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근거중심간호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초

학령전기 아동 성장발달의 PBL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a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for Preschoolers' Growth & Development)

  • 이명남;손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93-405
    • /
    • 2018
  • 문제중심학습(PBL)은 간호 임상실습 시 간호 지식, 기술과 태도를 통합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다. 본 연구는 간호학 교과과정 가운데 학령전기 아동 성장발달의 PBL 모듈을 적용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이에 본 양적연구는 PBL 모듈을 Dick과 Carye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계획, 개발, 적용, 평가 단계)에 따라 개발하였고 2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PBL 모듈은 각 팀 당 4-5명의 학생이 약 40분 정도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내용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팀 효능감은 모듈 참여 전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사후 학습만족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은 PBL 모듈 참여 후 학령전기 아동성장발달에 관한 지식 및 문제해결능력을 습득하였고 PBL 참여 시 팀워크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간호 교과과정 내 PBL 모듈의 적용을 고려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예측변인으로서 간호단위의 사회연결망 (Social Networks of Nursing Units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 to Leave of Nurses)

  • 원효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7-19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단위의 사회연결망을 과업조언 연결망과 친교연결망으로 구분하여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간호사의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4개 병원, 30개 간호단위에서 근무하는 420명의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UCINET 6.0, SPSS 20.0과 HLM 7.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과업조언 연결망에서는 수간호사의 연결정도 중심성이 조직몰입에, 간호단위의 밀도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교연결망에서는 수간호사의 근접중심성과 책임간호사의 매개중심성이 조직몰입에, 간호단위의 밀도와 책임간호사의 매개중심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한 간호사들 사이에 형성되는 사회연결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절한 인력 배치를 위한 연결망 구조와 기회, 조건을 개발하고 다양한 형태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복막투석 환자를 위한 표준화된 간호교육 프로토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Education Protocol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 강정희;강지연;이영옥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7-60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andardized education protocol for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Methods: First, the demand for education was investigated from the 27 patients on peritoneal dialysis and 16 guardians, and later, the standardized nursing education protocol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related studies. Conten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have been tested through the expert group survey. Results: The standardized peritoneal dialysis nursing education protocol with 9 areas and 20 items has been developed. The content validity for timing and duration, contents, method, and place of education proposed by the protocol were all above than 0.8. In terms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rotocol, the experts scored between 4.20 to 4.93 for all items except one. The item on home visit education acquired the lowest applicability score, because there might exist potential restrictions in visiting patient's home. Conclusion: The standardized education protocol developed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adequate by representing high content validity for all items and the applicability also was high except the item on home visit education. Further researches to test the effects of this education protocol should be done.

  • PDF

간호학의 기본 지식 구조 (Fundamental Structure of Knowledge in Nursing)

  • Lee, Kwang-Ja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27-144
    • /
    • 1983
  • 오늘날은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기존지식의 수명이 점차 짧아져 가고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식의 증가는 단순히 지식의 양을 증가시키는 역할뿐 아니라 많은 기존지식을 불충분하고 쓸모 없는 것으로 바꿔버리게 한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어떤 특정지식의 축척보다는 그 학문에 내재해 있는 기본적인 지식의 구조를 학습하게 하여 여러 가지 개념을 관련시키는 논리적 방법을 학습하게 하고 합리적인 탐구방법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하여 변화하는 미지의 세계에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의 기본 지식구조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하게 된 동기는 간호업무의 근거로 활용도리 지식체계는 교육과정의 조직원리로 작용될 유형이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런 유형이나 구조를 중심으로 간호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간호교육에 필수적이라는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연구방법은 1982년 9월부터 1983년 5월에 걸쳐 간호학 문헌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간호학의 개념적 지식구조와 구문적 지식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간호학의 개념적 구조: 모든 학문에는 탐구의 대상인 특수현상을 설명하고 서술하는데 활용되는 일련의 실질적, 개념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학문의 중요한 부분 또는 중심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들이 그 분야 또는 학문의 개략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연구결과 간호학에서 가장 높은 순위의 대표적 특질을 지닌 개념은 인간, 건강, 환자/대상자, 간호, 행동으로 분석되었다. 2. 간호학의 구문적 지식구조 : 지식구조의 두 번째 요소인 학문의 구문(syntax)은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과 관련되나 개념적 구조와 마찬가지로 탐구방법은 학문에 따라 다르며 그 분야의 주요양상을 나타낸다. 연구결과 간호학에서의 특징적인 탐구방법은 공동적으로 간호과정(nursing process)임이 나타났으며 그 요인으로는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의 다섯 단계로 분석되었다.

