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기능공간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2초

문자 없는 나라를 위한 문자 교육 시스템(소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for People Who Don't Have Their Own Letters, SOUL)

  • 함혜령;노용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7-380
    • /
    • 2010
  •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육은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교육을 위해서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능력이 필요하다.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지 못한다면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없다. 하지만 전 세계에 존재하는 약 6900여종의 언어 중 6600여종의 언어는 표기할 수 있는 고유 문자가 없다.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기르기 위한 최소 조건조차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말은 있지만 문자는 없는 국가에 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를 보급하여 지식기반 발전의 기반을 마련해 주는 소울(SOUL)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울(SOUL)은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문자 교육 기능과, 지식 공유 공간 기능이다. 문자 교육 기능에서는 각 문자가 내는 소리와 조합방법, 그리고 각 문자의 표기법, 표기 순서 등을 익힘으로써 문자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SOUL은 말을 표기할 문자로 비교적 익히기 쉬운 언문인 한글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지식 공유 공간 기능에서는 문자를 익힌 사용자가 마치 위키피디아처럼 지식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어 지식을 축적하도록 도와주도록 설계하였다. 여기서는 소울(SOUL)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초등학교 학교도서관 기능 공간의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y-out Type of Faculty Space in Library)

  • 신동준;이상호;임채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5-179
    • /
    • 2009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은 기본적으로 교육 및 정보를 전달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교사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간 구성은 세부 공간 간의 기능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공간과 가구의 경제적 배치(LAYOUT)가 주된 목적이다. 따라서 공간과 가구를 잘 배치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고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기능공간의 배치유형을 조사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학교도서관의 전문화, 다원화, 개성화 하여야하는 목적과 교육환경 및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초등학교 도서관의 사용자인 학생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고 공간의 점유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초등학교 도서관 계획시 보다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공간감각을 기르기 위한 교구 활용 방안

  • 한기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57-66
    • /
    • 2001
  • 우리는 공간적인 패턴, 모양, 그리고 움직임의 세계-즉, 기하의 세계-에 살고 있다. 아동들은 그들의 환경에 자연스럽게 매혹되고, 보고, 듣고, 움직임으로써 계속해서 정보를 받아들이므로, 그들의 공간적인 능력은 일반적으로 수(數)기능을 능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수학과 7차 교육과정에 공간 감각을 기르기 위한 내용이 새로이 추가되었다는 것은 아주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하며, 이와 관련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서 공간감각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여 공간감각을 길러줄 수 있는 내용을 체계화하며, 공간감각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구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 PDF

학교옥외공간의 세부 유형 분류 연구 - 서울시 최근 조경사업 학교를 대상으로 - (A Study of the Detailed Typology of School Outdoor Spaces - For a Recent Landscaping School in Seoul -)

  • 안명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56-68
    • /
    • 2024
  • 본 연구는 서울시 학교옥외공간의 개념과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옥외공간의 개념은 "행동권, 보행권, 생활권, 도시권, 경관권(조망권), 자연체험권 등"의 통합적인 공공생활, 공동생활의 가치가 담보된 학교 내 옥외활동 공간(open spaces)으로, 학교의 기본 기능인 교육의 가치와 지역사회의 특징이 반영된 기초 교육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옥외공간의 유형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이 학교옥외공간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고, 결과적으로 서울시 학교옥외공간은 보행공간(이동기능), 교육공간(교육활동), 휴게공간 및 기타 공간(기타 서비스)의 세 가지 대분류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중분류, 세분류를 진행하여 정책 실행의 기반이 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1) 기능별 공간 구분을 3가지(이동기능, 교육활동, 기타서비스)로 단순화하여 통합적 용도로 옥외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 2) 교육공간을 세분하고 주요 활동에 집중한 복합적인 공간 활용을 반영하였고 특히 건축물 입체화로 인한 복합공간을 발굴하였다는 점, 3) 공간 단위의 계획과 시설 요소 수준의 접근을 학교 특성에 따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 등 일반적인 옥외공간 사업의 최근 추세와 체계를 학교 현황에 적합하게 적용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효과적인 협업을 지원하는 강좌 관리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a Course Management System Supporting Effective Collaboration)

