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균

Search Result 19,192,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돼지장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livarius의 생균제로서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solated from Piglet Intestines)

  • 박홍석;이지혜;엄태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830-836
    • /
    • 1999
  • 돼지장에 존재하는 많은 균총들로부터 생균제를 분리하기 위하여 생균제로서 필수 조건인 내산성, 내담즙산, 유해균 억제능력들을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 다른 균들에 비해 생균제로서 작용 능력이 뛰어난 한 균주인 PA10을 얻을 수 있었다. 생균제로서 중요한 기능인 설사 유발 대장균과 Salmonella를 억제하기 위하여 돼지의 장으로부터 내산, 내담즙의 특성을 가진 미생물틀을 분리 검색하였다. 이들 중, 위산과 담즙에 잘 견디며, 대장균 및 Salmonella에 대한 억제 능력이 뛰어난 한 미생물을 분리하였는데 Lactobacillus salivarious로서 동정되었다. 이미 생물은 pH 3의 위산과 0.3% 담즙산에서 각각 2시간, 24시간 동안 약 50~70%의 생존률을 나타냈으며, 대장균 또는 Salmonella를 MRS배지에서 혼합 배양시 24시간안에 이들 유해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이 실험에서 L salivarius로 명명된 이 균은 돼지장에 서식하는 수 많은 미생물중 내산, 내담즙산, 유해균 억제능을 동시에 만족 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균주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균주 보존 조건을 확립하고, 동물 실험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면 이 분리균은 생균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종합병원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모델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mong Nurses:with focus of the Health Belief Model)

  • 박정희;이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27-234
    • /
    • 2020
  • 이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은 평균 17.68점이었으며 간호사의 지각된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과 수행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서 결혼, 임상경력, 직위, 근무부서에 따라 수행도의 차이가 있었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유익성과 근무부서로 설명력은 35%였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수행에 따른 장점, 효과 등을 포함하여 유익성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교육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고도에 따른 한라산 구상나무와 주목의 외생균근균 다양성 비교 (Ectomycorrhizal Fungal Diversity on Abies korea and Taxus cuspidata at Two Altitudes in Mt. Halla)

  • 이지은;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99-208
    • /
    • 2019
  • 한라산 상부와 하부에 서식하는 구상나무와 주목의 뿌리에서 각각 외생균근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하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적 분석을 통해 구상나무에서는 하부에서 6속 8종, 상부에서 7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주목에서는 하부에서 4속 8종, 상부에서 6속 10종의 외생균근균을 확인하였다. 외생균근균의 종 다양성 지수, 종 균등도, 종 수는 숙주식물과 관계없이 상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균투 수는 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부와 상부에서 구상나무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고도에 관계없이 구상나무의 뿌리에서 발견된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가 주목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 간 유사도나 구상나무 뿌리의 외생균근균 군집과 주목의 뿌리 외생균근균 군집 간의 유사도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상나무가 주목과는 다른 특이한 외생균근균 군집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기온 상승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구상나무의 보전과 자생지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lavobacterium multivorum dextranse gene cloning에 관한 연구

  • 정재호;서은숙;김수영;이형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4.1-514
    • /
    • 1986
  • 토양으로부터 dextranase를 분비하는 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균이 Flavobacterium multivorum으로 동정되었다. 이 F. multivorum의 배치조건에 따른 dextran 이용과 dextranase 분비능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성장조건도 알아보았다. 한편 위의 균은 plasmid를 갖고 있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chromosomal DNA를 추출하여 Sau3Al 절단한 후

  • PDF

폐섬유자원의 발효공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제8보) 섬유소자화세균의 악합장양

  • 윤한대;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및 특별 강연초록
    • /
    • pp.196.1-196
    • /
    • 1977
  • 전보에서 보고한 바 있는 Cellulomonas속 한 균주와 분리선정한 보조균을 CM-Cellulose로 기회로 하여 혼합배양하였을 때 각각 단독으로 배양하였을 때 보다 균주증식이 아주 양호하였음을 알았으며 분리 보조균에 대한 균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Sporocytophaga속의 성질과 거의 일치하였다.(중략)