  • PDF

통증관리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국내 타당성 검증 - 복부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 (Validation of a Translated Guideline on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Focused on Abdominal Surgery Patients)

  • 홍성정;이은주
    • 임상간호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9-17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vidence-based guideline on pain developed by Registered Nurses Association of Ontario(RNAO) translated into Korean based on the experts' opinions. Methods: The panel consisted of experts of 60 registered nurses in surgical units, medical doctors and nursing managers who were experts in pain assessment and management. The validity of translated RNAO guideline was evaluated in terms of appropriateness, applicability, and utilization in current practice. Appropriateness and applicability of each recommendation were measured with 9 point scale, whereas utilization was measured by yes/no question.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 The experts' opinions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In general, most of the recommendations in the guideline received above 7 point in appropriateness and applicability. However, above 20% of recommendations showed less than 50% of utilization rates in current practice. Conclusion: The reasons for low utilization of recommendations in current practice are in need for investigation.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more acceptable in Korean health care setting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are for the abdominal surgery patients suffering from pain in Korea.

미국 NGCTM 배뇨자극요법 근거중심 가이드라인의 국내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ng the NGCTM Evidence Based Guideline of Prompted Voiding for Use in Korea)

  • 박명화;김명애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22-634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evidence based guideline for prompted voiding by Lyons & Specht (2001) in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TM}$ for use in Korea based on the experts' opinions. Method: The target expert group consisted of 8 registered nurses, 6 physicians, and 5 nursing professors who are experts in urinary incontinence.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appropriateness, applicability, and the present application of each recommendation in the guideline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he SPSS program, with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experts' opinions. Result: The scores on each recommendation's appropriateness showed the high degree of agreement among nurses, physicians, and nursing professors. However, the recommendation for 'use of oxybutinin' showed the lowest score as 5.89. It was notable that the most recommendations scored lower for applicability compared with appropriateness. The reasons for lower scores for applicability were the lack of clinicians' knowledge of assessment and management, and the lack of resources in clinical settings in Korea. Conclusion: This study will augment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 urinary incontinence management in Korean clinical settings and can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further study of tailoring international guidelines into local and national clinical settings.

  • PDF

간호사의 정보자원 접근 및 활용정도와 근거중심실무 장애요인 및 역량 (Nurses' Access &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Barriers &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 이지은;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5-26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urses' access and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to identify the barriers and competency to evidence based practice (EBP). This study used descriptive method to identify baseline data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EBP in clinical nursing practice.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8 nurses from five hospitals in Daegu and Kyungsangbukdo.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SPSS/WIN 1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ANOVA. Results: Nurses reported $^*most$ frequently using paper and human resources. The mean score of barriers was $3.02{\pm}0.41$, and competency was $2.70{\pm}0.50$. The reported competency was correlated with nurse factors (r=-.31, p<.001) organization factors (r=-.20, p<.001) and research factors (r=-.12, p<.040) as the barriers to evidence based practice. Conclusion: To promote competency in EBP and to decrease the barrier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encourages nurses to be involved in research activiti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systemic methods to introduce and establish an education program for facilitating EBP in the clinical settings is needed.

병원 간호사의 근거중심 노인통증관리 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Nurses'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in Older Adults)

  • 김은경;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30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gap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toward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in older adult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baseline data for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protocol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90 staff nurses from three general hospitals.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wareness and performance in pain assessment (t=17.31, $p$ <.001), patient and family education (t=17.33, $p$ <.001), pharmacologic management (t=12.99, $p$ <.001), non pharmacological management (t=16.28, p<.001),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t=11.70, $p$ <.001).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workplace, knowledge, and usual performance.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hospital nurses' performance about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in older adults was lower than their awareness level thus indicating significant gaps between evidence and actual practice. To ensure effective pain car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gaps need to be analyzed to identify the barriers. In addition, the evidence-based pain management guideline suitable for various clinical settings needs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간호사의 임상실무지침서 사용현황과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 요구도 조사 (Nurses' Usag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Deman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하미숙;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2-59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and high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y exploring how nurses utilize clinical guidelines and what they need for. Method: This study has been done with 242 nurs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1.0 Program. Results: Nurses felt that clinical guidelines were not sufficiently disseminated to update their clinical knowledge education. Nurses showed the strong demand for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ith the newest and systematic evidence. However, a relatively low number of nurses knew evidence-based nursing and evidence-based clinical guidelin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evidence-based nursing and an evidence-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nurses and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solve the urgent and frequent clinical problems.

  • PDF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 KIM, SUNG SILL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