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구강보건센터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8초

결혼이주여성의 구강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f Marriage Migrant Women's Oral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on Oral Health Awareness)

  • 가경환;문선정;구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87-8497
    • /
    • 2015
  • 본 연구는 영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신념 및 자기효능감과 구강건강인식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구강건강 인식 개선과 태도 변화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2013년 10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대구, 경북, 경남지역 8곳의 다문화 관련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방법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최종 256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구강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치석제거(스케일링)경험은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심각성(${\beta}$=.568)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구강건강상태는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감수성(${\beta}$=-.391)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구강건강관심도는 구강건강신념요인 중 감수성(${\beta}$=-.183), 심각성(${\beta}$=.172), 유익성(${\beta}$=.224)과 자기효능감(${\beta}$=.237)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결혼이주여성의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를 위하여 구강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이 구강건강인식에 미치는 요인의 분석으로 향후 예방적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방안의 모색과 다문화가정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기본 정책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농복합도시 W시 노인대학생의 구강건강생활 실천도와 구강불편감과의 관련성 (Relevance between oral health life practices and oral discomforts in elderly school participants in W urban-rural complex city)

  • 최은미;홍해경;김영남;조민진;김대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9-58
    • /
    • 2019
  • 본 연구는 도농복합지역 복지센터 노인들을 대상으로 구강불편감과 구강건강생활 실천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계속구강건강생활습관이 있는 대상자는 정기구강검진과 스켈링, 식사 후와 잠자기 전에 칫솔질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경우 음주와 관련이 있었으며, 치료 후에는 절주를 하게 되고, 저작이나 식사 불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취발생은 사회적 불편감과 관련이 있었으며, 발음불편감은 미각이나, 동통, 저작불편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노인들의 구강불편감은 교육수준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흡연, 저작불편감, 구취불편감 등이 사회적 불편감과 관련이 있었다(P>.05). 결과적으로 노인들의 구강불편감은 사회적불편감을 발생시켜 삶의 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계속구강건강관리를 실시하여 노년기의 삶을 행복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구강보건 팀이 공동으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일부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구강보건교육 전·후 구강보건행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Behaviors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 이선미;김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4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child users of local children's centers before and after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in an effort to develop a well-organiz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METHOD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used 13 different local children's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The questionnaire was intended for children and consisted of 31 items, which were four about eating food, three about washing hands, two about smoking, five about toothbrushing and dental clinic visit, five about tooth damage and dental pain, seven about knowledge and awareness of dental health and six about dental health attitude. RESULT : 1. The rate of the children who replied they didn't brush their teeth on the previous day stood at 5.8 percent before the program, and this rate rose to 13.0 percent after that.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p=0.026). 2. The rate of the former after the program stood at 61 percent, and that of the latter stood at 39 percen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9). CONCLUSION : The oral health behaviors were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education was provided, and this education was found not to be sufficient enough to change their oral health care. So it seems necessary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by providing it twice a year. In addition,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geared toward teachers in local children's centers who spend time with children should additionally be strengthened to offer more education to these children.

산업체 수요기반의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geriatric dental hygiene and practical education courses based on industry demand)

  • 최용금;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1-150
    • /
    • 2023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산업체 수요기반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함으로써 노인치위생학 교육의 효과를 확인해 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방법: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에 따른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과정 인식, 수업만족도의 전후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모수 분석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수행하였으며, 각 요인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분석(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p<0.05).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중심 실무교육을 수행 후 '노인과의 의사소통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031). 고찰: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은 산업체 현장에서 활용가능한 실무중심의 교육과정이 학습자에게 제공되었을 때 노인에 대한 실제적인 이해와 노인구강관리에 대한 현장실무전공역량이 더욱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 개요 (Data resource profile: oral examination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우경지;이혜린;김윤정;김혜진;박덕영;김진범;오경원;최연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101-108
    • /
    • 2018
  • Objective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s a national surveillance system that has been assess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s since 1998.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the surveys have been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Methods: An oral examination as part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was proposed to calculate the sample design and survey participation. The surveying system was presented by classifying the measurement environment, screening, and survey items by year, and the merits and limitations of using the data were suggested by examining the status of survey quality management and the process of disclosing raw data. Results: This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urvey samples approximately 10,000 individuals each year and collects information on oral examinations and oral health interviews. Data for the oral health component of KNHANES was obtained to assess the oral health status of Koreans and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The oral health data quality control of KNHANES was composed of three parts: "Education Program" and "Field Training Program" for quality control of oral health examiners (dentists) by the professional academy, and "Data management" by the KCDC. After completion of the three-step data check, the indicators of dental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health behavior were published in the National Health Statistics. Conclusions: To achieve the goals of oral health indicators, we will continue to monitor so that we can use it as basic data for oral policies and carry out various linkage analyses related to oral diseases.

