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대한옥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9초

대구도심지 전통도시주택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prosess of Deagu traditional housing)

  • 최지애;백영흠;김주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8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7-221
    • /
    • 2008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interrelationship for layout of dwelling house and variation of its side plane by introducing concept of space in order to address as to how Korean traditional houses had been formed and varied in the middle of advancing modern city. In addition, this paper also has its meaning in a way that it identified how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been changed, and thus make residents more comfortable to live there by reviving their past characteristics, and make users have traditional food culture. Targeted area for this paper is limited to south-eastern area of Daegu such as Namsanjung, Myeongchijung, Sijangjung, Shinjung and Dalsungjng which was group dwelling houses of people of Chosun Dynasty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era ($1910{\sim}1945$). Among those places, the paper has chosen a place where Korea traditional houses were well preserved, variation of road and fields was less 1930s, and residential type is easy to effectively compared.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ime when traditional cities were changed into new type of city residential area is believed to be around 1930s, and traditional residential area, through its transitional process, is believed to be changed to modern residential area. It also indicates that change of organizational road and fields directly had influence on change of houses.

  • PDF

근대초기 절충형 한옥성당에서 나타난 건축표현체계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 화산성당의 건축적 특성과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forme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al System of Korean Traditional Church Architecture)

  • 진경돈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41
    • /
    • 2001
  • This paper aims at understanding the transforme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al system of Church architecture in Korean traditional style. Through the analysis of transformed forms and its meanings of th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nique process of stylistic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hurch architecture in early modern, 1900'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he analyse of them after the actual field surveys of Korean traditional churches, specially eclecticism churches as the HWSAN church and KUPODONG church, and the analysis of Semiology. Theory for Semantic Interpretation of artistic objects as an objects of art and architecture. Specially, the survey concentrates on the architectural elements(the form, the architectural structure, the material, the roof shape, the window, the door, the bell tower, the plan, etc) of eclecticism churches, especially those of HWASAN church and the analysis of semiology theory contains the research results which were studied by theorists as Charles Jencks, Umberto Eco and Juan Pablo Bonta. Acceding to analysis, Korean eclecticism churches have the unique transformation process and specific meaning of the spontaneous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results of the semiological analysis of HWASAN church, it can be revealed clearly that transformed process of form리 characteristics of HWASAN church intented to formal originality of western Gothic church, but its form and meaning were based not on any simply imported western style but on existing system of Korean architecture.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 근대(近代) 한옥(韓屋)의 유형과 성격 -배치 및 평면유형을 중심으로-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s in Modernization Period(1876-1945) in Kyungpuk Province -Mainly about the Patterns of Site Plan and Plan Layout-)

  • 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3호
    • /
    • pp.89-108
    • /
    • 1997
  • This study has been researched mainly about the gradual changing patterns of site plan and plan layout of 17 sampling traditional houses in kyungpuk province during the time period of 1877-194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ity and trend of the times. Survey and Measured drawing, personal interviews with clients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result is as down below; 1.The certain changes have shown that the furnace in sarangchae(outer wing for men) in ㅁ shaped and ${\ulcorner}$ ${\lrcorner}$ shaped houses served only for that purpose and inner gate has been built in sideward of sarangchae. 2.As living standard was upgraded storage space and size of the rooms got bigger. On the other hand, spacial formation was emphasized by its function accordding to house activities and living circulation because the family members in direct line became reality of the time. 3.The modernistic thought of rationalism and convenience are well expressed in the plan layout and house living as a whole.

  • PDF

개화기(開化期) 서울에서 양식적 건축 요소를 차용한 절충적 한옥(韓屋)의 입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ybrid Characteristics in Architectural Elevations Seoul, between 1876 and 1905)

  • 김정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1-24
    • /
    • 2015
  • There have not been many debates on the subject of Korean architecture during the transformative period of Gae Wha Gi (開化期: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when Western-style buildings first appeared in Seoul. This study begins by finding and recording those buildings in Seoul that show the gradual adoption and appropriation of Western architectural element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By exploring the confluence of two different architectural styles, this paper attempts to look carefully at the hybrid conditions that resulted from encounters between the Koreans and the Westerners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Beginning with discovering the first products of the Western architectural influence in Seoul, this study explores the uneasy co-existence between the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al style, and the Western architectural style. This co-existence ultimately bred new building techniques, and interior layouts; the appearance of these hybrid buildings illustrate the gradual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way, in which users modified, combined and appropriated various elements from both styles. Analyzing historical documents and photos, this study tries to capture a detailed image of the period when the influence of the Western architecture had an unavoidable impact and brought change to the traditional architecture of Korea.

