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조적 가족치료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8초

가족치료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방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he Field of Family Therapy)

  • 문성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57-177
    • /
    • 1998
  • 본 논문의 목적은 질적 연구방법 패러다임의 중요한 특성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연구방법을 어떻게 우리 나라 가족치료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질적 연구방법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설계의 전형적인 특징들이 기술된다. 둘째, 가족치료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방법의 의미와 적절성 그리고 이의 구체적 적용방법과 관련된 내용들이 논의된다. 셋째, 가족치료 분야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할 때 고려되어야 할 핵심적 이슈들이 검토된다. 질적 연구방법은 가족치료를 총체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가족치료 분야에 새로운 조사연구 패러다임을 추가하고 이를 통해 가족치료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족구조와 현실의 총체적 표현이 가능한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들은 가족형태와 경험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검토하는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질적 연구방법은 가족치료의 과학 및 실천을 향상시킬 잠재성을 지니고 있고 가족치료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을 향상시킬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가족치료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방법의 발전을 위한 합의를 제시한다.

  • PDF

가족치료 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Structure in Conversation of Family Therapy)

  • 조용길;유명이;박태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253-276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치료 상담자의 의사소통 능력향상을 위해 훈츠누어셔의 대화문법론을 기반으로 가족치료 전체 회기에 나타나는 상담자와 내담자 간 의사소통의 전형적인 구조인 '대화연속체 원형'을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가족상담의 과정단계를 초기, 중기와 종결단계로 분류하고, 각 과정단계의 부분적 기능단계를 분위기 조성단계, 가족사정단계, 인식변화 유도단계, 변화체험 확인단계, 종결단계로 나누어 대화연속체 원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2명의 상담자와 30명의 내담자가 참여한 실제 가족치료 대화를 분석하여 각 기능단계에서 나타나는 대화연속체 원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대화원형은 일반적인 가족치료의 대화구조를 분석하는 틀로써 상담의 목적에 맞게 가족치료를 구조화시키고 상담자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PDF

구조적 가족치료를 활용한 가족모래놀이치료가 정서·행동장애아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on the Family Strength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유승은;박부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4호
    • /
    • pp.33-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in improving the family strength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irst, we looked for a way to combine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formulated an approach that could maximize the strengths of each theory and complement each other's weaknesses. And then we applied family sandplay therapy together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and analyzed its effects on family strength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famili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ith 5 families and a control group with the other 5. To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6 sessions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on family strengths, a family relationship( husband-wife relationship,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scale and a family function(family cohesion, family adaptability) scale were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lationships of the familie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children were improved after the application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Second, the application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improved the family function of familie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 children. Third, in the course of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family sand tray was changed in a pro-healing direction, and family structure was also transformed from a dysfunctional structure to a functional one. As previously stated, family sandplay therapy with structural family therapy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enhanced family strengths through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and restoring family functions.

세월호 사건 피해자 가족의 고통 체험에 관한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을 적용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For Family of Victim with Sewol-ho Ferry Accident: Applied to Parse's Human Becoming Methodology)

  • 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9-73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피해자 가족의 고통 체험에 대해 알아보고 피해자 가족의 정신적 외상에 대한 작업치료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대상자 5명의 고통 체험을 확인하고자 Parse의 인간되어감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Parse의 연구 방법 패러다임에 따라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고통 체험을 다룬 다큐 영상인 2차 자료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가족의 고통 체험에 대한 세 개의 핵심구조는 1) 가족을 잃은 절망과 슬픔, 2) 일상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무력감과 죄책감, 3) 남아있는 가족을 바라보며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으로 나타났다. 구조적인 전환은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애통함과 슬픔 속에서 압도적인 무력감을 느끼지만 희생된 가족이 세상에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현실 부인과 살아있는 가족을 보면서 버티어 나가는 과정으로 제시되었다. 개념적 통합은 가치화와 언어화를 연결-분리, 노출-은폐하면서 강화시켜 나아가는 과정으로 표현되었다. 결론 : 세월호 사건으로 가족을 잃은 피해자 가족의 고통 체험은 무기력과 절망, 우울의 감정으로 인해 삶의 의미와 목적을 잃은 상태이다. 가족들에게 의미있는 작업을 통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무너진 일상의 회복과 지역사회 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치료 중재가 필요하며 이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동적가족화에 의한 청소년의 가족지각과 가족체계와의 관련성 연구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에 기초하여- (Family Perception of Adolescence Through the Kinetic Family Drawing(KFD), And Relation with Family System -On the basis of Minuchin's Structural Family Therapy Theory-)

