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력 활성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3초

교차적 슬관절 굴곡-신전 시 슬관절 굴곡근의 구심성 수축에 의한 선행부하가 대퇴사두근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Facilitation of Quadriceps Activation Following a Concentric Knee Flexion During Reciprocal Knee Movement: The Influence of Muscle Preloading)

  • 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5
    • /
    • 2003
  • 본 연구는 슬관전 신전 직전에 수행된 선행 슬관절 굴곡이 슬관절 신전근의 최대 근력발생 및 근육 활성도(activ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6명의 정상인이 Cybex II 등속운동기구에서 3가지 다른 운동 속도($100^{\circ}/s$, $200^{\circ}/s$, $300^{\circ}/s$)와 2가지 다른 근육 활성 조건(선행부하가 없는 조건과 선행부하 조건)에서 슬관절의 최대 신전을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들에게 선행부하 없는 조건에서는 $90^{\circ}$ 슬관절 굴곡 상태에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수행하도록 하였고, 선행부하 조건에서는 구심성 슬와부 근육의 구심성 수축으로 $0^{\circ}$에서 $110^{\circ}$까지 굴곡한 후, 다시 $0^{\circ}$까지 최대 신전을 하도록 요구하였다. 종속변인으로는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최대 근전도와 최대 신전근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최대 근전도와 최대 근력 모두 선행부하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근력은 감소하는 전형적인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이 본 실험에서도 나타났다. 또한 운동속도와 전환속도 간의 간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슬관절 신전근에 선행부하(preloading)를 가하는 것이 최대 근력-운동속도 상관법칙(force-velocity relation)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선행부하로 인해 증가된 최대 근력 및 근 활성도의 증가는 주로 신경촉진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세 가지 도수근력 검사 자세에서 상부 승모근의 독립적 수축 : 융합적 연구 (Isolated Activation of the Upper Trapezius in Three Manual Muscle Testing Position : Convergence Study)

  • 하성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83-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상부 승모근 근활성도에 대한 정규화를 하는 동안, 어떠한 도수 근력 검사 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선택적 활성화에 최적화된 자세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8명의 성인 남.녀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상부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근전도를 이용하였다. 세 가지 도수근력 검사 자세에서 견갑거근에 대한 상부 승모근의 활성비를 측정하였다. 다른 측정 자세와 비교하여 S-MVIC 자세에서 유의하게 높은 상부 승모근/견갑거근 근활성비(S-MVIC: 80.25, T-MVIC: 76.50, C-MVIC: 60.95)를 보였다. 그리고 C-MVIC와 비교하여 T-MVIC가 유의하게 높은 상부 승모근/견갑거근 근활성비를 보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T-MVIC 검사 자세에서 S-MVIC로 상부 승모근 근전도 정규화 검사 자세를 바꾸는 것이 상부 승모근의 선택적 근활성도 수집의 정규화 신뢰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전 측정방법과 비교하여 S-MVIC를 이용한 상부 승모근 근력 또는 근활성도 측정방법은 상부 승모근의 근력 또는 근활성도의 독립적 측정이 가능하다.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 시 무릎 감쇠효과를 고려한 대퇴사두근의 근력 및 근활성도 예측 (Identification of Muscle Forces and Activation of Quadriceps Femoris Muscles of Healthy Adults Considering Knee Damping Effects during Patellar Tendon Reflex)

  • 강문정;조영남;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호
    • /
    • pp.57-62
    • /
    • 2014
  • 인체 해석모델은 주로 인간이 의식적으로 행하는 운동을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의식적 운동과 달리 슬개건 반사는 뇌를 거치지 않고 일어난다.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의 슬개건 반사로 인한 대퇴부의 근력과 근활성도를 해석적으로 예측하고자 하였다. 해석 모델은 시상면에서 평면운동을 하고, 앉은 자세에서 상체와 허벅지를 고정시켜 종아리만 진자 운동이 가능하도록 모델링 하였다. 무릎은 레볼루트 조인트로 모델링 하였고, 발목관절은 고정시켜 종아리와 발을 하나의 강체로 가정하였다. 근력은 Mamizuka 의 실험 결과로부터 얻은 운동학 정보를 이용하여 역동역학 해석을 통해 구하였으며, 근활성도는 Hill-type 근육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해석 결과는 실험결과를 통해 검증되었다.

체간 안정화운동이 만성 요통환자의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the Isometric Muscle Power and Muscle Activation in Chronic Low Back Pain)

  • 김형수;형인혁;김은영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5-124
    • /
    • 2008
  • 본 연구는 만성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의 방법 중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이 요통장애지수, 근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각 중재 군들은 6주 동안 주 5회,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 중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요통장애지수는 중재 기간에 따라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중재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하여 통증과 장애정도가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2. 근력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은 모든 각도에서 중재 6주 후에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증가하였다. 3. 근활성도는 복횡근은, 내복사글 복직근은 매트 볼 운동군, 슬링 운동군에서 근력이 증진됨에 따라 근활성도는 증가하였고, 외복사근은 매트 볼 운동군에서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통환자의 치료적 중재에서 체간 안정화 운동은 각 기간 별로 요통장애지수, 근력과 각 근육의 근활성도에서 효율적 영향을 미치며, 보다 많은 적용을 통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오가피와 삼채 등 생약재 추출물의 근력 활성 효과 (Muscle Strength Activity of Herbal Medicine Extracts of Acanthopanax Sieboldianus and Allium Hookeri)

