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구강영역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3초

경남지역 보건소의 효율성 평가 (An Efficiency Evaluation of Gyeongnam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 장동민;양종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63-3571
    • /
    • 2011
  • 본 연구는 경남지역 20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2007-2009년 까지 3년 동안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비효율 보건소의 투입 및 산출변수의 목표량을 규명함으로써 운영의 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효율성 평가방법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의 CCR, BCC 모형을 이용하여 보건소 전체 효율성과 사업 영역별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투입변수로는 인력(의료직, 간호 및 기술직, 사무직)을, 산출변수로는 보건소 사업(진료실적, 구강보건, 예방접종, 노인보건, 모자보건, 방문보건)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술효율성(TE)의 경우 2007년 평균은 0.912, 2008년 0.877, 2009년 0.917이었으며, 순수기술효율성(PTE)의 2007년 평균은 0.961, 2008년 0.946, 2009년 0.964, 그리고 규모의 효율성(SE)의 2007년 평균은 0.944, 2008년 0.925, 2009년 0.952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보건소의 효율성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국가 및 경상남도에서 그동안 보건소의 공공 보건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추진한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경남지역 공공보건사업의 체계적인 기획, 수행 및 평가체계의 구축은 물론, 전국의 다른 지역 보건소에 대해서도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 -경상남도 보건소를 중심으로- (An Efficiency Evaluation of Public Health Center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Focused on Public Health Centers of Gyeongnam Province-)

  • 양종현;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129-2137
    • /
    • 2010
  • 본 연구는 경상남도 20개 보건소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비효율 보건소의 개선 목표치를 제시함으로써 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효율성 평가방법으로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의 CCR, BCC 모형을 이용하여 보건소의 전체적 효율성과 사업 영역별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투입변수로는 인력(의료직, 간호직, 보건직, 사무직)을 선정하였고 산출변수로는 보건소 사업(진료, 보건교육, 구강보건, 예방접종, 노인보건, 모자보건)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술효율성(TE) 평균은 0.868이었으며, 12개(60%) 보건소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순수기술효율성(PTE)의 평균은 0.924이었으며, 14개(70%)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규모의 효율성(SE)의 평균은 0.933이었으며, 12개(60%)가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사업의 체계적인 기획, 수행 및 평가를 통해 보건소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지역민에게는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고출력 3색 LED를 이용한 휴대용 무영등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Astral Light using the High Power 3-Color LEDs)

  • 유성미;천민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11-1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신조명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출력 LED를 사용해 구강구조 확인을 위한 치과영역, 진료 및 수술실에서 환부에 대한 작은 범위(국소부위)의 무영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LED Light를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에 적용한 LED는 피사체 고유의 Tone에 대한 섬세한 표현력과 입체감을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 구현 및 광량조절이 가능하도록 3색 LED를 사용했다. 사용된 LED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고려해 고효율의 Light Module를 개발했으며 휴대 사용을 위해 낮은 전압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SMPS를 제작했다. 또한 PWM 제어방식을 이용해 단색광부터 백색광까지 32,768개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했다.

구강 및 악안면 영역의 연조직 손상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SOFT TISSUE INJURIES OF ORAL & MAXILLOFACIAL REGION)

  • 유준영;김용관;배준수;장현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4호
    • /
    • pp.407-413
    • /
    • 1997
  • The soft tissue injuries of Oral & Maxillofacial region include abrasion, contusion, simple laceration, laceration of skin with underlying tissue, soft tissue injuries combined with facial bone fracture and involving functional structures such as facial nerve and vessel, orbit, lacrimal duct and salivary gland and so 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age range was 1 to 97, and the highest incidence occured in the 3rd decade(23.4%), followed by the 1st decade(20.2%), 4th decade(18.1%), 4th decade(18.1), and 5th decade(14.3%) 2. The sexual ration was 4 : 1(M : F). 3. The most common cause of facial laceration was a accident(54.5), followed by blow(17.8%), traffic accident(15.9%) and unknown(10.8%). 4.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site of injury was a forehead(24), followed by oral cavity(16.9%), lip(15%), eyebrow(14.5%), cheek(14%), chin(11.8%), nose(2%), scalp(1.4%) and neck(0.9%). 5. Most of wound size was less than 3cm in length. 6. 28 patients suffered facial bone fracture, representing 7%. 7. The major complications following facial laceration were infection and facial paralysis caused by facial nerve injuries, representing 4.5% and 1.9%.

  • PDF

양악 수술 중 발생한 폐부종의 치험례 (CASE REPORT OF PULMONARY EDEMA DURING TWO JAW SURGERY)

  • 최희원;김경원;이은영;강지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78-182
    • /
    • 2006
  • 폐부종은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수술 도중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신마취하에 수술중인 외과의와 마취의는 환자의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하며 수술 중 폐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에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폐부종 증세가 발견되는 즉시, 즉각적이고도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 경우 예후가 좋으며, 근본적인 원인치료 및 타장기의 합병증 및 후유증에 대하여 검사가 필요하다.

