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국토지리정보원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8초

국토지리정보원 VRS RTK 기준망 내부 측점 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VRS RTK Surveys Inside the GPS CORS Network Opera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김혜인;유기석;박관동;하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9-147
    • /
    • 2008
  • GPS를 이용한 RTK(Real Time Kinematic) 측량의 경우 기준국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측위오차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은 네트워크 RTK의 일종인 VRS(Virtual Reference System) RTK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한 VRS RTK 시스템을 이용한 측량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VRS 기준망 내부에 위치한 3등 기준점 50개소를 대상으로 VRS RTK 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3등 기준점 고시성과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측위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VRS RTK 측량과 동시에 단일 기준국을 이용한 일반 RTK 측량을 실시한 뒤 두 RTK 측량 방식의 측위오차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VRS RTK 측량의 수평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3.1cm, 일반 RTK 측량의 수평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2.0cm로 1cm 정도의 편차만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VRS RTK 측량의 수직방향 평균제곱근오차는 평균 6.8cm로 수평방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f Site Environment at Permanent GPS Stations Opera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박관동;김혜인;원지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37-345
    • /
    • 2007
  • 국토지리정보원은 1995년 수원 관측소 설치를 시작으로 현재 14개소의 GPS 상시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14개 관측소를 모두 방문하고 IGS와 NGS의 사이트 가이드라인에 적합한 안테나와 지지대를 유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관측소 주변 환경으로 인해 측위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장조사 결과를 TEQC 프로그램을 이용한 GPS 데이터 품질평가 결과와 비교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태백, 제주, 광주, 그리고 원주 관측소의 관측환경은 충분한 시야각이 확보되지 않고 다중경로 오차 유발 요인이 다수 존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TEQC 품질평가를 통해서도 입증되었다. 그리고 2005-2006년 사이에 진행된 GPS 수신기 교체에 의해 국토지리정보원 GPS 상시관측소의 다중경로 오차와 사이클슬립 개수가 감소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DB 구축 및 활용성 평가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with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 이현직;황석훈;최동주;류지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53-58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국토지리정보원 기준국 사용 Network RTK 테스트베드 구축 (Construction of Network RTK Testbed Using Reference Stations of NGII)

  • 김부겸;기창돈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3권1호
    • /
    • pp.103-110
    • /
    • 2024
  • In this paper, a test bed for real-time network Real-Time Kinematic (RTK) research was constructed using reference stations of the NGII. A group of candidate station networks was derived, including three stations in Seoul. The group consisted of four stations with a distance of less than 100 km between them. Among several candidates, a network composed of stations with short distances between them and demonstrating good data quality for all reference stations was selected as the test bed. After collecting real-time data in Radio Technical Committee for Maritime services (RTCM) format from the selected stations and conducting a noise analysis on measurements, mm-level carrier phase measurement noise was confirmed. Afterwards, the user set the reference station inside the test bed and analyzed the network RTK positioning performance of the MAC method using the GPS L1 frequency as post-processing. From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dual error for all users was within 10 cm after applying the correction. Additionally, after determining integer ambiguities through Least-squares AMBiguity Decorrelation Adjustment (LAMBDA), it was confirmed that the fix rate was 100%, and all ambiguities were resolved as true values.

수치지도 제작 지리조사 기준 분석 (Analysis of Field Surveying Standard in Digital Mapping)

  • 이승기;박명진;박상전;최석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4
    • /
    • 2008
  • 수치지도의 지리조사 기준은 80년대 후반 수치지도 전산화 작업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시작되면서 건설부령으로 작성되어 몇 차례 수정이 되어 온 수치지도작성작업규칙과 내규에 의하여 작업되고 있다. 그러나 수치지도작성 작업지침은 수치지도 1.0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수치지도 2.0과 기본지리정보 등이 종이지도에서 수치지도 개념으로 제작환경변화가 발생하여 현재의 현지조사 기준에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치지도의 지리조사 작업기준을 정립하기 위하여 작업규정, 속성자료, 관련자 설문 및 면담을 수행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적합한 수치지도 지리조사 작업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효율적인 수치지도 시스템을 위한 DXF 파일로부터의 웹기반 공간개체 추출 (Web-based Spatial Feature Extraction from DXF File for Efficient Digital Map System)

  • 이규명;서정민;김삼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15-1418
    • /
    • 2006
  • 최근 정보 관련 산업 발달과 더불어 공간 정보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어, 국가 차원의 지리정보체계가 구현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이 구축하고 있는 수치지도는 DXF로 제작되는데, 이 DXF맵은 GIS분야에서 필요한 속성정보나 위상정보를 갖지 못하여 지리정보 통합에 어려움이 있다. 지리정보의 여러 분야에 걸쳐 효율적인 데이터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DXF파일에서 공간 개체를 추출하는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XF 파일에서 다양한 공간 개체를 추출하는 효율적인 공간 개체 추출기를 제안한다. 공간 개체 추출기는 DXF파일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 POLYLINE, POINT, CIRCLE, TEXT, ARC, LINE의 수치값을 비교하여 그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DAT 파일에 저장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웹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웹서버에 DXF 파일을 업로드해서 공간 개체 추출기를 실행하여 결과를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수 있다.

  • PDF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의 생산사양 개발 및 활용성 평가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Use of National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 최동주;유지호;이현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7-163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 최병길;조광희;김성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데이터 구측의 공종분류체계를 표준화하는데 있다. 공종분류체계는 지리정보 구축시 발생되는 제반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본틀이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수행되는 기본측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량 업체의 기본측량 실무공정과 국토지리정보원의 규정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데이터 구축사업의 종류, 사업별 공종 및 공종별 성과물 체계를 표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리정보 공종분류체계를 국가 표준에 반영하고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론으로 발전시킨다면, 지리정보 제작 사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선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PS/Leveling 데이터를 이용한 기하지오이드와 중력지오이드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Gravimetric Geoid and the Geometric Geoid Using GPS/Leveling Data)

  • 김영길;최윤수;권재현;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2
    • /
    • 2010
  • 지오이드는 수직 높이 체계의 기준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중력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지오이드의 계산에 사용된 관측자료에 따라 지오이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GPS/Leveling 자료와 같은 검증자료가 충분치 않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분석이 수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기하지오이드를 기준으로 중력기반 지오이드(항공중력 지오이드, 지상중력 지오이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내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에 대해 기하지오이드고를 산출한 후 중력기반 지오이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하지오이드와 중력 지오이드와의 차이는 통합기준점 각 지점(포인트)별로 혹은 $10km{\times}10km$로 격자화 한 후 분석하였으며 파장별 분석이 용이하도록 FFT(Fast Fourier Transform)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하지오이드고를 기준으로 각 지점별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항공중력과 지상중력에 의한 지오이드고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 영역에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는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의 경우 고주파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