, Byung-Deog;Mun, Hyo-Jung;Cha, Byung-Jun;Park, Sang-Yeon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 /
    • v.8 no.1
    • /
    • pp.86-108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farmers. Six-hundred and sixty one rural farmer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interview from July 1 to July 31 in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ural farmers who had experienced musculoskeletal symptom during recent 1 year was 82.7% in male, 92.1% in female.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y part of the body in male were turned out as back; 42.3% leg and knee; 36.4%, shoulder; 21.4%, arm and hand; 12.7%, elbow; 7.7%, hip; 6.8% neck; 6.4%, ankle and foot; 6.4% in order.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y part of the body in female were turned out as back; 59.4%, leg and knee; 48.5%, shoulder; 20.2%, arm and hand; 13.8%, hip; 10.7%, neck; 6.8%, ankle and foot; 6.3%, elbow; 5.0% in order.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ack pain, and pain on leg and kn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In male,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amily size, economic status, status of smoking, duration of farming, type of major agricultural affairs.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family size and economic statu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higher in male with no or one family living together and low economic status. In female,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perceived health status, type of agricultural affairs.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ody mass index,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ype of major agricultural affair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higher as female farmer's body mass index was increasing and when female farmer'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ot healthier, and it was lower when female farmer did livestock farming as major agricultural affair.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higher in the busy season for farmers and treatment methods for musculoskeletal symptom were physical therapy, medication, herb medical treatment, etc. In conclusion, because most of farmers experience musculoskeletal symptom, continuous systematic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of farmers and active effort to prevent and manage musculoskeletal symptom of farmers are necessary.

  • PDF

Related Factors of Musculoskelectal Symptoms in University Hospital Workers (대학병원 보건의료인의 근골격계 증상 관련요인)

  • Han, Kyoung-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3
    • /
    • pp.1928-1936
    • /
    • 2015
  •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ed factor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in university hospital workers. The subjects were 313 workers who were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tion using the SPSS/PC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201 respondents(64.2%) had musculoskelectal pain. According to a survey of musculoskeletal pain in body parts, the shoulder was the most common region; 37% of the health-workers(116 respondents). Musculoskeletal pain are more common in health-workers under 35 years old or work more than 6 years, or have more physical burden. In conclusion, health-workers need more active health care such as planning a preventive activity and stretching during work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musculoskeletal symptoms into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