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in Rural Farmers

농촌지역주민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

  • Oh, Hae-Ok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i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an, Chang-Hyu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Hwang, Byung-Deo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Mun, Hyo-Ju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 Byung-Jun (Taekyeung College) ;
  • Park, Sang-Yeon (Dept of Nursing, Co. of Medicine, Kyungpook University)
  • 오해옥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감신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한창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황병덕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문효정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 차병준 (대경대학교) ;
  • 박상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1.04.1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its related factors in rural farmers. Six-hundred and sixty one rural farmer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interview from July 1 to July 31 in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ural farmers who had experienced musculoskeletal symptom during recent 1 year was 82.7% in male, 92.1% in female.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y part of the body in male were turned out as back; 42.3% leg and knee; 36.4%, shoulder; 21.4%, arm and hand; 12.7%, elbow; 7.7%, hip; 6.8% neck; 6.4%, ankle and foot; 6.4% in order.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y part of the body in female were turned out as back; 59.4%, leg and knee; 48.5%, shoulder; 20.2%, arm and hand; 13.8%, hip; 10.7%, neck; 6.8%, ankle and foot; 6.3%, elbow; 5.0% in order. The annual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ack pain, and pain on leg and kn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In male,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amily size, economic status, status of smoking, duration of farming, type of major agricultural affairs.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family size and economic statu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higher in male with no or one family living together and low economic status. In female,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perceived health status, type of agricultural affairs. By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 body mass index,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ype of major agricultural affairs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t was higher as female farmer's body mass index was increasing and when female farmer's perceived health status was not healthier, and it was lower when female farmer did livestock farming as major agricultural affair. The experienc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 was higher in the busy season for farmers and treatment methods for musculoskeletal symptom were physical therapy, medication, herb medical treatment, etc. In conclusion, because most of farmers experience musculoskeletal symptom, continuous systematic study on musculoskeletal symptom of farmers and active effort to prevent and manage musculoskeletal symptom of farmers are necessary.

2000년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농사일을 하고 있는 30세 이상 농촌지역 주민 661명을 대상으로 지난 1년간의 근골격계 증상 경험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의 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은 허리가 42.3%로 가장 높았으며, 다리 무릎 36.4%, 어깨 21.4%, 팔 손 12.7%, 팔꿈치 7.7%, 엉덩이 6.8%, 목과 발목 발 6.4% 였다. 8가지 부위 중 어느 한군데라도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82.7%였다. 여자의 부위별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은 남자와 같이 허리가 59.4%로 가장 높았으며, 다리 무릎 48.5%, 어깨 20.2%, 팔 손 13.8%, 엉덩이 10.7%, 목 6.8%, 발목 발 6.3%, 팔꿈치 5.0%였다. 8가지 부위 중 어느 한군데라도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람은 92.1%였다. 허리와 다리 무릎의 통증 경험률, 그리고 어느 한 부위라도 증상을 경험한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남자의 경우 8가지 부위 중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는 교육정도, 동거가족수, 생활수준, 흡연상태, 농사종사기간, 주농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동거가족이 없거나 한 명인 경우,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과거 흡연군에서, 농사종사기간이 길수록, 주농사가 과수원이나 벼농사인 경우에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이 높았다(p<0.05). 남자의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동거가족수와 생활수준이 유의한 변수로 동거가족이 2명인 경우를 기준으로 동거가족이 없거나 한명인 경우,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증상 경험이 많았다(p<0.05). 여자의 8가지 부위 중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는 신체비만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주농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신체비만지수가 높은 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주농사가 과수원이나 벼농사인 경우에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이 높았다(p<0.05). 여자의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비만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허약 할수록 증상 경험이 많았고, 주농사가 축산인 경우가 벼농사인 경우보다 증상 경험이 적었다(p<0.05). 남자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경험자의 1년 중 증상 발생시기는 8군데 모두에서 농번기가 가장 높았고, 주 치료방법은 투약, 병의원 물리치료, 한방치료 등이었으며, 미치료율은 목부위를 제외하고는 30%가 넘어 높았는데, 엉덩이가 60.0%로 가장 높았다. 여자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발생시기 역시 농번기가 가장 높았으며, 주 치료방법은 병의원 물리치료, 투약, 한방치료 등 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다수의 농민들이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므로 근골격계 증상 경험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