유진경 가옥(현 북촌문화센터)의 원형과 궁궐요소 차용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Palace of Yu, Jin gyeong's Hanok)

  • 박상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5호
    • /
    • pp.7-22
    • /
    • 2014
  • It is identified that an initial person who built of 'Seoul Gyedong Modernized Hanok(former Min Hyeong-gi house)' used as 'Bukchon Culture Center' in present, was not Min Hyeong-gi, but his wife, Yu Jin-gyeong, and she built it when 8 years went on after his death(1879~1973), and the construction year was at the gate of Chuseok in 1921. Yu Jin-gyeong was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in family of Yeo Heung-min who was an influential person at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widow who had only son for 3 generations. And she built this house and moved to gain daughter and live futher grandchilds together in law in new nest. It is arranged that an annex surrounds with main building as the central figure. And this house emulates Yeonkeong-dang in backyard of the Changdeok Palace for 'preservation of main building' and Chim-bang-ga-toe applied on a bedroom in a palace is applied around nobleman family's the main room. It is rare case and expresses that a palace factor is borrowed. Yu Jin-gyeong's house is that a tradition Hanok is adjusted closely in city and central and basing mode as 'protective bedding' and building concept as 'a noble and protective architecture' is realized. So it has a character that development of Hangrang architecture is appeared and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widow of modern upper class had a special benefit. As well as, a meaning that it is experimental house based on tradition and is build of Hanok with housekeeping as the central figure for appear a form which has minimal Hangrang for housekeeping in yangban family of modern city, can be found.

1920~30년대 한국 주택정원 인식과 정원가꾸기 양상 (Perception of Korean Residential Gardens and Gardening in the 1920~30s)

  • 길지혜;박희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8-148
    • /
    • 2022
  • 1920~30년대는 한국 주택환경에 새로운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주거 형태와 유형이 변화하던 전환기 시기에 주택의 정원은 어떤 모습이었을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하였다. 정원은 계속 변화하는 대상이기에 과거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지만, 1920~30년대에 발행된 대중잡지와 신문기사를 통해 당시 사회적으로 주택에서 정원이 어떻게 인식되었고, 거주자는 어떤 배경과 목적으로 정원 가꾸기를 실천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를 통해, 첫째, 경성에 인구가 밀집하기 시작한 도시화 과정에서 정원은 도시에 자연미를 부여하는 방안 중 하나로 주목하게 되었고, 주택마다 정원을 만드는 것을 장려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 분야에서 활발히 추진된 주택개량운동에서도 정원이 위생과 경관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셋째, 매체를 통해 원예 관련 정보가 활발히 제공된 데서 미루어 취미로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이 늘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근대 교육을 받은 정원설계가, 원예가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디자인된 정원'이라는 개념이 형성되게 되었다. 끝으로, 주택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으나 정원 형태는 건축 유형별로 차이가 있기보다는 그 시기 가장 좋게 여겨졌던 형태를 빠르게 도입하는 편이었다. 전통한옥에서도 서양식 정원 형태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도록 배치되며, 이국적 식물종을 식재에 적극 활용하기도 했다. 대중잡지나 기사에 수록된 정원이 지식인층에 한정되어 있지만, 매체의 대중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일면의 대표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1920~30년대 이상적으로 생각하였던 정원의 모습, 주거생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있다.

