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 활성화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2초

2D-CNN 모델을 이용한 메타-전이학습 기반 부정맥 분류 (Arrhythmia classification based on meta-transfer learning using 2D-CNN model)

  • 김아현;염성웅;김경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50-552
    • /
    • 2022
  • 최근 사물인터넷(IoT) 기기가 활성화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 환경에서 장기간 모니터링 및 수집이 가능해짐에 따라 생체 신호 처리 및 ECG 분석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ECG 데이터는 부정맥 비트의 불규칙적인 발생으로 인한 클래스 불균형 문제와 근육의 떨림 및 신호의 미약등과 같은 잡음으로 인해 낮은 신호 품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훈련용 공개데이터 세트가 작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ECG 1D 신호를 2D 스펙트로그램 이미지로 변환하여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전이학습과 메타학습의 장점을 결합하여 클래스 불균형 문제와 소수의 데이터에서도 빠른 학습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ECG 스펙트럼 이미지를 사용하여 2D-CNN 메타-전이 학습 기반 부정맥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근육모양의 패턴을 달리한 EMS 복압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EMS Compression Belts with Different Muscular Patterns on Lumbar Stabilization)

  • 김대연;박진희;김주용
    • 감성과학
    • /
    • 제24권2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한 5가지의 EMS 요추 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요방형근, 척추세움근, 내복사근, 외복사근, 대요근으로 총 5가지의 코어 근육을 선정하여 이에 맞는 근육 모양과 통증 유발점인 압통점을 고려해 전도성 원단으로 패턴을 설계하여 복압 벨트에 결합했다. 총 4가지 동작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각각 다른 EMS복압 벨트가 요추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건강한 신체의 20대 남성 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선정 조건은 최근 3개월 동안 요통 과거력이 없고 사전 검사를 통해 제한되는 동작이 없고, 체간의 근력이 정상등급에 속한 대상이다. 실험 동작의 순서는 하지직거상 검사, 좌전굴, 체전굴, 배근력으로 다음 동작에 제한되지 않게 선정하였다. 동작 간의 휴식은 2분으로 진행하였고, EMS복압 벨트를 착용 후 실험을 진행할 때는 혈류량 증가와 근 활성화를 위해 전기자극을 10분씩 적용하고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의 통계는 비모수 검정으로 윌콕슨 검정과 프리드만 검정을 실시함으로 구체적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5가지의 패턴 중 5,4,3,1,2 순으로 Type별 순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근육의 움직임과 연관성이 있는 실험 동작에 조금 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해부학적 근거로 제작된 패턴으로 인해 각 근육에 각기 다른 모양으로 전기자극을 전달하였을 때 구분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인 대상으로 일상생활이나 트레이닝에 있어 요추 안정화를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위스볼을 이용한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e exercise with swiss ball on sarcopenia index in agriculture older women)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49-135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코어 저항 운동이 농업 여성노인들의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65세 이상의 천안시 거주 농업 여성노인 15명과 통제군 여성 15명으로 하였다. 코어 운동군은 주 2회 60분간 코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고, 종속변인인 근감소증 지표로는 악력,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 근육의 면적과 단기운동수행력으로 4m 보행, 2.44m 걷기 및 400m 걷기를 실시하였다. 코어 저항 운동 결과 의자 앉았다 일어서기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 근단면적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단기운동수행 능력 중 4m 보행속도에서 유의한 상호 작용과 2.44m 왕복걷기와 400m 걷기에서는 유의한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코어 저항 운동은 근육의 활성화로 인해 하체근육 및 단기 운동수행능력을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교차적 슬관절 굴곡-신전 시 슬관절 굴곡근의 구심성 수축에 의한 선행부하가 대퇴사두근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Facilitation of Quadriceps Activation Following a Concentric Knee Flexion During Reciprocal Knee Movement: The Influence of Muscle Preloading)

