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 활성화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융합형 초음파 영상을 통한 세 가지 교각운동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 비교 (Comparison of Trunk Muscles Thickness in Three Different Bridge Exercises by Ultrasound Fusion Imaging)

  • 강지현;심재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23-130
    • /
    • 2015
  • 본 연구는 융합형 초음파 영상(ultrasound fusion imaging)을 이용하여 세 가지 교각운동(bridge exercise) 방법에 따른 몸통근육의 두께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교각 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배속빗근(internal oblique), 배바깥빗근(external oblique), 배가로근(transverse abdominis) 그리고 뭇갈래근(multifidus)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교각운동 방법에 따라 배속빗근, 배가로근, 뭇갈래근에서 유의한 두께변화를 보였다. 배가로근과 뭇갈래근은 exercise C(sling)에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exercise B(gym ball)와 exercise A(fixed support surface) 순으로 증가하였다. 배속빗근은 치료용 볼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두께가 가장 증가하였고, 슬링과 고정된 지지면 순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슬링에서의 교각운동이 몸통 근육 두께증가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최근까지, 몸통근육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슬링에서의 교각운동이 많이 제안 되었지만, 융합형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다양한 교각운동의 처방과 적용 시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헤어SUKI 대체요법 활성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Hair SUKI Alternative Therapy)

  • 이윤정;홍성균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73-381
    • /
    • 2021
  • 본 연구는 SUKI 대체요법의 유효성과 두피마사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헤어SUKI 대체요법 적용 및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첫째, SUKI 대체요법의 개념, SUKI 대체요법 특징, SUKI 대체요법 시술시 주의할 점 등을 통해 SUKI 대체요법의 이해를 살펴보았고, 둘째, SUKI 대체요법 적용 실태 및 두피마사지요법에 관한 선행연구 등을 고찰하여, SUKI 대체요법과 두피마사지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SUKI 대체요법은 스트레스나 우울증, 고혈압, 근육통증, 피부주름과 탄력 등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두피마사지는 현대인들의 스트레스와 불면증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인 증상과 더불어 탈모와 두통 등의 신체적인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헤어SUKI 대체요법에 대한 효과연구와 프로그램 활성화 통해 현대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만성요통환자의 한발서기 시 체간 안정화 근육의 활성화 변화 (Trunk Stabilization Muscle Activity in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s during One Leg Stance)

  • 민동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20
    • /
    • 201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surface electromyography(EMG) activity of trunk region muscle between normal subjects and chronic low back pain(CLBP) patients during one leg stance. Methods : The subjects were 27 people, were consisted of 12 subjects who don't have low back pain and 15 subjects who have low back pain from 19 to 28 year of age(mean age 22.22). We used surface EMG to evaluate th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External abdominal oblique, Quadratus lumborum, Gluteus medius muscle. We used independent two samples t-test for statistical data. Result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MVIC) ratio of the trunk muscle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CLBP than in normal subject.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ctivity of the Quadratus lumborum, Gluteus medius muscle(p<0.05).

  • PDF

근육 수축시 주관절 굴근의 활성화 유형에 대한 정량적 분석 (A Quantative Analysis of activation pattern of Elbow Flexor muscles during contraction)

  • 이두형;이영석;김성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
    • /
    • 1996
  •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analyze the contraction patterns of elbow flexor muscle during isometric,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 The analysis parameters are consisted of Sequency domain parameters (mean frequency, median frequency, skewness, kurtosis) and time domain parameters (zero crossing, positive maxima, integrated EMG). As a results, the analysis parameters have specific trends for muscles, muscle contraction patterns, muscle contraction angles. Especially, at the time domain analysis, IEMG is a dominant parameter for analysis of activation patterns, and the skewness, kurtosis are useful parameters for functional recognition.

  • PDF

요가 수르야 나마스카 동작의 숙련도 차이에 따른 ROM과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ROM and Muscl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kills of Surya Namaskara in Vinyasa Yoga)

  • 홍수연;박진;하종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7-138
    • /
    • 2009
  • 근간 요가열풍이 불면서 일반인들은 자신의 질환이나 신체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리한 동작을 수행하여 심각한 부작용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빈야사 요가의 수르야 나마스카 동작들을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요가의 숙련도에 따른 ROM (Range Of Motion)과 %MVIC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관절의 유연성 및 근활성도를 규명하여 올바른 동작에 대한 이해와 함께 수련자들의 상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두 집단 간의 ROM과 %MWC는 요가동작에 따라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의자자세, 막대자세 및 전사자세는 정확한 지도가 필요한 동작들이다. 향후, 동작마다 숙련자와 비숙련자가 활성화되는 근육이 다르기 때문에 비숙련자에게 근육의 과용과 오용, 그리고 유연성 등의 문제로 인한 상해를 줄이기 위해 수련자에게 맞는 수준으로 수련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대사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멘탈 이미지의 하위양식 (Sub-modality of Mental Images to Make lines Alive)