  • PDF

국내에 유통되는 종국 곰팡이의 분류학적 특성 및 안전성 (Taxonomic Characterization and Safety of Nuruk Molds Used Industrially in Korea)

  • 홍승범;홍성용;조규홍;김영식;도종호;도지영;노석범;윤한홍;정수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49-157
    • /
    • 2015
  • 장류와 주류 제조를 위하여 국내에서 유통되는 하경발효의 황국균(HK1), 수원발효의 황국균(SW101), 백국균(SW201), 충무발효의 된장용 황국균(CF1001), 간장용 황국균(CF1002), 청주용 황국균(CF1003), 주류용 백국균(CF1005)과 전통 메주에서 분리하여 산업화 준비를 하고 있는 황국균(KACC 93210)의 분류학적 특성과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공시한 6균주의 황국균은 모두 A. oryzae로 동정되었으며 이중 HK1, SW101, CF1001, CF1003은 분생포자를 생성하는 대(stipe)의 길이가 중간크기($711{\sim}1,121{\mu}m$, 중모(中毛))로써 서로 유사한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청주용인 CF1003이 다른 3균주에 비하여 포자를 다소 적게 그리고 균사를 다소 많이 생성하였다. 간장제조용인 CF1002는 대의 길이가 평균 $543{\mu}m$로서 짧았으며(단모(短毛)) omtA 유전자 분석에서 다른 황국균이 ICAo 그룹에 위치하는 반면에 IBLB-그룹에 소속되어 명쾌히 구분되었다. 전통메주에서 분리되어 산업화 과정에 있는 황국균 KACC93210 균주는 대(stipe)가 평균 $270{\mu}m$로 매우 짧았으며(초단모(超短毛)) 다른 황국균이 양털모양의 집락을 형성하는 반면 벨벳모양의 집락을 형성하여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되었고 omtA 유전자에서도 공시한 황국균은 물론 세계적으로 보고된 어떤 황국균과도 염기서열이 서로 달랐다. 수원발효의 백국균(SW201)과 충무발효의 백국균(CF1005)은 모두 A. luchuensis (또는 A. luchuensis mut. kawachii)로 동정되었으며 집락 형태가 다소 상이하였으나 기타의 형태적 특징과 분자계통학적 특징에서 서로 구분되지 않았다. 황국균 6균주는 aflatoxin, cyclopiazonic acid, sterigmatocystin의 곰팡이 독소를 생성하지 않았고 백국균(A. luchuensis)은 유해한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것으로 이미 보고되었으므로 국내에 유통되는 황국균과 백국균은 모두 곰팡이독소에서 안전한 곰팡이임이 입증되었다.

최근 2년간(2009-2010)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역학조사 보고서 분석 (An Analysis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Reports Regarding to Pathogenic E. coli Outbreaks in Korea from 2009 to 2010)

