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조 중량

검색결과 959건 처리시간 0.021초

i-SIGHT를 이용한 항공기 날개 구조물의 최적화

  • 강종수;이석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66-66
    • /
    • 2004
  • 중량은 항공기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변수로써, 최소의 중량 달성이 100여 년 전 라이트 형제가 최초의 비행을 성공한 후, 항공기 개발자들의 주요 관심사였다. 일반 구조물의 최적화를 통한 설계는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중량절감, 비용절감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항공기 구조물에 대해서는 아직 최적화론 통한 설계가 널리 적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항공기에서는 중량절감을 위해 가벼우면서 강도를 큰 알루미늄이 주재료로 사용되고 있다.(중략)

  • PDF

멀티콥터 초기 사이징을 위한 기체 구조 중량 예측 기법 (Airframe Weight Estimation Method for Initial Sizing of Multicopter)

  • 장병욱;황인성;김민우;이보성;정용운;강왕구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723-734
    • /
    • 2018
  • 20kg 미만의 중소형 멀티콥터의 초기 사이징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기체 구조 중량 예측에 관한 연구를 소개한다. 임무장비를 제외하고 멀티콥터는 기체 구조, 모터, 프로펠러,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데, 모터, 프로펠러, 배터리 등의 중량은 설계변수에 따른 추세선을 통해 추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기체 구조 중량은 멀티콥터의 형상과 설계 개념이 다양하고, 대부분의 상용 제품들이 기체 구조 중량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추세선을 통해 예측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멀티콥터 형상을 정의하고 멀티콥터 사이징 초기 단계에서 결정되는 프로펠러 개수와 직경을 통해 멀티콥터 기체 구조 중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구조 중량이 제시된 멀티콥터 제품들을 통해 검증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구조강도 해석 및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멀티하우스 보트 중량저감 설계 (Multi-house boat weight reduction design using structural strength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 최보엽;손준식;이경환;송창용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년도 공동국제학술발표회
    • /
    • pp.193-193
    • /
    • 2018
  • 현재 우리나라는 레저선박 및 중소형 선박, 연안소형어선에 대부분 사용되는 재질은 강도가 높고 내양품성이 우수한 FRP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FRP선박의 폐선 시 환경문제와 자원재활용, 선체중량에 연비 및 대기오염등에 의해 소형선박 중심으로 알루미늄선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선체가 적용된 멀티하우스보트에 알루미늄선 구조기준에 따른 슬래밍하중을 적용하여 구조 강도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각 부재별 민감도 평가를 수행하여 알루미늄 구조강도기준을 만족함과 동시에 중량 저감을 하여 실제 선박설계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 PDF

방사선 차폐용 중량콘크리트의 기초 특성 (Properties of Heavyweight Concrete for Radiation Shielding)

  • 양승규;엄태선;이종열;김용호;우상익;김태봉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561-564
    • /
    • 2008
  • 콘크리트는 방사선 차폐용 구조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 중의 하나이다. 특히, 중량콘크리트는 중장비 또는 엘리베이터의 무게중심 등으로도 일부 사용되지만, 일반적으로 방사선 차폐 구조물에 주로 사용된다. 중량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 대비 높은 밀도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배합적으로도 특별한 조성을 갖는다. 중량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 중, 특히 중요한 것이 골재의 선정이다. 목표로 하는 콘크리트 밀도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 등에 의해 적절한 골재의 선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국내 실정에 적합한 중량골재원 및 이에 대한 참고자료가 많지 않은 상황으로,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관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방사선 차폐용 고밀도 중량콘크리트의 실용화를 목적으로, 골재 및 기타 재료의 적합성 시험, 콘크리트 기초 물성시험 등을 통하여 고밀도 중량콘크리트의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장선슬래브를 갖는 소형평형 벽식구조 아파트 바닥구조의 중량충격음 특성 (Heavy-weight Impact Sound Characteristics of Floor Structure of a Small-Sized Wall-Slab Apartment Building having Joist Slab)

  • 천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8-15
    • /
    • 2020
  • 이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된 바닥충격음 중 특히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바닥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평판형 슬래브에 장선을 설치하여 바닥슬래브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유진동수의 이동을 통한 중량충격음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선바닥슬래브를 제안하고, 장선의 춤과 간격에 따른 중량충격음 특성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장선슬래브의 슬래브 두께가 증가할수록 음압레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일정 두께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바닥두께 증가로 인한 중량충격음 차단 기대효과에는 임계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장선 춤의 증가와 간격 감소에 따른 바닥강성의 증가는 일관된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아 최적의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주택의 유형별로 각기 다른 장선 춤과 간격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100mm 정도 장선 춤의 증가나 간격 감소로 약 1dB~2dB정도의 중량충격음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동주택에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by Ceiling Structures in Apartment Buildings)