운동선수들의 구강 악 안면 영역에서의 스포츠 외상에 관한 설문조사 (THE SURVEY ON ORAL HEALTH AND MAXILLOFACIAL TRAUMA INCIDENCE OF THE SPORTS PLAYERS IN KOREA)

  • 박능석;우이형;백진;최대균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34-545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 In spite of increasing sports injury, there was no collected data on the rate and type of dental injuries for athletes in Kore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maxillofacial injuries and attitude of college sports player in Korea towards mouthguard. Material and methods: Total 617 athletes answered a series of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sports injury and using mouthguard. Results: 1. 81%(502) of athletes had, playing or training a sports, suffered an injury. Female athletes suffered an injury more than male athletes(p<0.05). Contact sports athletes were injured more than non contact sports athletes(p<0.05). 2. 335 athletes(54.8%) had suffered maxillofacial injuries while playing or training. 81.8% of athletes suffered an maxillofacial injury in contact sports(p<0.05). 3. Laceration of oral area, wrick in neck, fracture or avulsion on upper incisors, concussion, TMJ injury, fracture or avulsion on lower incisors, fracture or avulsion on lower molars were frequently injured area. 4. 67.2% of athletes answered that mouthguard could prevent sports injury especially high in contact sports(p<0.05). But only 39.1% of athletes required mouthguard while playing. 44.6% of athletes showed their intention of using mouthguar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incidence of maxillofacial injuries is very high while the actual use of mouthguard is very low. To prevent sports injury, a dentist must inform sports players and coaches of accurate information about mouthguard so that they can use it well. A dentist also has to provide them with better mouthguard on the basis of user's complaint.

비스포스포네이트 연관 악골괴사증(BRONJ) (Bispho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 김현묵;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449-454
    • /
    • 2011
  • 근래에 비스포스포테이트(bisphosphonate) 투약의 부작용으로 악골괴사에 관한 보고들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보고된 유병율은 대략 0.8% - 12 % 정도이다. 하악은 상악보다 2배 정도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의 60 - 70 %는 치과진료와 연관성이 거론되었다. 임상적으로 골괴사 현상이 일어나기 전에 건강한 치주조직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치유지연 점막궤양, 치아동요와 원인을 알 수 없는 연조직 감염등이 관찰되었다. 치아발거가 치과영역에서 가장 흔한 사전 처치행위로 알려져 있다. 장기적인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약시 세심한 예방적 치과진료가 이러한 심각한 괴사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데 절대적이다.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이용한 임플란트 수복 증례 (Clinical case of implant restoration using customized healing abutment)

  • 박정완;홍민호;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22-227
    • /
    • 2015
  • 최근 임플란트 수복 영역에서 심미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수술 후 초기 연조직 회복 과정에서 기성 치유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은 연조직 형태 및 치경부 출현각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증례에서는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맞춤형 치유 지대주의 형태는 원형이 아닌 최종 맞춤형 지대주 형태로 제작하여 임플란트 수복 시 심미성의 향상을 관찰 하였다. 본 증례는 임플란트 수술 후 맞춤형 치유 지대주를 이용하여 연조직의 치유를 도모함으로써 이후, 최종 맞춤형 지대주 장착 시 연조직의 변위를 줄여보다 심미적이고 기능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다양한 임플란트 엔진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f user satisfaction on various implant engine system)

  • 이두형;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1호
    • /
    • pp.9-15
    • /
    • 2014
  • 목적: 임플란트 엔진 시스템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사용하며 핸드피스, 구동모터, 본체, 그리고 풋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엔진 시스템의 편의성, 디자인 그리고 전체 만족도를 평가하고, 임플란트 식립 경험와 평가와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30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3개 제조사의 시스템(NSK 의 SurgicXT와 X-SG20L, KaVo의 INTRAsurg300와 CL3-09, Saeshin의 XIP10와 CRB26LX)의 편의성, 디자인, 만족도를 비교 연구의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통계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만족도는 각기 다르게 나타났고(P < 0.05), 전체 만족도에는 편의성 평가가 디자인 평가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임플란트 수술 경험의 정도와 일부 영역의 평가와는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임플란트 엔진 시스템의 횡단적 단면 평가 시에 디자인이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임플란트 식립 횟수는 평가 시 영향력 있는 인자가 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흰쥐 삼차신경 감각핵에 존재하는 이온통로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ion channels in rat trigeminal sensory nucleus)

  • 박호영;최기운;최호영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3호
    • /
    • pp.215-231
    • /
    • 2002
  • 삼차신경절의 뉴론이 구강악안면영역에서의 촉각, 압각, 온도각 및 통각 등 다양한 감각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신경전달에 있어서 이온통로는 감각정보를 전달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 중 소디움 통로는 활동전위의 발생에 중요하며, 칼슘 통로는 시냅스 전도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포타슘 통로는 안정막전압의 유지 및 재분극에 관여한다. 최근에 여러 가지의 이온통로들의 뇌조직내의 분포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데 삼차신경의 일차구심뉴론이 종지하는 삼차신경핵 즉 삼차신경 척수감각핵, 삼차신경 주감각핵, 삼차신경 중뇌핵 및 삼차신경 운동핵에 존재하는 이온통로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희소하여 본 연구에서는 횐쥐의 삼차신경 핵에 존재하는 소디움, 칼슘 및 포타슘 이온통로들을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디움 통로는 삼차신경 척수감각핵, 삼차신경 주감각핵 및 삼차신경 운동핵 모두에서 강하게 염색되었다. (2) 칼슘 통로는 삼차신경 척수감각핵에서는 N-type 통로가 중등도로 염색되었으며 , P/Q-type 통로는 약하게 염색되었으나 R-type 통로는 거의 염색되지 않았다. 삼차신경 주감각핵에서는 P/Q-type 통로가 매우 약하게 염색되었다. (3) 포타슘 통로는 삼차신경 척수감각핵과 삼차신경 주감각핵에서 inwardly rectifying 포타슘 통로(Kir 2.1)가 중등도로 염색되었고, voltage-gated 포타슘 통로(Kv 4.2)가 약하게 염색되었으며, BKCa는 그 염색 정도가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삼차신경 감각핵에는 소디움 통로의 분포가 가장 많았으며, 칼슘통로에서는 N-type이, 포타슘 통로 중에는 inwardly rectifying 통로(Kir 2.1)가 가장 많이 분포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