  • 이종경;박인희;윤기선;김현정;조준일;이순호;황인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6-374
    • /
    • 2012
  • 최근 2010년 우리나라 통계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최다 발생 식중독으로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이 31건, 1994명 환자, 병원성 대장균이 28건, 1926명의 환자가 발생하였다. 세균성 식중독인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2009년, 2010년 작성된 병원성대장균 역학조사 보고서에 수록된 68건의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의 정보를 수집, 리뷰, 분석하여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급식(64.8%) 및 외식(25.5%)에서 발생률이 약 90%에 해당하였다. 우리나라 발생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원인균의 대부분은 EPEC가 44.7%과 ETEC가 34.2%를 차지하여 이들이 전체의 78.9% 가량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EAEC와 EHEC는 각각 10.5와 9.2%에 해당하였다. 전체 68건 사례 중에서 이들이 단일균으로 규명된 것이 모두 59건, 두 가지 타입이 혼재된 건이 8건, 그리고 최종 균의 타입이 동정되지 못한 건수가 1건 있어 오염경로 추적의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섭취인구에 따라 다양한 질병 발생률을 보여 평균적으로 $33.6{\pm}30.5%$의 발생률을 나타냈고 주 증상은 설사, 복통, 구토, 발열이 대부분이었다. 식품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된 사례는 두건으로 햄버거를 섭취한 경우 냉동햄버거 패티에서 병원성 대장균이 검출된 사례와 급식에서 오징어야채무침에서 검출된 건수가 있어서 식품에서 검출률이 낮았지만 쇠고기와 수산물 혹은 야채류에서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식품에서 병원성 대장균 검출이 어렵게 되는 원인으로 분석된 것은 식중독 발생에서 신고까지 지연 (7일 이상 소요된 건수가 14.6-18.5%), 원인 식품 수거 어려움 (음식점에서 식중독 때 섭취 식품 수거율 17.6%)과 같이 제도적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이들 주요 애로 사항이외에도 역학 조사반의 어려움으로는 발생기관과 환자의 비협조 및 환자들 샘플채취 미흡, 대조군 확보의 어려움, 유전자 분석의 보완과 같은 부분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은 서구국가와 같이 EHEC과 같은 부분이 아니라 급식 및 외식시설에서 EPEC, ETEC가 주요 원인균인 만큼 향후 대응도 원인균 유입경로 추적 및 분석기술 개발, 역학조사의 제도적 보완과 범 정부부처간의 시스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전북운봉지방 목도열병, 신변이균아니다' - 지난해 냉해로 내냉품종재배 - 재래균에 의해 황숙기 피해 발생 -운봉지역의 목도열발생실태와 대책(1)

  • 구영서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2권11호
    • /
    • pp.49-54
    • /
    • 1981
  • 벼 통일계 신품종이 지난 1971년부터 우리나라에 재배돼면서부터 이들 신품종은 녹색혁명의 총아로 각광을 받게됐으며 더욱이 이들 신품종은 도열병에 대한 내병성이 강한것으로 알려져 증산의 꿈은 조기에 실현될듯 했다. 그러나 1976년 전북진안에서 1977년에는 임실에서 도열병변이균이 발견되더니 급기야 1978년에는 전국적으로 만연, 통일계품종이 이병화 품종으로 전락됐다. 올해는 전북 운봉에서 황숙기에 목도열병이 발생, 일부 지방 및 중앙지에 새로운 도열병이 발생됐음을 보도했다. 그러나 현지 농촌진흥원의 조사결과로는 새로운 변이균이 아니고 재래균으로 판명되고 있어 일단 안심은 돼나 이 지역이 위치$\cdot$기후적으로 새로운 도열병변이균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은 지역이라 올해에 문제됐던 운봉지역 목도열병의 발생실태와 대책을 2회에 걸쳐 알아본다.

  • PDF

가정배달급식의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이 식중독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

  • 김혜영;류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9-89
    • /
    • 2003
  • 가정배달급식의 저장기간 중 식중독 발생에 대비하여 식중독균의 중식 양상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기본자료를 얻고자 표고고기전, 갈치조림, 더덕구이에 주요 식중독 원인균인 Sal. enteritidis, V. parahaemolyticus, S. aureus,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를 접종하여 wrap 포장, 상압 및 진공포장 처리한 후, -18$^{\circ}C$, 4$^{\circ}C$, $25^{\circ}C$에서 5일간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야T다. 가정배달급식을 위한 음식에 주요 식중독균 접종 결과, 진공포장 처리 후 냉장 및 냉동저장 시 식중독균의 증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접종된 주요 식증독균의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에 따른 성장 및 증식은 저장온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 monocytogenes는 저장기간에 대해서도 유의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략)

  • PDF

동충하초를 이용한 고추장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of Kochujang Using Cordyceps sp.)

  • 권동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1-85
    • /
    • 2004
  • 기존의 황국균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고추장의 품질을 개선 하고자 항암 및 강장에 효과가 있는 동충하초를 이용한 코오지로 제조한 고추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제조한 코오지가 황국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효소역가의 경우 protease의 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amylase의 역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장을 제조하여 맛, 향, 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 황국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코오지와 동충하초를 이용하여 제조한 코오지를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숙성한 것이 기존의 황국균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고추장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동충하초를 이용할 경우 기존의 황국균으로 제조하는 고추장에 비해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