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근무 지역

Search Result 92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the Foodservi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Systems Located in Daegu and Kyoungbuk Area (대구.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소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조사)

  • 박영숙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2 no.6
    • /
    • pp.536-54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employees in the Daegu and Kyoungbuk area and to compare their job satisfaction among 3 types of school foodservice systems.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49 elementary schools and collected from 49 dieticians and 201 employees. The survey form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Job Descriptive Index(JDI) with the five facets of a job: the work itself, promotion pay, supervision and colleagues.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fi:equency, mean, $\chi$$^2$-test, t-test and one-way ANOVA. The average JDI scores for dieticians and foodservice employees were 127.31 $\pm$ 24.51 and 136.78 $\pm$ 19.18, respectively. The foodservice workers survey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work itself, the supervision and the colleagues than with the pay and the promotion. While dietician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romotion and salary, foodservice employees were more satisfied with work salary, and colleagues. The foodservice worker's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age, education, work experience, school type and job typ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 PDF

The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ist (울산지역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 관련요인 분석)

  • Lee, Ga-Ryo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5 no.4
    • /
    • pp.155-16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assess work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an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work performance.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7 dental hygienists working dental clinics based in Ulsan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005 through July 2005. A total of 7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SPSS 11.5 program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l data were expressed in terms of numbers, percentage and mean sco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and Esthetical competency group. 2. Unmarried dental hygienists demonstrated better work performance than married dental hygienists in Scientific, Esthetical and Personal competency groups,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By education level, those with junior college degree had better work performance than those who are attending or graduated from college in the four groups. By workplace, those who were working at non-general hospital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in the three groups except the Ethica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monthly pay and work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Personal and Esthetical competency groups. 5.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work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work experience and performance in the other three groups. 6. By working environment, those who were working with assistant nurses showed a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an those working without assistant nurses in the Scientific competency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Work Ethic on Job Environments and Job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Retraining Program for Personal Assistants- (활동보조인의 자기효능감과 직업의식이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보수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Park, Bong Gil;Shin, Jun Ok;Choi, Seung Min
    • 재활복지
    • /
    • v.17 no.4
    • /
    • pp.197-219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efficacy and work ethic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training program for personal assistants to influence job environment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330 personal assistants working at the Personal Assistance Association of Gyeonggi-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relative effec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work ethics should have an impact job environments and job environments should have a positive impact job satisfaction. The retraining program for personal assistants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thics and job environments. However, the findings did not support the moderator effect on the retraining program for personal assista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environments. Using these findings, social work administration agency, in particular, can be guided in term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under social work administr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 status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for adults focusing 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영양지수를 이용한 제조업 근로자의 영양상태 평가 및 관련 요인 연구)

  • Yim, Ji Suk;Heo, Young Ra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5
    • /
    • pp.488-502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Nutrition Quotient for adults (NQ-A), focusing on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38 industrial workers in Gwangju. Their dietary information was analyzed using a questionnaire of NQ-A, which consisted of 21 checklist items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scores of NQ-A and its 4 factors (balance, moderation, diversity, and dietary behavio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χ2 test,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NQ-A score was 45.3 for the total subjects, indicating a low grade. Non-shift work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balance, diversity, and moderation factors than shift workers. Forty-three (8.7%) shift workers and 123 (50.8%) non-shift workers had good NQ-A scores, whereas 453 (91.3%) shift workers and 119 (49.2%) non-shift workers required monitoring for nutrition.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NQ-A were the working pattern (p < 0.001), gender (p < 0.001), family composition (p < 0.001), age (p < 0.001), and household income (p < 0.001).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Q-A score for moderation (F = 141.930, p < 0.001), diversity (F = 98.998, p < 0.001), balance (F = 52.329, p < 0.001), and dietary behavior (F = 12.895, p < 0.001). As a result, shift work and gende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balance (β = -0.372, p < 0.001), diversity (β = -0.316, p < 0.001), and moderation (β = -0.507, p < 0.001) factors in NQ-A. Gender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dietary behavior in NQ-A. Conclusion: Shift work and gender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NQ-A. To manage workers' health better,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ing pattern and gender.