노인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f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Geriatric Dental Hygiene Curriculum)

  • 최용금;임희정;윤지혜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63
    • /
    • 2023
  • 연구배경: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증가하는 노인인구에 대한 적절한 구강관리 중재자로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노인구강보건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노인치과학과 노인치위생학 및 실습으로 개설된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마지막 주차에 설문을 수행하였다. 이론위주의 문제해결기반(PBL)교육과정과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과정의 교육효과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학기 말에 학생들의 전공역량달성도, 노인치위생 과정에 대한 인식, 수업만족도, 연령차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공역량달성도의 경우 이론 위주의 PBL교육보다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의사소통역량'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38). 연령주의의 경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노인을 기피하는 경향'이 유의미하게 낮았다(p=0.040). 수업만족도의 경우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PBL교육에서 '수업분위기'가 '매우 높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p=0.025). 결론: PBL 교수법은 노인치위생 교육과정으로 유용한 교수법이며, 이론위주의 교육보다는 노인치위생 실습교육을 함께 운영하는 교육과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계속구강건강관리(IDC)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come of IDC (Incremental Dental Care))

  • 조민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3-168
    • /
    • 2009
  • This study was executed to find out the outcome of Incremental Dental Care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4. 40 visitors to oral health center were examined on the oral conditions every week, seven times during above-mentioned period. Various tests were practiced in order to check their oral conditions before and after IDC such as tooth-brushing method/frequency/duration, calculus index, PHP index, halitosis and dental caries activity. Question and answer sheets were presented to student dental hygienists and 40 visitors respectively after IDC program.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Rotation method of toothbrushing increased from 27.8% to 88.9%. for men and increased from 27.3% to 95% for women. 2. Toothbrushing frequency increased from 2.8 times to 3.0 times a day for men and increased from 2.6 times to 3.1 times for women. Toothbrushing duration increased from 2.3 minutes to 2.8 minutes for men and increased from 2.1 minutes to 2.9 minutes for women. 3. Calculus index reduced from 0.5 to 0.1 for men and reduced from 0.7 to 0 for women. PHP index reduced from 3.7 to 3.0 for men and reduced 3.2 to 1.7 for women. However, halitosis didn't mark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DC. 4. Saliva buffering capacity of medium plus showed no change for men(94.5%), however increased from 95.4% to 100% for women. Dental caries activity of medium plus in S.mutans reduced by 4.3 times(72.2% to 16.7%) for men and reduced by 2 times(36.4% to 18.1%) for women. LB test results reduced by 1.5 times(50% to 33.3%) for men and reduced by 2.5 times(50% to 18.1%) for women. Alban's test results reduced by 1.4 times(83.3% to 61.1%) for men and reduced by 1.2 times(81.8% to 68.2%) for women. 5. All participants including visitors and students realized the importance of IDC and expressed a great satisfaction with IDC program.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very necessary that IDC program should be maintained and extended to whole country so as to enhance the peoples' oral health conditions.

  • PDF

대전 동구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 사례 보고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Elderly in Dong-gu, Daejeon: A Case Report)

