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그로피우스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월터 그로피우스의 건축선언과 작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anifesto and Design Works Characteristics of Walter Gropius)

  • 이용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29-35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manifesto and design works characteristics of Walter Gropius. He was the director of Weimar Bauhaus that one of the advanced artificial movemen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almost of the early modern movements was related to the radical ideology and the manifesto. Especially Bauhaus originated from manifesto of artists teaching group with architect Walter Gropius. Therefore, the category of the study pitch upon Bauhaus architectural manifesto - Bauhaus Manifesto and Programme(1919) - an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Walter Gropius - Fagus Factory(1911-14), Dessau Bauhaus Building(1925-26), Siedlung Berlin-Siemensstadt(1929-30) and Harvard Graduate Center(1949).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s per the above mentioned pill pose are the dynamic integration by non-symmetry in cubic form (formal characteristics) and organic continuity by reciprocality in transparent space (spatial characteristics).

발터 그로피우스의 작품에 반영된 독일 근대 주거의 계획쟁점 (Issues in German Modern Housing Design Reflected on Walter Gropius' Works)

  • 전남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1-22
    • /
    • 2016
  • In Germany, during the modern architectural movements diverse experiments for the propagation of modern housing solutions were conducted that succeeded to the spirit of Bauhaus. Therefore, the study traced how Walter Gropius adopted the trends of architectural style and aesthetic, the concept of production, the concept for new typology of housing, and issues in urban architec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processes to the 'sachlich' style could be seen in the cases of early and latter works of detached houses and further aesthetic changes of later works. Second, Gropius expanded his design field from detached houses to multiple dwelling and it was accompanied by typological transformation of buildings considering the industrialization and production of housing. Third, in the cases of multiple dwelling, it could be identified that site planning of housing complexes and building arrangement reflected a shift from traditional urban pattern to new alternatives suitable for mass housing supply. Thus, changes in the genealogy and propensity of German residential designs were partly summed up and their implications on modern housing architecture were discussed.

서구 근대건축 파구스공장(Faguswerk)건축의 형성과정과 역사적 평가에 대한 재조명 (A Reinterpretation of the Fagus Factory at Alfeld on the Leine in the Modern Movement and historical Reviws)

  • 이재익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5호
    • /
    • pp.41-54
    • /
    • 2007
  • The Fagus Factory at Alfeld on the Leine in Germany, which was built in 1911 and 1914, is a well-known and very important object in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Alan Colquhoun mentioned that it is "prophetic of the 'objective' (sachlich) Modern Movement of the 1920s". Vittrio M. Lampugnani evaluated it as "a Pioneer building of the architectural Realism". Most of historian of architecture explain that these achievements were accomplished mainly by the master architect Walter Gropius and sometimes by his co-worker Adolf Meyer. Through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in the planning stage and the process of design it is to try to find out what is truly happened during the project time. Furthermore, historical meanings of the building in the modern architecture is reinterpreted in the following aspects; who or which elements have influence on the Fagus Factory? and what kind of problems can be caused by the digested architectural history?

  • PDF

Gropius의 건축에 나타난 데 스틸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데사우 바우하우스 건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 Stijl's Characteristics via Gropius's Architecture)

  • 박예라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32-39
    • /
    • 2005
  • Even though geographical drawbacks of Netherlands, the De Stiji Movement has been acting extensively as a composite arts movement. Furthermore, because this movement has influenced on even field of architecture, Walter Gropius, who had led to establish the modern architecture at that time, was not also able to be excluded from the influence of De Stiji movement. As a result, his works after 1922 when De Stijl movement had been acting vividly, shows a part of De Stijl style and definitely has a difference via-a-via early of his works. Therefore, this study in this point of view is on the purpose of how De Stijl Movement influenced on Gropius' works as the ideology of place and concepts in the period of both De Stijl Movement and Modern architecture style were being formed together. Especially, this study will analyze Dessau Bauhaus Building, which is the most influenced by De Stijl Style in Gropius' works, into the way of how De Stijl. was embodied to this building.

  • PDF

1914년 독일공작연맹 전시회 유리산업전시관의 근대건축사적 의미 -브루노 타우트(Bruno Taut)의 유리집(Glashaus)- (A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Pavilion for the Glass Industry in the German Werkbund Exhibition 1914 -Bruno Taut's Glashaus-)

  • 이재익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75-88
    • /
    • 2004
  • The German Werkbund, which was founded in 1907,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Its exhibition 1914 in Cologne is estimated as a meaningful event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chitecture. Especially two examples, among which were built at that time, are worthy of notice. The one is the 'Modelfactory' by Walter Gropius and the other 'Glashaus' by Bruno Taut. Generally in the Textbook on the history of modern architecture, the Taut's Glashaus is rarely mentioned or described as a early example of some expressionistic architecture, while the Modelfactory by Gropius is regarded as an essential workpiece in the early stage of modern movement. the time of searching alternative not only from rationalistic modernism but also postmodernism and today in the time of plurality, Taut's Glashaus could bring us mo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aspects in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investigating the background in the planning stage and analysing the composition of space, construction, circulation etc. it is to try to understand the building as really as what it was. Furthermore, historical meanings of the building in the modern architecture is reinterpreted in the following aspects; what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and how could 'Zeitgeist' be architecturally adopted?