  • 이미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45-1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mily perception of adolescence through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and to explore its relation with the family system.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and Family System Diagnosis Scale (FSDS) were administered to 356 adolescent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KFD family adaptability variables of boys' KFD and the flexibility and rigidity variables of the FSDS in the family relationship. For example, That is; for sons', it means that if there is a greater the satisfaction for their family in their drawings, then the family relationship will be more flexible. Especially with the son's KFD, there was an indication that if there is a greater the activity level of the self, then he has more flexibility in his family relationship.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FD family hierarchy variables of girls' KFD and the parent coalition·cross-generational triads variable of the FSDS. For girls 'KFD,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when there is a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father figure and the child figure, the cross-generational triads we greater.

가족체계 진단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에 기초하여 -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 System Diagnosis Scale and Its Validity - On the Basis of Minuchin′s Structural Family Therapy Theory-)

  • 이미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79-19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amily System Diagnosis Scale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subscale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d scores on seven constructs. In order to define constructs accurately, a careful review of Minuchin's writings, the writings of other family therapists, and relevant articles on family interaction was undertaken. A pool of 150 items was given to eight family counselors along with a description of Minuchin' s concepts. The counselors were asked to choose the category each statement fit and to rate the degree of fit using the 3-point scale.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LISREL), six subdimensions of individuation and 55 items of FSDS were identified; enmeshmen disengagement(16 items), parent coalition generational coalition(6 items), flexibility rigidity(5 items), spouse conflict resolved unresolved(8 items), mother-child cohesion estrangement(10 items), father-child cohesion estrangement(10 items). 356 adolescents(ages 13∼18), 356 fathers, 356 mothers in Seoul, Busan, Dague, Incheun, Dajeun, Ulsan, and Kwangju were completed the Family System Diagnosis Scale(FSD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calculated by Cronbach's a Coefficient and the total a = .94 and the calculation for each factor was .87, .60, .77, .80 and .79 respectively.

건강기능식품의 현황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Nutraceuticals)

  • 김현구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04
  • 국민소득의 향상, 핵 가족화, 여성의 사회 참여가 높아짐에 따라 우리 고유의 식생활은 영양식, 위생식, 간이식 (convenience food) 등 서구식 식생활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면서 식품의 소비구조도 점차 다양화, 고급화 및 편의화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젊은 세대들의 식습관 변화와 식품가공 산업의 발달과 함께 가속화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될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의 식생활은 기아와 영양부족이 주된 관심 대상이던 건강관리의 문제가 최근에는 과잉섭취로 인한 성인병 문제로 초점이 이동되었으며 각종 성인병의 치료 역시 약물이나 의료적인 치료보다는 식생활의 조절에 의한 질병예방 차원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중략)

  • PDF

가족탄력성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Adaption of Family with Chronic Illness Child)

  • 이은희;손정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27호
    • /
    • pp.95-120
    • /
    • 2008
  •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이론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은 어떤 경로를 통해 어떻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사업개입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증적인 지식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그리고 경상북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 만성질환으로 진단 받고 3개월 이상 치료중인 0세~15세의 만성질환아 가족들이다. 연구의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성질환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족탄력요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질환아 가족의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족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강점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만성질환아 가족의 탄력성 강화를 위한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