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국가/지역혁신체제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9 second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 Review of the Main Issues (혁신체제론의 진화 및 주요 논점)

  • Ku, Young-Woo;Cho, Sung-Bok;Min, Wan-K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225-241
    • /
    • 2012
  • This paper examines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and its main issues. At firs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appeared on the purpose to substitute the neoclassical macroeconomic policies. But various criticisms have been raised because of the restriction within national boundary of analysis, the lack of dynamic analysis, the danger of institutional determination, the deficiency of theoretical accuracy in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Technological systems, regional systems of innovation, sectoral systems of innovation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criticisms about national systems of innovation. Nevertheless the unsettled questions in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remain. The academic and policy-making usefulness of the systems of innovation approach will be expanded by development of the complementary researches within approach.

  • PDF

Enhanc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The Dimension of Firm Practices (지역혁신체제 잠재성 향상의 조건: 기업의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 Jong Ho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61-77
    • /
    • 2003
  • Finns are central economic agent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systems of innovation as they take responsibility for generating and diffusing knowledge in both organizational and societal context. They must be considered as learning organizations which interact with other finns and institutions that share their environment. The systems of innovation literature accentuates institutional conditions that influence innovation in sectoral, regional or national levels. Meanwhile, it tends to ignore the complex dimensions of finn practices in relation to learning and innovation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at finns do for sustaining innovation and how they learn to innovate. This is not just critical to know individual finns innovativeness which depends on interactions with environment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al boundary but also to evaluate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 In short, it is important to see that finns would attempt to take advantage of distributed knowledge within and across the boundaries of the finn without sticking to particular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 argue that the more finns of a cluster attempt not only to combine localized sources of knowledge and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but also to become a learning organization, the more increased regional innovation system potentials can be.

  • PDF

Analysis on ICT Industry and Innovation Value Chain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대구경북권 ICT산업 현황 및 지역 혁신가치사슬 분석)

  • Kim, J.S.;Min,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71-79
    • /
    • 2017
  • 지역경제의 성장과 혁신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ICT산업인프라가 집적된 대구 및 경북지역의 IC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혁신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지역혁신가치사슬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역혁신체제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와 자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역단위의 혁신역량 분석은 지역 내의 혁신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혁신프로세스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혁신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혁신의 투입과 산출단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고에서는 전환단계를 포함한 혁신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지역 혁신가치사슬은 다른 지역 및 국가 단위 혁신체제에도 일반화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Value and Theoretical Limitation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지역혁신체제론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난 함축된 가치와 이론적 한계)

  • Nam, Jae-G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3
    • /
    • pp.254-270
    • /
    • 2007
  • The concep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RIS)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ccumulation of empirical research and the reflection 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environments. It is widely used as a nonnative concept to tackle the problem of regional disparities by enhancing regional innovative development.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RIS and its actual application in rea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our knowledge about RIS with critical viewpoint. It tries to unravel some values that RIS implies and its theoretical limitations, which were found through the evolution of RIS such as its theoretical roots, the development of its research and policy; and an example of its building in practice.

  • PDF

창원 기계산업지구의 지역혁신체제

  • 이철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1-244
    • /
    • 2003
  • 오늘날 경제의 세계화는 기술혁신 및 고도정보화를 동시에 수반하면서 기업간, 지역간, 국가간 경쟁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특히 세계화 과정에서 중앙정부의 역할은 축소한 반면, 지역(region)이 가진 역할과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됨과 동시에 경제활동의 주요단위로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역할이 중시되는 것은 지역이 세계경쟁의 단위가 되었다는 것만이 아니고, 산업환경이 유연적 생산체제, 지식기반경제로의 변화로 지역의 의미와 기능이 종래와는 달라졌기 때문이다. (중략)

  • PDF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충남 북부지역의 지역혁신역량과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 Kim, Byung-Keun;Om, Ki-Yong;Ryu, Heung-Yuel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265-289
    • /
    • 2009
  • This research analyzed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and technological activities of firms in Chungnam province of South Korea on the basis of a questionnaire survey of 64 regional manufacturing firms. The existence and level of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ies were measured by the perceptions of firms, a core actor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research capabilities of academia, capabilities of R&D institutes,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industry, and governmental policy support were recognized as major capabilities of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gional proximity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firms‘ source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election of collaboration partners. Practical as well a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at the last part.

  • PDF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Institutional Approach to Innovation: the Knowledge Spillover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ve Cluster - Review and New Issue of Antecedent Research - (혁신의 제도적 접근: 지역혁신체제와 혁신클러스터의 지식파급효과 -선행연구의 검토와 새로운 쟁점-)

  • Bae, Eong Hwa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
    • /
    • pp.115-135
    • /
    • 2015
  • In the glocalization a common phenomenon of several nations reveals knowledge innovation and growth by the important subject of region and state and is studied at theory and practice. the successful cases of regional development in an advanced country have leading innovation through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cluster. therefore we are necessary to analyse how the knowledge spillovers in innovative cluster as the reduced model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guide firm innovation and region growth. this article reviews theories and empirical studies of the knowledge spillovers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innovative cluster of innovative geography and proposes a new research issues for further explorations of the knowledge spillovers. Previous studies assist that knowledge spillovers exist in knowledge-based industries of specific local area and local innovation accomplishes through pure knowledge spillover. but limits of these studies include narrow region and technological area, few analytical variable and exclusion of rent knowledge spillover. therefore new research topics related with that exemplifies geographical dimension(concentration and decentralization), technological dimension(knowledge based industry), category of analytic variables(previous indicators, time, and social capital), conceptualization(appropriation means, markets for technology) etc.

  • PDF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Yun,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지역혁신체제 구축과 지방정부의 과제)

  • Lee, Chul-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0 no.1
    • /
    • pp.9-22
    • /
    • 2004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entral government has recently decided to support the promotion of innovation capacities of local innovators and innovation networks among thor The central government forces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the council for regional innova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se goals. Meanwhile,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way in which the council for regional innovations constitute and operate. I think it is the time for us to talk about this seriously. It is widely conceived that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still been hierarchical. Thus, they would be difficult to make the decision effectively on regional innovation and development initiatives. In this context, I suggest that the regional innovation promoting agency needs to take authorities to secure transparency and autonomy in planning, implementing, evaluating regional innovation initiatives. The local government no! ed to play a central role in establishing the agency.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should not try to intervene and control its oper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