  • 송은주;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49-255
    • /
    • 2016
  • 본 사례보고는 대전 동구보건소에서 7년간 실시하고 있으며 매년 천 명 이상이 참가하는 노인 불소도포 스케일링 사업의 진행과 만족도, 논의사항 등을 보고하여 노인 구강보건사업 실행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2009년 시범사업은 대한노인회 대전동구지회와의 협의를 통해 각 경로당에 관련 공문을 보내고 신청 경로당에 직접 방문하거나 인근지역의 여러 경로당을 합하여 주민센터에서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이후에는 경로당 중심 사업보다는 복지관이나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대전 동구치과의사회와 사전 협의 후 사업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사업진행에 문제가 없었으나, 스케일링 후 지혈이 되지 않는 1건의 의료사고가 있었으며 이후로 지혈관련 전신질환이나 약물복용에 관한 사전 조사를 강화하였다. 2013년 본 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 동의자 355명 중 홍보 95.2%, 대기시간 73.2%, 스케일링 99.7%, 불소도포 91.5%, 틀니관리교육 96.6%, 칫솔질교육 98.6%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사업 참여 이유에 대한 구두대면조사 대상자 137명 중 44.9%는 무료라서, 12.5%는 치과에 가면 불필요한 치료를 받으라고 할까 봐 마음이 불편해서, 8.1%는 치과보다 제대로 치아관리를 해주는 것 같아서, 8.1%는 이동이 편리해서, 7.4%는 노인 우대를 잘 해주어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사업에 다시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견은 치과에 가서 하면 된다 1.5%, 다른 치료를 해주지 않는다 1.5%, 답변 거부 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사업담당자의 의견은 사업의 지속적 참가자들의 구강환경관리 향상에 사업이 효율적이라 판단되나 농촌지역이나 취약계층 밀집지역의 경로당들은 사업 신청을 하지 않거나 신청인원 부족으로 사업의 효율성 때문에 배제되는 점, 스케일링의 보험급여화 이후 사업의 비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취약계층을 사업에 포함하기 위한 방안 마련과 건강보험 급여화와 중복이 되는 보건소 사업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일부 대학 스켈링센터 방문환자의 흡연 및 음주와 치주낭 형성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Periodontal Pocket Formation of Patient was Visited at College Scaling Center)

  • 장분자;남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7-122
    • /
    • 2010
  • 본 연구는 일개 대학 치위생과 스켈링센터에 방문한 환자 177명을 대상으로 흡연 및 음주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관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되어 치주낭 측정과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흡연 및 음주여부와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별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남자와 여자 모두 1.09로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연령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19세 이하 0.81, 20-29세 1.08, 30세 이상 2.46으로 연령이 증가됨에 따라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3. 결혼여부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기혼 2.42로 미혼 0.98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4. 경제적 상태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상' 1.68, '중' 1.15, '하' 0.68로서 경제적 상태가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낮았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5. 흡연여부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흡연자 1.11로서 비흡연자 1.07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6. 음주여부에 따른 치주낭 보유 분악수는 음주자 1.03 으로서 비음주자 1.24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7. 치주낭 보유 분악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연령, 결혼상태, 흡연여부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치주질환과 관련성이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연구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음주와 치주질환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또 다른 연구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써 구강보건전문가는 환자들에게 구강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해서 금연지도가 필수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금연상담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부 병원 내원 환자의 금연에 관한 건강행위 동기요소 (Health Behavior Motivators about Quit-Smoking in Some Outpatients of University Hospitals)

  • 궁화수;유승미;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14-320
    • /
    • 2013
  • 본 연구는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충남대학교 병원 심혈관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본 연구에 대해 자발적으로 동의한 40대 이상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흡연 여부와 관련된 동기요소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1. 흡연자율은 성별, 최종학력, 월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자, 고등학교 졸업자, 월수입 200만원대인 대상자의 흡연율이 높았다. 2. 흡연군은 비흡연군이나 금연군에 비해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은 유의하게 낮고(p=0.021) 지각된 장애성은 더 높았다(p<0.001). 흡연군은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생활방식, 건강습관 등을 실천하지 않으며(p<0.001), 변화단계에서는 비흡연군과 금연군이 행동단계 이상이나 흡연군은 준비단계에 위치하였다(p<0.001). 3. 흡연 여부에 따라 주관적 구강건강인식, 치은출혈 여부, 1일 잇솔질 횟수, 치과방문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4. 건강행위에 대한 지각된 장애가 평균 미만인 군이 OR이 0.378 (p=0.039)이고 변화단계가 평균 미만인 군은 OR이 4.746 (p=0.002)이었다. 남성이 흡연할 OR은 12.743 (p<0.001)이었고, 경제상태에서는 월수입이 200만원대인 군이 300만원 이상인 군에 비해 OR이 3.271 (p=0.045)이었다. 따라서, 금연에 대한 동기요소를 변화시키기 위해 건강행위에 대한 유익성, 장애성, 실천 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금연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며 구강보건관련인력도 흡연과 연관된 구강건강 관리뿐 아니라 동기요소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금연 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