The study on immaterial role of traditional furniture

  • Lee, Dae-Woo;Moon, Dae-S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39-448
    • /
    • 2010
  • 가구분야는 인간과 밀접한 제품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지만, 근대화 이후 전통가구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이는 생활양식이 바뀌었다기보다 편의와 형태를 추구한 서양식 가구의 다양성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은 한계에 도달했으며 가구뿐만 아니라 디자인분야 전반에 걸쳐 한 단계 나아갈 새로운 역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위한 문제해결방법으로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전반에서 동양의 정신계에 근거를 두고 있는 유심적 가치가 제시되었다. 이는 사라졌던 전통가구가 내포한 유심성에 주목하려는 것이며, 보다 자연적이고 인간과 친숙한 전통가구의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영향이 가치를 인정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전통가구가 오랜 시간을 사용되었던 것은 가구가 갖는 기능성보다 주변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유심적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옥에서 사용된 전통가구를 중심으로 기본적 기능 이외의 역할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난 추가적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심적 역할은 사용자에게 기능 이외의 역할을 제공하고, 가구의 공간지배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역할의 근거로 전통가구가 유물적 관점에서는 추출할 수 없는 사용성 확장, 공간변이, 공간형성과 이동, 위계형성에서 나아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단계에 이르는 많은 역할을 해왔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가구의 유심적 역할이 적용된 현대 공간에서 나타날 기대효과와 가능성의 사례를 통해 지속 가능한 디자인은 물론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대전광역시 건축자산 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Asset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이정수;하승용;권용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24-232
    • /
    • 2020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건축자산 기초조사를 통하여 대전광역시 건축자산 현황을 파악하고, 건축자산의 지역분포, 형성시기, 자산가치 등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발전 및 지역 정체성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전광역시 건축자산의 유형별 구성은 건축물이 86.5%, 공간환경 7.4%, 기반시설 6.1%의 구성비를 지니고 있으며, 공간적으로 구도심지(동구, 중구)에 75.0%가 분포하고 있다. 둘째, 대전광역시 건축자산의 시기별 구성은 1960~1980년대가 52.7%, 한국전쟁 이전이 25.0%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셋째, 대전광역시 건축자산의 물리적 특성은 단층, 주택 및 종교시설, 한식목조의 전통기와, 그리고 시멘트 몰탈 및 목재 마감 재료가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 대전광역시 건축자산은 한국전쟁 이후 대전역 주변의 도시재건 및 부흥, 그리고 1930년대 충남도청의 이전 이후 구시가지의 관사, 은행 및 관공서 분포 등, 한국전쟁 후 부흥 및 근대도시 대전의 성장과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사동 재실 관련 한옥 및 소제동 철도관사는 대전의 지역성 및 근현대사를 반영하고 있다.

서울 송현동 일대의 문화 헤게모니와 장소성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ultural Hegemony and Placeness Changes in the Area of Songhyeon-dong, Seoul)

  • 최지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52
    • /
    • 2022
  • 서울 송현동에 역사문화공원과 이건희 기증관이 조성될 예정이다. 송현동의 역사성은 조선 시대부터 현대까지 정치적 판도에 영향을 받은 시련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장소성 분석은 역사적 맥락보다는 토지소유자와 용도 변화에 국한해서 다루어졌다. 그래서 본 연구는 현대문화지리학과 비교역사학 관점을 활용하여 송현동의 장소성이 문화 헤게모니에 따라 변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사적 이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화주의, 대항해, 시민혁명, 제국주의, 민족자결주의, 민족주의, 대중예술, 신자유주의 같은 범세계 차원의 문화 헤게모니는 송현동을 비롯한 북촌 일대에 새로운 지식인층을 만들어냈고, 사회제도와 공간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 속에서 송현동의 장소성은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첫째, 송현의 소나무숲은 이상적인 유교 국가를 목표로 했던 조선 건국세력이 왕조의 영속을 기원하며 만든 비보숲이었고, 내사산의 지맥을 보호하는 사산금표제로 관리되었다. 세계적으로 대항해시대를 맞이한 조선 후기에는 연행이 늘며 청나라 문화를 향유하는 경화세족의 정원이 들어섰다. 일제 강점기에 인구가 급증하면서 주택단지개발로 소나무 숲과 정원은 사라졌지만, 인공적인 정원과 외부의 자연을 조화롭게 연결했던 차경의 경관적 미학은 현대적으로 재해석할 가치가 있다. 둘째, 세계의 근대화 물결은 북촌 일대에 신식학교를, 친일파 소유의 송현동에는 하숙집을 만들었다. 송현동 옆의 안국동천길은 시민혁명과 민족자결주의를 접한 사상가들이 교류했던 장소였고, 최대규모의 하숙집이었던 송현동은 학생들이 3.1운동에 참여하며 학생운동문화가 발아한 계기가 되었다. 안국동천길은 옛길의 모습이 보존되어 있어 광화문-북촌-인사동-돈화문로를 연결하는 역사 도심 보행 재생의 한 부분으로 의의를 지닌다. 셋째, 조선총독부의 문화 통치기부터 군사 정권기까지 송현동은 조선식산은행의 서구식 문화주택과 미국대사관 직원 숙소가 들어서며 서구문화의 통로였다. 주변 지역은 고미술과 현대미술이 공존하며 근현대 미술시장이 형성되었다. 이건희 기증관은 북촌한옥마을, 공예박물관, 현대미술관, 갤러리와 문화벨트를 이루며 시민의 공간으로 변모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같이 장소를 이루었던 숲과 정원, 시민탄생의 거리, 근·현대 미술의 진원지로서 의미가 새롭게 조성될 역사문화공원과 미술관 그리고 주변 보행 네트워크와 조화롭게 재창조될 수 있도록 담론과 도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