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육수축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1초

테이핑 유무에 따른 견관절 등척성 굴곡.신전 시 주동근의 근전도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houlder Joint on Agonists' EMG Activities with and without Taping during Isometric Flexion and Extension)

  • 하용인;강영택;이경순;서국웅;서국은;이일구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5-95
    • /
    • 2008
  • 이 연구는 6개월 이상 웨이트 트레이닝을 한 남자 대학생을 사이벡스와 EMG 시스템으로 견관절 $0^{\circ}{\cdot}45^{\circ}{\cdot}90^{\circ}$에서 굴곡 신전 시 측정된 극상근, 전 후면 삼각근, 상완 이두근 삼두근, 광배근의 MVIC를 비교, 견관절 등척성 수축 시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여 상지근육의 활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테이핑 전 후 각 근육별 MVIC는 1. 굴곡시 극상근은 $0^{\circ}{\cdot}45^{\circ}{\cdot}90^{\circ}$, 전면 삼각근은 $0{\circ}{\cdot}45^{\circ}$, 상완 이두근은 $0{\circ}{\cdot}90^{\circ}$에서 테이핑이 유의하다. 2. 신전시 상완 삼두근은 $0^{\circ}$, 광배근은 $90^{\circ}$, 후면 삼각근은 $45^{\circ}{\cdot}90^{\circ}$에서 테이핑이 유의하다. 3. 각도별 차이에서 광배근 신전시 노테이핑 $90^{\circ}<45^{\circ}{\cdot}0^{\circ}$, 테이핑 $90^{\circ}<0^{\circ}$, 후면 삼각근 신전시 노테이핑 $90^{\circ}<45^{\circ}<0^{\circ}$, 테이핑 $90^{\circ}<0^{\circ}$ 순으로 유의하다.

체위 변화시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 (Changes in Blood pH, $Pco_2$ and $Po_2$ During Passive Tilt)

  • 전상연;채의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2권1_2호
    • /
    • pp.35-40
    • /
    • 1978
  • 경사대에 의한 수등적체위 변화시 분시 호흡수, 혈액 pH, $PCO_2$$PO_2$의 변화를 관찰하고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체위변화시 호흡수는 기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에 비해 감소하고 도립위에서는 많은 증가를 보였다. 혈액 pH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0.2%가 증가되었고 정맥혈은 0.3%가 감소하였다. 도립위에서는 수평대조치와 거의 변화가 없는 값을 나타내었다. $PCO_2$는 기립위에서 수평대조치에 비해 동맥혈은 8.3%, 정맥혈은 0.3%가 감소되었고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20.1%가 감소되고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정맥혈은 7%가 감소되었다. $PO_2$는 기립위에서 동맥혈은 2%가 증가, 정맥혈은 21.7%가 감소되었으며 이것은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변화였다. 도립위에서는 동맥혈은 11.4%가 증가되고 정맥혈은 14.1%가 감소되었다. 도립위에서 동맥혈의 $PO_2$가 증가 되는 원인은 도립중의 과도호흡하에 의한 것이라 사료되며 정맥혈의 $PO_2$의 감소는 도립중의 근육수축에 연유하는 산소소비량의 증가가 그 원인이라고 사료된다. 또 도립위에서 $PO_2$가 감소하고 수소ion의 감소가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pH가 증가하지 않는것은 산소소비가 증가되고 정맥혈의 $PO_2$가 감소되는 것으로 봐서 염기성해당으로 젖산이 증가된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 PDF

기울기 분석과 굴곡점 검출을 이용한 ECG 기저선 잡음 제거 알고리즘 (ECG Baseline Wandering Removing Algorithm using Slope analysis and Curve Point Detection)

  • 조익성;권혁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105-2112
    • /
    • 2010
  • 심전도의 잡음 성분은 일정한 주파수대역에 분포하지 않고 측정자의 신체 및 환경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신호로 나타난다. 특히 기저선 변동 잡음은 전극을 부착한 부위의 근육수축과 호흡의 리듬에 따라 0 ~ 2[Hz] 범위의 주파수 성분이 원 신호에 섞여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를 분석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기저선 변동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으나 기존의 방법들은 많은 연산량으로 인한 처리시간이 길어지고 원 신호 성분을 왜곡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원신호의 변형을 줄이고 계산량의 복잡도를 최소화하는 효과적인 기저선 변동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신호의 기울기를 분석하여 기저선 변동 구간 및 굴곡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구간의 최소값에서 최대값까지를 근사화하여 원 신호에서 이를 감산함으로써 기저선 변동 곡선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MIT-BIH 데이터베이스 101번, 111번, 113번, 234번 레코드 중 기저선이 변동된 신호를 대상으로 0~2[Hz]와 2~40[Hz]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평균자승오차를 각각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원신호의 왜곡과 계산량의 복잡도를 최소화하여 효과적으로 기저선 변동을 제거하였다.