  • 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5
    • /
    • 2003
  • 본 연구는 슬관전 신전 직전에 수행된 선행 슬관절 굴곡이 슬관절 신전근의 최대 근력발생 및 근육 활성도(activ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6명의 정상인이 Cybex II 등속운동기구에서 3가지 다른 운동 속도($100^{\circ}/s$, $200^{\circ}/s$, $300^{\circ}/s$)와 2가지 다른 근육 활성 조건(선행부하가 없는 조건과 선행부하 조건)에서 슬관절의 최대 신전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선행부하 없는 조건에서는 $90^{\circ}$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선행부하 조건에서는 구심성 슬와부 근육의 구심성 수축으로 $0^{\circ}$에서 $110^{\circ}$까지 굴곡한 후, 다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최대 근전도와 최대 신전근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근전도와 최대 근력 모두 선행부하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근력은 감소하는 전형적인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이 본 실험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운동속도와 전환속도 간의 간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슬관절 신전근에 선행부하(preloading)를 가하는 것이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force-velocity relation)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선행부하로 인해 증가된 최대 근력 및 근 활성도의 증가는 주로 신경촉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누운 자세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 하지 근활성도 분석 (Analysis of Lower-Limbs Muscle Activity during Cycle Exercise in Spine Position)

  • 신선혜;유미;조광수;정호춘;홍정표;홍철운;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1-3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입원 또는 재활 초기단계에 환자가 이동하지 않고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하지 재활 훈련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침대에 누운 자세에서 다양한 조건에서의 자전거 운동 시의 하지 근 활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근 골격계나 신경근육계 병력이 없는 20대~60대 사이의 건강한 성인 남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운동 모드, 부하, 속도에 따른 자전거 운동 시 오른쪽 하지의 대퇴직근, 대퇴이두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가자미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부하를 1과 5단계로 제공하였을 때보다 10단계로 제공하였을 때 내측 비복근의 근활성이 높아짐을 보였다. 또한, 속도가 증가할수록 내측 비복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서 근활성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운동 조건에 따라 크게 활성화되는 근육들이 각기 달랐으며, 이러한 결과는 침상에 누워 재활훈련이 가능한 자전거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 PDF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정신적 이완을 위한 척추온열마사지 기기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 Spinal Thermal Massage Device for Physical and Mental Relaxtion in Office Workers)

  • 이미현;조일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9호
    • /
    • pp.169-177
    • /
    • 2024
  •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척추온열마사지 기기의 사용이 신체적・정신적 이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30~40대 사무직 근로자 1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은 자택에서 한 달 동안 주 5회, 회당 40분씩 척추온열마사지 기기를 사용하였다. 주관적 지표는 시각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를 이용하여 사용 전과 후의 피로, 스트레스, 근육통, 혈액순환, 소화불량, 불면증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객관적 지표는 혈압(이완기/수축기) 및 맥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관적 지표에서 피로(-51.5%), 근육통(-49.6%), 혈액순환(-23.1%), 스트레스(-20.9%)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불면증(-20%) 및 소화불량(-7.4%) 증상도 기준선 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객관적 지표에서 혈압은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완기 혈압과 맥압에서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무직 근로자의 척추온열마사지 기기 사용은 온열요법과 물리적 마사지의 동시 적용으로 부교감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신체적 이완 및 정신적 이완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강도 운동을 실시한 비만 쥐에서 정향 투여가 지질과 근육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L. administration on lipid and muscle metabolism in obese rats subjected to moderate-intensity exercise)

  • 김민주;노성수;서성욱;김경;신미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27-4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중강도 운동을 한 비만 흰쥐를 대상으로 정향 투여에 따른 염증 관련 단백질, 근육 합성 및 분해 관련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규칙적인 중강도 운동은 혈청 내 산화 스트레스와 leptin 수준을 억제시켰다. 또한, 염증 관련 단백질을 감소시켰으며, 근육 합성 관련 단백질을 활성화 및 근육 분해 관련 단백질 억제를 통해 근육 대사를 조절하였다. 여기에 정향의 투여는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염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전위활성화 칼슘이온통로의 구조, 기능 및 조절