강원지역 보건진료원에 관한 업무 분석 연구

  • Jo, Won-Jeong;Lee, Gyeong-Ja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172-173
    • /
    • 1989
  • 본 연구는 전국의 보건진료원이 하는 업무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보건진료원 제도 정착에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강원도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에 있는 보건진료원 전수로 하였고 이중 응답자수는 108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과 간호교육자들에 의해 작성 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피어슨 상관계수를 구하였고 유의성 검정을 위해서 t-test, ANOVA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인 보건진료원의 평균 연령이 31.5세이며 과반수의 보건진료원이 30세 미만 이었고 기혼자가 마혼자보다 약간 많았다. 보건진료원의 반수 이상이 현재 가족과 동거하고 있었고 학력은 3년제 간호전문대학 졸업자가, 경력은 3년 미만인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이 대부분 이었으며 종교를 가진 사람이 안가진 사람보다 더 많았다. 또한 보건진료원의 근무지역 조건은 대부분이 을지에서 근무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보건진료원이 신축된 보건진료소 시설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보건진료소 내의 숙소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냐타났다. 2) 보건진료원이 담당하는 평균 주민수는 1,660.8명 이었으며 과반수 정도의 보건진료원이 $501\sim1,000$명이 이상적인 적정 담당 주민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강원도 주민의 연평균 보건진료소 이용자수는 4,099.3명 이었고 이용 주민수가 5,000명 이상인 보건진료소도 11개소 12.9 %나 되었다. 3) 보건진료소 사업대상지역 내에 있는 보건 의료기관은 약방 및 약종상이 62.1 %로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보건지소도 16 %나 사업대상지역 내에 함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보건의료기관 이용은 보건진료소가 59.0 % 로 지역주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보건 진료원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뢰기관은 뱅 의원이 66 %, 보건소가 36.4 %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진료소의 보건의료기관과의 협조관계는 보건소와는 과반수 정도가 잘 협조하고 있다고 응답 한 반면 보건지소와 잘 협조하고 있다고 응답한 율은 37.6 % 밖에 안되었다. 4) 보건진료원이 업무영역 수행 정도를 살펴 보면 5점 만점에 통상질환관리가 3.69점, 사업 운영 관리 및 지도는 3.45점,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은 3.28 점,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은 3.27 점,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은 3.17 점, 사업 계획 수립은 3.14 점, 지역사회 보건관리는 3.13 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을 l 일 8 시간으로 하여 l 주 44 시간을 기준으로 측정하면 통상질환관리 18.56시간, 지역사회 보건관리 5.67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2 시간, 사업 운영관리 및 지도 4.10시간,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05 시간,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 2.94 시간, 사업계획 수립 2.89시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상판판계를 살펴보면 지역사펴 조직 및 개발을 위 해 소요한 시간은 사엽계획 수립 소요시간 및 보건정 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사업 계획 수립 소요시간은 지역사회 보건관리,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소요시간 및 보건정보체제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통상질환관리 소요시간은 지역 사회 조직 및 개발, 사업계획 수립, 지역사회 보건관리와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보건정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보건진료원의 총 업무수행 정도를 잘펴보면 업무수행 점수의 평균은 87.5점이었으며 보건진료원의 근무지가 병지이고 보건진료소의 시설상태가 나쁜 경우 업무수행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수행 정도와는 별 차이가 없었다.

  • PDF

A Study on Public Health Doctors' Participation in District Public Health Program of Health Sub-centers in Korea (보건지소 공중보건의사의 지역보건사업 참여 실태)

  • Lee, Jae-Chun;Park, Yong-Moon;Ahn, Song-Vogue;Lee, Hae-Young;Hwang, Jin-W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8 no.1
    • /
    • pp.53-66
    • /
    • 2003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medical care around health sub-centers, public health doctors' participation and opinion in the process of district public health program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036 public health doctors who worked at health sub-center all over the country. The data were collected for Feb, 2002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by mail. Results: One or two doctors were working at health sub-center and 33.5% of health sub-centers wa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separation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There were another medical facilities in 45.9%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eup or myon) where health sub-centers were located. The count of medical utilization went down to 14.8${\pm}$14.8 per a day in Nov, 2001 from 18.0${\pm}$15.6 in May, 2000, and the decline was much more in the region of the separation of prescription and dispensing. Among public health programs in health sub-centers, public health doctors participated mostly in preliminary medical examination for vaccination and least in health education. They participated in implementation rather than planning or evaluation of health program. Over a half of public health doctors were found to be positive that health programs implemented in their health sub-centers would promote the level of health in community people and they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district public health program if community people were in need. Conclusions: Recently health sub-centers are required to turn into health promotion facilities rather than medical practice facilities. Health program in health sub-centers will be advanc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by turning the role of public health doctors who have provided medical services mainly into managing health program. Persistent education about managing health program and the policy to motivate participation in health program should be provided for public health doctors.