요가운동프로그램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Yoga Program on Idiopathic Scoliosis)

  • 엄찬일;서준환;홍성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427-43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를 대상으로 요가 운동 요법을 통하여 척추 측만각도 즉 요추 Cobb's angle의 정도를 분석하여 요가 운동 프로그램이 특발성 척추 측만연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요가 운동 프로그램은 척추주변의 근육들의 지나친 긴장을 풀고 이완된 근육은 수축운동을 통하여 유연성과 탄력을 회복하여 운동 시 주동근과 길항근의 균형을 맞추고 협력근과의 조화로운 상태가 척추측만에 도움될 것으로 판단하여 골반운동과 척추 비틀기 운동을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 C병원에서 특발성 척추 측만증 진단을 받은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요가 운동 프로그램으로 주5일, 1일 60분, 12주간 실시하여 요가 운동프로그램이 특발성 척추 측만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 전, 후 방사선을 통하여 요추의 Cobb's angle을 측정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요가 및 척추 전문가와 함께 연구하여 동작을 추축하였다. 둘째, 개발된 척추측만증에 대한 요가 운동 프로그램을 특발성 척추 측만증을 갖고 있는 여중생에게 12주간 실시하였다. 셋째,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 대한 요가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성과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운동 전보다 5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p=0.006)특발성 척추 측만증이 개선되었다.

카드뮴 노출이 붕어(Carassius auratus)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dmium Exposure on Tissues of Carassius auratus)

  • 신명자;권오창;이종은;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90-1497
    • /
    • 2010
  • 본 연구는 Cd에 노출시킨 붕어를 통하여 각 조직에 축적된 Cd 양과 항산화효소 활성을 통해 생리적인 변화 및 아가미와 신장 조직에서의 미세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Cd을 처리한 실험군 붕어 조직 내 Cd의 함량은 아가미 조직에서 가장 높았고 근육 조직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모든 조직에서 Cd의 함량은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노출 20일에 가장 높았다.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아가미와 근육 조직에서 높았으며, 신장과 간 조직에서 낮았다. 모든 조직에서 SOD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SOD와 CAT의 활성은 10일에 높은 활성을 보이고 감소하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Cd에 20일간 노출시킨 붕어의 아가미 조직은 대조군 아가미 조직에 비하여 노출기간이 길어질수록 새변 사이에 점액세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이차새변에서는 부종, 상피세포의 박리와 새변과 새변이 융합한 형태도 관찰되었다. 또한 아가미 조직의 미토콘드리아와 핵에서는 막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신장 조직은 대조군에서 보우만 주머니 안에 사구체가 꽉 찬 정상구조였으나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사구체가 수축하여 보우만 주머니 안의 공간이 넓은 형태로 관찰되었다.

흰쥐 일과성 뇌허혈 시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신경아교세포증에 대한 전침의 효과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Reactive Gliosis Expressing GFAP in Rat with Transient Global Cerebral Ischemia)

  • 조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41-352
    • /
    • 2011
  • 본 연구는 전침자극이 일과성 뇌허혈이 유발된 흰쥐 대뇌피질에서 GFAP으로 표지되는 반응성 별아교세포증에 미치는 효과를 동정하기위해서 시행되었다. 실험동물은 전침자극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였고, 다시 각 집단을 1일, 3일, 7일 군으로 나누어 각기 15마리씩 무작위 배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침은 인체의 족삼리, 곡지, 음릉선에 상응하는 부위에 자침하고 2 Hz의 근육수축이 현저히 보일 때까지 고강도 (1mA)를 자극하였으며, 전침은 연속파, 직각파, 0.2 ms duration으로 매일 1회 오전 10~12시에 10 분 씩 총 10 회 시행한 뒤, 뇌의 조직절편을 제작하여 GFA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 하였다. GFAP의 발현은 뇌허혈로 인해 손상이 유발된 대뇌피질의 혈관주위 및 대뇌피질에서 현저하게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실험군에서 면역조직화학적으로 표지된 별아교세포들을 계수한 바, 대조군에 비해 뇌허혈이 유발된 1 일 군에서 전침자극군이 약간 감소하였고, 3 일 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7 일 후에는 그 감소정도가 둔화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대조군에 비해 전침자극군에서 GFAP으로 표지된 별모양아교세포의 수가 모두 감소한 것은 전침자극에 의해 손상의 정도가 감소하여, 전침자극이 신경가소성을 유발시키고 있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지능형 대퇴 의족 사용자의 의도 검출을 통한 제어 모드 변경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 Change Technique of Intelligent Above-Knee Prosthesis Based on User Intention Capture)