  • 조창근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3년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제12권 1호
    • /
    • pp.13-1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성능 향상을 위한 설계자료의 제시를 위해 천장구조가 서로 다른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의 현장측정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천장구조에 의한 바닥충격음 변화특성을 분석하고 차음성능을 평가하였다. 측정대상 건물에서 천장을 설치한 경우가 비교적 높은 충격음 차음성능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닥슬래브 하부 천장에 공기층과 완충재를 함께 설치하는 것은 기존 공동주택 등에서 경량 및 중량 바닥충격음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 PDF

무개형(無蓋型) 콘테이너선(船)의 중앙단면(中央斷面) 최적구조설계(最適構造設計) (Optimum Midship Section Design of Hatchcoverless Container Ship)

  • 김기성;정한신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84-90
    • /
    • 1997
  • 무개형 콘테이너 선박에 대한 구조 설계 과정에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여 최적 구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중앙 단면 설계 기법으로는 L.R rules을 이용하였고 목적 함수는 중앙 단면 모든 종강도 부재 단면적의 합, 즉 최소 중량을 선택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직접탐색법에 SUMT방법을 결합시켜 사용하였다. 최소 중량 설계를 수행한 결과 실적선과 비교하여 8.0%의 중량감소를 보인 최적화 설계를 도출하였다.

  • PDF

동슬래그 및 제강슬래그의 해양 콘크리트용 중량 골재 사용성 평가 (Evaluation on Applicability of Copper and Steelmaking Slags for Use of Heavy Weight Aggregates in Marine Concrete Structure)

  • 문훈;장보길;김지현;정철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45-352
    • /
    • 2017
  • 중량 콘크리트는 고파랑에 대한 저항성 상승을 위해 해양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중량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 필수적인 재료인 중량 골재는 대량 공급이 어려우며, 고가이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인 동슬래그 및 제강슬래그의 해양 콘크리트용 중량 골재로써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동슬래그는 수침팽창 및 알칼리 실리카반응성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해양 콘크리트용 중량 골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제강슬래그는 수침팽창 및 ASTM C 1260 시험에서 높은 팽창율을 보였다. 또한 콘크리트 내 제강슬래그가 위치한 곳에서 염화물 이온이 깊게 침투한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제강슬래그는 해양 콘크리트 구조물의 골재로서는 부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중 선각 유조선의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Optimum Structural Design System for Double Hull Oil Tankers)

  • 장창두;나승수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118-126
    • /
    • 2000
  • 저자들에 의해 기 제안한 바 있는 일반화 경사처짐법을 이용하여 이중 선각 유조선의 최적 구조 설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최적화 기법으로는 직접탐색법의 일종인 Hooke와 Jeeves 방법을 사용하여 이산화변수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화 경사처짐법과 최적화 기법을 결합하여 선급규정에 의한 종강도 부재의 최소 중량 설계프로그램과 일반화 경사처짐법에 의한 횡강도 부재 및 횡격벽 부재의 최소 중량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ank 배치를 고려한 이중 선각 유조선의 최적 구조 설계를 수행하여 실적선의 설계 치수 및 선각 중량과 비교하였으며, 최소 중량을 주는 tank 배치와 tank type을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동적 특성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3-dimensional Irregular Setback Structure)

  • 문성권
    • 전산구조공학
    • /
    • 제11권4호
    • /
    • pp.287-294
    • /
    • 1998
  • 입면의 형태가 임의의 층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동적 거동 특성과 이들 구조물의 동적 거동에 미치는 바닥 슬래브의 면내 변형 효과를 분석하였다.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전반적인 동적 거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분의 평면적과 타워 부분의 평면적 비(R?), setback 발생위치(L?)등을 매개 변수로 사용하였다. 48개의 비정형 setback 구조물들에 대한 해석 수행 결과 setback 구조물은 정형 구조물에 비해 횡방향 1차 모드의 유효 모드 중량(effective modal weight)이 작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setback 구조물의 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등가 정적 해석법 대신에 동적 해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은 보다 긴 구조물의 고유 진동 주기값을 가져오며 모드 순서 및 모드 형상에도 변화를 준다. 이러한 사실은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으로 인하여 횡방향 저항 요소들간의 전단력 분포와 층 변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횡방향 저항 요소들간의 강성 차가 심한 프레임-전단벽 시스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