  • PDF

A Study on the Radiation Safety and the Vocational Consciousness of the Diagnostic Radiotechnologists (3) 진단방사선사의 방사선안전관리 및 직업의식에 관한 조사)

  • Lee Kang Woo;Kim Kyung Bae;Kim Jae Kwon
    • Journal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77-191
    • /
    • 1999
  • We conducted a survey into the radiation safety and their vocational consciousness in May in 1998. The population consisted of 273 diagnostic radiotechnologists who have worked in medical institutions in Chonbuk province. The results was as follows; 1. In

  • PDF

Study of VDT Work Environment for Nurses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VDT 작업 간호사들의 작업환경에 관한 연구)

  • 권영국;김순례;원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77-580
    • /
    • 2000
  • 종합병원에서는 많은 환자들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각종 자료를 전 산화하고 있으며, 그곳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VDT (Visual Display Terminal) 앞에서 작업시간의 대부분을 보내야만 한다. 간호사들의 요통 유병률이 타 직종에 비해 높은 편이며, 업무와 관련해서 경험한 요통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고, 사고보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실제의 요통 발생률은 보고된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1]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이유에는 여러 원인이 있겠으나, 그 중에서 특히 VDT작업을 하는 간호사들과 작업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서울 지역의 일부 종합병원 VDT(Visual Display Terminal) 작업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VDT 작업 간호사들의 설문지 응답과 직무분석 그리고 작업자세와 작업환경조건 등을 고려하여 VDT증후군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VDT 관련 직업병 예방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분석결과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및 업무활동과 통증발생 결과간에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RULA 프로그램 분석결과인 Level 5가 나왔으며, 이는 3단계 위험수준을 가리키는 것으로 곧 작업환경을 바꾸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직장인의 강점인식이 은퇴(퇴직)후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Park, Hye-Seong;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49-151
    • /
    • 2018
  • 본 연구는 강점인식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였고 강점 활용을 매개로 하였을 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국내 유일의 기업도시와 혁신도시가 공존하는 원주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공기관 근무 직원 및 퇴직자와 일반기업 근무 직원 및 퇴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 활용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강점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강점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강점 활용은 강점인식과 창업의지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직장인의 고용불안은 은퇴 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창업시장의 전쟁터로 내몰고 있음에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선제적인 본인 스스로의 강점을 인식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은퇴 후의 직장인들의 창업의지에 강정인식과 강점 활용의 중요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Investigation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Factors for Innovation Cluster Development in Busan (부산지역 혁신클러스터 평가요인 도출과 적용)

  • Lim, Chaehyun;Jo, Hyeyun;Heo, Pilwoo;Bark, Pyengmu;Kwak, Kih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8a
    • /
    • pp.17-30
    • /
    • 2017
  • 지역단위의 분권화에 따라 각 지역적 상황과 산업적 시장적 환경과 내생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혁신클러스터 성장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국가 및 지역의 발전전략에 필요한 보편적인 혁신전략이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혁신시스템의 구성요소인 대기업 및 벤처기업 근무자를 대상으로 혁신클러스터의 평가요인에 대하여 정책적 지원 제도, 사회적 인프라,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환경과 각 요인별 세부 항목에 대하여 중요성을 판단하고 정책적인 시사점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방법적으로는 부산지역 대기업 및 벤처기업 종사자 2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응답 결과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그 결과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환경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그 중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 부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산지역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지역혁신시스템의 강점과 취약점을 분석하고 정책적으로 더 강화시켜나가야 할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