  • 이정하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2호
    • /
    • pp.38-44
    • /
    • 2001
  • 전위활성화 칼슘통로를 통한 칼슘이온의 세포 내 유입은 근육수축, 시냅스 전달, 호르몬 분비, 효소의 활성도 및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중요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기 때문에 칼슘통로를 대상으로 한 다방면의 연구가 과거 20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칼슘통로는 $\alpha$1, $\alpha$2-$\delta$, $\bet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alpha$1은 칼슘통로의 일반적 특성을 나타내는 기본 구조체이며, $\alpha$2-$\delta$$\beta$$\alpha$1을 조절하는 보조 기능을 한다. 지금까지 10개의 $\alpha$1 subunits(L-형: $\alpha$1S, $\alpha$1C, $\alpha$1D, $\alpha$1F; non-L-형: $\alpha$1A, a1B, $\alpha$1E; T-형: $\alpha$1G, $\alpha$1H, $\alpha$1I), 4종류의 $\beta$ subunits, 3 종류의 $\alpha$2-$\delta$ subunits가 클로닝되었으며, 이들 클론을 이용한 분자 수준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단에서는 칼슘통로의 구조, 기능 및 조절에 대한 연구가 전기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어떻게 수행되어왔는지 살펴보고, 최근 연구성과에 대해서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2C12 세포에서 insulin-like growth factor-I이 p38 MAPK, ERK1/2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발현에 미치는 영향 (Insulin-Like Growth Factor-I Induces Androgen Receptor Coactivator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Cells through the p38 MAPK and ERK1/2 Pathways)

  • 박찬호;김혜진;김태운;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2-2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2C12 근육 세포에서 IGF-I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IGF-I 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엔드로젠 수용체의 coactivator인 GRIP-1, SRC-1, ARA70 유전자들의 단백질과 mRNA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p38 MAPK와 ERK1/2 신호전달 경로 억제제인 SB203580과 PD98059를 IGF-I과 함께 처리한 결과 IGF-I에 의한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의 증가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가 엔드로젠 물질이 없이도 IGF-I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다는 사실은 운동에 의해 근육에서 분비가 증가하는 IGF-I이 리간드 비의존적으로 근육 세포에서 엔드로젠 수용체 활성화 안정에 기여하는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IGF-I의 하부신호전달 경로로 잘 알려진 p38 MAPK와 ERK1/2 신호전달 경로를 차단하였을 때는 발현이 억제되었는데 이를 통해 IGF-I이 근육세포 내에서 p38 MAPK, ERK1/2 경로를 통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근육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IGF-I이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IGF-I에 의한 리간드 비의존적인 엔드로젠 수용체 coactivator 유전자 발현 조절에 있어 p38 MAPK와 ERK1/2는 필수적인 신호전달 경로임을 확인하였다는 데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향후 다양한 성장인자들에 의한 coactivator 발현에 관한 연구를 비롯하여, corepressor의 발현 억제 기능 및 신호전달 경로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dmill Gradient Training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 김신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20-226
    • /
    • 2012
  • 본 논문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트레드밀 경사도 훈련이 하지 근육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2명의 대상자를 무작위로 대조군인 $0^{\circ}$훈련군 10명과 실험군인 $5^{\circ}$훈련군 10명과 $10^{\circ}$훈련군 12명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6주간의 훈련 후 하지 근육 중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활성도 정도를 근전도를 통해 검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넙다리곧은근과 장딴지근은 각 그룹에서 각각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지만 넙다리두갈래근과 앞정강근은 실험군에서만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또한 각 그룹간 비교에서는 넙다리곧은근이 대조군과 $5^{\circ}$훈련군 사이에서 앞정강근이 대조군과 $10^{\circ}$훈련군 사이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트레드밀 경사도 보행 훈련이 하지 근육의 활성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