  • 신진우;엄수홍;류중현;이응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54-765
    • /
    • 2020
  • 최근 다양한 환경에서의 보행과 특정 동작에서 해당 모드를 지원하는 지능형 대퇴 의족이 개발되고 있다. 계단 상행, 하행과 같은 특정 제어는 동작 전 모드를 변경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를 기반으로 제어명령을 구분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대퇴 의족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기반하여 다양한 제어명령을 구분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근전도 신호의 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평상시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 및 주파수 성분과 압력센서로 추정한 근육의 부피 정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근전도 신호를 보상하는 것이며 실험을 통해 근피로가 축적되어 있는 상황에도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상된 사용자 의도 검출 기법을 통해 정해진 시간 내 근육의 수축 횟수를 기반으로 5개의 제어모드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험 결과 운동 후 근피로로 인해 근신호의 세기가 평시와 다를 경우에도 근신호 보상을 통해 97.5%의 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복부드로우인기법의 효과 (Effect of Abdominal Draw In Maneuver in Sitting Position)

  • 김선칠;김신균;김창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07-214
    • /
    • 2017
  • 몸통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면 허리에 통증이 발생된다. 허리 불안정성을 해소하기 위한 몸통안정화운동 방법 중 하나인 복부드로우인기법(ADIM)은 복부안정화근육 중 선행적자세조절과 관련된 배가로근에 대한 선택적인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법이다. ADIM은 일반적으로 바로누운자세에서 허리 밑에 압력생체되먹임장치(PBU)을 적용하여 시각적되먹임을 한 상태에서 실시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앉은자세에 비해 기능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로누운자세와 앉은자세에서 실시하는 ADIM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1명의 건강한 남녀를 대상으로 무선 근전도를 이용해 배곧은근(RA), 배바깥빗근(EO), 배가로근/배속빗근(TrA/IO), 그리고 척추세움근(ES)에 대한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RA와 EO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TrA/IO와 ES에서는 두 자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 RA에 비해 TrA/IO의 활성도가 높게 나타나 ADIM로 인한 몸통안정화는 두 자세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TrA/IO와 ES는 앉은 자세에서 더 높은 활성도를 보여 자세 안정화 근육의 활성도가 앉은 자세에서 더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앉은 자세의 ADIM은 허리안정성 향상에 유용할 것이다.

효율적인 QRS 검출을 위한 형태 연산 기반의 기저선 잡음 제거 기법 (Baseline Wander Removing Method Based on Morphological Filter for Efficient QRS Detection)

  • 조익성;김주만;김선종;권혁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66-174
    • /
    • 2013
  • 심전도 신호의 QRS 검출은 심장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측정할 때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잡음성분들로 인하여 이를 분석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가장 큰 문제를 야기하는 부분이 기저선 변동 잡음인데 전극을 부착한 부위의 근육수축과 호흡의 리듬에 따라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일반인들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에서는 이를 위한 심전도 신호의 실시간 처리가 필요하다. 즉, 최소한의 연산량으로 대상 환자의 특징을 파악하여 정확한 QRS를 검출할 수 있는 적합한 알고리즘의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QRS 검출을 위한 형태 연산기반의 기저선 잡음제거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형태 연산을 통한 전처리 과정과 적응형 윈도우를 통해 QRS를 검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심전도 기저선 변동 잡음 제거 시 사용되는 기존 필터와의 신호의 왜곡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MIT-BIH 부정맥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R파 검출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형태 연산을 이용한 방법이 적은 연산량으로 충분한 잡음제거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툴리눔 독소를 이용한 치은과다노출증의 치료 고찰 (Treatment of gummy smile using botulinum toxin: a review)

  • 명양호;우건철;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61-72
    • /
    • 2021
  • 아름다운 미소는 좌우 대칭을 이루며 2 - 3 mm 치은을 보이는 상태를 일컫는다. 과다한 치은노출은 "거미 스마일"로 불리며 미적 장애로 인식되어 왔는데 원인으로는 지연맹출, 상악의 과도한 수직성장, 윗입술의 과도한 움직임 또는 짧은 윗입술로 등으로 보고되어왔다. 한편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세균에서 생성된 외독소인 보툴리눔 독소는 투여된 부위의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의 유리를 막아서 근육 수축을 약화시켜 윗입술 과잉 운동으로 인한 치은과다노출증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주목 받고있다. 현재까지 입술 주변 근육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입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아직 표준화 된 연구 방법과 치료 방법이 없어 치료 효과에 대한 논란이었다. 본 종설의 목적은 이러한 지난 과거의 연구들에서 적응증을 선택하기 위한 요소 및 보툴리눔 독소 치료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치은과다노출증에서 보툴리눔 독소 주사의 최적의 용량과 최적의 주사부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