  • 최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9-129
    • /
    • 2019
  • 연기교육에서 기존의 화술교육은 장단음 찾기, 자음과 모음의 조음연습, 딕션연습 등 대사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대사가 말처럼 살아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사가 살아나는 순간은 배우가 대사를 말하는 사이 단어 이면의 멘탈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는 순간이다. 필자는 뇌과학 분야에서 인지뇌과학과 NLP (Neural Linguistic Programing)의 지식을 빌려와 멘탈 이미지가 무엇인지, 왜 멘탈 이미지가 생각과 감정의 기본 요소인지를 추적한다. 또한, 멘탈 이미지를 섬세하게 떠올리는 과정(하위양식)에서 신체의 근육들이 어떻게 반응하게 되고, 그 반응하는 근육들을 이용해 어떻게 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의 말하기 재료들(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이 살아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화술교육에서 왜 멘탈 이미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결론에서는 멘탈 이미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만나게 되는 장애물에 대해 열거하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호흡의 활성화'를 후속논문으로 계획한다.

Effects of Stabilization Exercise Applying Sling Neurac Method on Pain and Cervical Alignment in Young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Jin-Wook Lee;Moon-Kyun L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95-10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방머리자세를 가진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슬링뉴렉안정화운동이 중재방법이 통증 및 목뼈 앞굽음각, 중력중심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슬링뉴렉안정화운동그룹(SNSEG) 10명, 통제그룹(CC) 1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8주간 주3회 70분간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슬링뉴렉안정화운동은 통증은 감소(p<.001), 목뼈 앞굽음각은 증가(p<.001)와 중력중심선은 감소에(p<.01)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종합해 보면 슬링뉴렉안정화운동은 속근육(LM)군의 고유수용성감각 개선 및 근활성화에 효과적이며, 대근육(GM)군과 공동활성화하여 앞굽은각과 중력중심선에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깊은목굽힘근과 뒤통수밑근의 재활성화는 통증 조절과 자세 정렬에 중요한 요소로 전방머리자세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제안한다.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nd Grip Force on Shoulder Muscle Activity in Two Arm Posture)

  • 장현정;김지선;최종덕;김선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229-1237
    • /
    • 2012
  • 본 연구는 파악력의 강도가 두 가지 팔 자세에서 어깨근육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건강한 성인 22명(남 11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4가지 파악력(최대 파악력의 0%, 30%, 50%, 70%)을 팔의 중립 자세와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 적용 했을 때 상승모근, 하승모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팔 중립 자세에서는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극하근,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전삼각근, 후삼각근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2가지 팔의 자세에서 각각 파악력의 강도에 따라 어깨근육 근활성도가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손 쥐기 과제를 중립자세에서 실시할 경우 어깨관절 안정근인 극하근이 활성화되고, 팔 $90^{\circ}$ 거상 자세에서는 삼각근을 억제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손을 사용하는 작업 시 인간공학적 접근으로 어깨 손상의 예방과 손상 후 재활 훈련 시 효율적인 전략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방식이 정상인의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과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 (Spinal Motor Neuron and Electroencephalogram Changes after Different Kinesio Taping Method Therapy in normal People)

  • 배세현;김기도;김경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791-799
    • /
    • 2013
  •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비복근의 테이핑 적용 방식에 따라 실험군 I(n=8); 근육 주행방향, 실험군 II(n=8); 근육 횡 방향으로 구분하여 2주간 실시하였다.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 측정을 위해 경골신경에 자극을 주어 H 반사를 획득하였으며, 뇌파는 ${\beta}$-SMR를 측정하기 위해 C3, Cz, C4에 활성전극을 붙여 테이핑 적용 전, 즉시, 1주일 후, 2주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I의 척수 운동신경원의 변화는 실험군 II보다 ${\alpha}$-운동신경원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지속 시간도 길었다(p<.05). 뇌파는 실험군I의 ${\beta}$-SMR 활성도가 실험군 II 보다 증가하고 지속시간도 길었다(p<.05). 근육 주행방향에 따른 적용 방식은 횡 방향 보다 ${\beta}$-SMR 뇌파를 더 활성화 시키며,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 감소를 지속적으로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이 C2C12 세포 내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 유발 세포사멸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xed plant-extract powder on the regulation of differentiation and oxidative stress-induced apoptosis in C2C12 cells)

  • 박세은;최다빈;오교녀;김한중;박형범;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8-30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을 최대 1,000 ㎍/mL 농도까지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지 않음을 확인되었다. 식물 추출물 혼합분말이 근육세포 분화 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myogenin과 MHC의 발현 여부를 확인한 결과, 무처리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한 결과,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 처리에 의해 H2O2 단독 처리군보다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으며, LDH와 creatine kinase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여 caspase-9와 -3 활성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의 근육세포 분화 효과 및 H2O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식물 추출물 혼합 분말은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유효성 확보를 위해서 근감소증 세포 및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및 기전 분석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