  • 김현경;김호태;이필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55-563
    • /
    • 2024
  • 우리는 한방과 민간요법에서 전통적으로 근력증대와 근감소증 예방, 근육합성 촉진, 연골과 인대 관절강화 등에 사용되어온 천연물 약재를 선정하였다. 이와 관련된 효능이 보고된 총 아미노산을 분석하고 근력약화 및 근감소 현상도 생체의 노화촉진 증상의 일환으로 간주하여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인삼 및 삼채의 가공제조 과정에서 주종 Arginine 함량의 변화는 건조 백삼 114.07mg/100ml 대비 증숙 홍삼 99.48mg/100ml 및 건조 삼채 118.90mg/100ml 대비 증숙 삼채 54.69mg/100ml으로 감소하였다. 섬오가피 야생 뿌리와 가시오가피 지상부 잔가지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현저하게 높았다. 한편 DPPH활성은 건조백삼과 건조 삼채에 비하여 증숙 홍삼과 증숙 삼채가 높았으나, ABTS 활성은 건조백삼 41.96% 대비 증숙 홍삼 66.88%로 증가를 보였으나 건조 삼채 77.48% 및 증숙 삼채 77.52%의 활성은 유사하였다.

저강도 저항운동의 속도 차이가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Speed on Body Composition, Muscle Activity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en)

  • 이우중;서상원;이호성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6권4호
    • /
    • pp.575-58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비만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저강도 저항운동의 속도 차이가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비만중년여성 24명을 일반속도의 저항운동집단(normal resistance training speed group; NSG, n=12) 및 느린속도의 저항운동집단(slow speed resistance training group; SSG, n=12)으로 무작위 분류하였다. NSG는 신장성 수축 1초, 등척성 수축 1초 및 단축성 수축 1초의 총 3초간으로 구성하여 35회 3세트를 실시하였으며, SSG는 신장성 수축 3초, 등척성 수축 1초 및 단축성 수축 3초의 총 7초간으로 구성하여 15회 3세트를 실시하였다. 1RM 30%의 저강도 저항운동은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세트 당 105초, 세트 간 1분 및 운동 간 3분의 휴식시간, 그리고 주 2~3회의 4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운동전과 운동 4주후에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신체조성에서 NSG는 WHR에서, SSG는 체지방률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근활성도에서 NSG 및 SSG는 위팔두갈래근, 안쪽넓은근 및 가쪽넓은근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p<.05). 근력에서 NSG 및 SSG는 biceps curl 및 leg extension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하지만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집단 간의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신체조성, 근활성도 및 근력은 저항운동의 속도차이(반복횟수)보다는 저항운동의 수행시간(근수축 발생시간)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웰니스를 위한 호흡기능, 하지근활성도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중심으로 - (Effects on the Respiratory Functi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and Balance for the Wellness of Stroke Patients - Focused on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Combined with Breathing Exercise -)

  • 강정일;양상훈;정대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97-40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진동이 결합된 들숨근 훈련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 개선 및 다리근육의 기능향상을 위한 운동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뇌졸중 환자 21명을 임상 표본추출하여 호흡운동을 결합한 전신진동운동을 적용한 집단 11명을 실험군I로, 호흡운동을 결합한 위약운동을 적용한 집단 10명을 실험군II로 각각 무작위 배치하여 5주 간, 4일/주, 1회/일, 4세트/1회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최대들숨압 측정기로로 호흡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 근전도로 하지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버그발란스 검사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후, 5주 후에 사후검사를 사전검사와 동일하게 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 및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실험군II의 집단 내 변화 비교에서는 호흡근력과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집단 간 변화 비교에서는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의 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향후에도 신경근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호흡운동과 전신진동에 대한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유산소 병행 운동과 순수 저항 운동의 근활성도 및 근 두께의 변화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Thickness of Resistance Exercise added Aerobic Exercise and Pure Resistance Exercise)

  • 이병훈;유재영;정진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763-769
    • /
    • 2013
  • 본 연구는 넙다리 부위의 근력 증진을 위해 순수 저항운동과 유산소 병행 저항운동의 효과를 비교해 임상에서 근력증진을 목적으로 한 운동 프로그램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넙다리 곧은근의 근활성도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군간 비교에서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넙다리 곧은근의 두께는 두 군 모두 실험전에 비해 실험 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측정 시기에 따른 군간비교에서 실험후에 순수 저항 운동군에 비해 유산소 병행 저항 운동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근력 증진을 목적으로한 순수 저항 운동보다 저항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는 유산소 병행 운동이 근활성화 및 근 비대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구급대원의 테이핑 적용이 근력 및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aping on the muscle strength and flexibity of the paramedic)

  • 김미연;김근희;신동민;조병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35-238
    • /
    • 2017
  • 소방 구급 업무는 매년 증가 추세에 있으며, 119 구급대원의 부상은 들것으로 과체중의 환자 이송 및 구출 작업 시 급격한 힘을 사용할 때 나타나며 환자 운반 시 몸통의 비틀림 및 체간의 굽힘 등 부적절한 자세로 인하여 근 골격계 질환 및 부상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 응급구조사에서는 47%가 허리 부상의 경험을 말했으며 구급대원들의 요통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적인면의 중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119 구급대원의 근골격 질환자에게 테이핑을 이용하여 실제 작업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환자 이송에 따른 허리 통증 시 통증에 따른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 실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