  • PDF

모던과 포스트모던 도자 제품디자인의 정량적분석에 의한 비교 및 해석에 관한 고찰 (분석모델을 적용한 형태기술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y by quantitative analysis on modern and post modern ceramic's product design (Centering around form description by applying analysis model))

  • 손연석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5-26
    • /
    • 1997
  • 본 연구는 도자 제품의 디자인분석에서 종래의 주관적 감성적 디자인분석이 아닌 정량 적, 객관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모던 디자인에서 그로피우스의 찻주전자와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솟사스(Sottsass)의 화병을 분석샘플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의 김복영 교수가 연구 개발한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산술적 비례산출을 한 후에 정보이론 미학자인 세넌(Shannon)의 정보 값 산출 방정식에 대입해서 정량적 분석 절차에 의해 정보 값을 산출하고 정량 화하여 모던 디자인과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양식 적 특성을 형태 기술을 중심으로 객관적, 정량적으로 비교 및 해석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참고로 고대 그리스의 화병을 두 양식과 비교해보기 위해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분석모델과 분석절차가 도자 제품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인의 조형요소 중 형태에 대하여 소비자 행동조사와 연계해 신제품 개발이나 출시된 기존 제품의 형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는 연구가 계속된다면 평가도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PDF

지역건축탐방(2) - 울산ㆍ경주ㆍ포항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2호통권344호
    • /
    • pp.50-50
    • /
    • 1997
  • 이번 지역건축을 기획하면서, 여러 가지 상념에 잠기게 되었다. 건축에서 지역성이 어느 정도 내재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혹시 더욱 부정적 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라면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을지, 또 어떤 긍정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을지, 게다가 여러 개발도상국의 상황과 아시아의 건축적 진행을 보면서, 어쩌면 우리는 더욱 난감한 상황을 보게 될지도 모른다. "건축을 발전시켜온 어떤 민족도 각기 독자적 언어, 복장, 민속이 있는 것처럼, 그들이 좋아하는 형태를 발전시켜왔다. 19세기에 문화의 국경이 붕괴될 때까지 온 세계의 건축에는 지역고유의 형태와 디테일이 있었다. 그리고 어떠한 지역특유의 건물도 사람들의 창조력과 그 지역의 필요성의 결합에 의하여 태어난 아름다운 산물이었다. 그러나 현대 이집트에는 이집트 고유의 토착양식을 찾아볼 수가 없다. 바로 이집트인의 서명이 없다. 그것이 부자들의 집이건 가난한 자의 집이건 무성격하기는 마찬가지이며 이집트인의 자취란 사라져 버렸다."(하산 화티,1973년) 선진국은 스스로 산업혁명을 일으켰고, 이런 사회적 문화적 변동에 적응하기 위하여 1세기 이상의 시간적 여유가 있었다는 것이다. 개발도상국의 급속한 변화에는 건물도 변화의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민족적이며, 지역적인 전통이야말로, 새로운 지역주의의 기초로서 보존하고 사용되어야 된다는 '섬세한' 서양의 관찰자들의 탄원은 이같은 상황에서는 전연 고려되지 않았다."고 커티스는 보았다. 섬세한 서양인이 아니라 자국민 스스로 자신의 문명에 대하여 파괴적인 입장에 서 있다면 더욱 난감한 일이다. 지역주의의 의미는 무엇일까? 건축에서 '지역'의 범주는 어디인가? 인종적 분포 또는 민족적 무리를 이름지은 것인가? 아니면 인종과 민족의 공통점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정치적 경계선으로 둘러싸인 경계를 말하는 것인가? 모든 지역이 다 지역주의로 대별될 수 있는가? 어느 곳이 건축에서의 중심지역이며, 또 지역주의는 누가 판별하는가? 프램튼은 문화적인 중심지와 종속적 관계를 지니는 지역주의를 잘못된 구조로 보았다. 근래 10년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주의가 대두했다. 지역의 개념적, 제도적, 법적인 상태가 어떠한가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 19세기 동안에 유럽사람들이 그들의 정치적 독립을 위한 목적에 활용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거짓된 역사관을 피력했을 때, 유럽지역에서의 지역주의 개념들은 아이리쉬, 까딸로니아, 핀랜드 등을 평가하는 역할이 있었다고 한다. 지역주의를 "감상적인 민족적 편견에서 비롯된 광신적 배타주의"라고 낮추어 바라보는 그로피우스의 시각에 대해, 당당히 맞설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리꾀르의 말대로 미래에 어떠한 유형의 참된 문화를 유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는 문화나 문명의 단계에서 외래의 영향을 적절하게 하면서 지역문화의 활기찬 형태를 발생시키는 우리 능력에 달려있다. '지역적' 범위는 서구에서 합중국으로 존재하는 경우, 대부분 이질적 문화들의 혼합지역이기 때문이다. 한국과 같이 비교적 단일한 성분의 종족으로 한 국가가 유지된 경우와 미국과 같이 다양한 종족이 모인 경우 등과 비교하면 '지역'이란 이름에 어떤 판단기준이 있어야 할까? 근래 지역적 변동이 적었던 한국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재론할 여지가 적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시대 내에서도 확인되지 않은 부분들이 존재하고, 역사시대의 범위를 넘어서 선사시대로 확대하면 '지역'의 개념의 외연적 대상은 더욱 모호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