  • 안건태;정혜영;황의윤;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505-507
    • /
    • 2003
  •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 활발해지면서 강좌의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실험 및 공동과제 수업과 같은 강좌의 경우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 의견 교환 및 자료의 공유를 용이하게 지원해주는 협업 기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랑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와 학습자. 교육자와 교육자. 그리고 교육자와 학습자 간의 다양한 의사교환 방법과 협업 기능을 제공하는 협업지원 강좌 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된 시스템은 웹상의 가상공간인 개인작업공간, 팀작업공간, 그리고 학습작업공간을 이용하여 강좌 진행 관리 및 중간 결과물에 대한 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 PDF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eXtended Reality)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

  • 최정환
    • 방송과미디어
    • /
    • 제27권1호
    • /
    • pp.71-80
    • /
    • 2022
  •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산업계 및 공공기관(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환경부 등)에서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한 교육, 훈련 시스템 개발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적용된 교육, 훈련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유형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특히 기본적인 가상현실 기술에 더하여 현실과 같은 UX(유저 경험)을 구현하면서 제한된 현실 공간을 기반으로 실 세계에서 구현하기 힘든 규모가 큰 재난대응 및 팀 훈련을 가상공간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 추가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융합 교육 훈련 시스템'의 유형이 제시되고 있다.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은 필요한 교육 훈련 내용에 맞춘 시나리오에 따라 현실의 훈련 공간의 크기, 사용 디바이스 및 하드웨어의 종류, 요구되는 시스템의 기능이 달라지는 등 다양하게 특성이 요구된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대 공간 워크스루형 XR 교육 훈련 시스템'의 주요 기술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온라인 교육을 위한 학교 공간조성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of School Space for Online Education)

  • 조진일;최형주;김성중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3호
    • /
    • pp.14-25
    • /
    • 2022
  • 본 연구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그 필요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온라인 교육 공간'에 초점을 두고,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권을 충분히 보장하면서 양질의 온라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방향, 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 및 공간의 종류 등 온라인 교육을 위한 공간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교육의 개념 및 특성, 온라인 교육 공간의 특성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한 문헌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국내, 외의 온라인 교육 운영 및 공간조성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온라인 교육을 운영하는 교사들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①온라인 교육 공간조성의 기본원칙과 방향, ②온라인 교육 공간의 속성(융복합성, 편리성, 탈장소성(De-place)), ③온라인 교육에 필요한 33개의 공간을 제시

    하였다.

  •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 이용환;구중필;김관영;박정란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8권4호
      • /
      • pp.33-43
      • /
      • 2019
    • 본 연구는 사용자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목표로하는 학교공간혁신의 개념 연구를 통하여 학교공간이 학생들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수준의 교육자치 목표 및 기본가치와 상호관계성 연계 정도에 대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조사·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는 교육자치 혁신 교육과정과 학교 자치적 다양한 교육활동과 연계된 학생, 교사 즉 수요자의 요구도 분석을 통해 수요자 중심 즉 수요자의 요구가 최대한 반영되는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자치 혁신과 학교공간 혁신의 기본개념 고찰과 국가수준의 2015개정 교육과정과 교육자치 혁신과정에 대한 문헌조사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기본가치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원도심지역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의 기본가치, 학교교육의 기능, 학교환경 및 공간 구성 방향, 학교공간에 대한 조사분석으로 학생과 교사의 인식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 급식시설의 공간 분석 연구 - 2009년 이후 개교한 수도권 초·중·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Space for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Focu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Since 2009 -)

    • 서붕교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3-1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lann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o operate with hygiene and efficiency corresponding a decrease of the number of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sition of space for foodservice facilities categorizing by the functions which are preparation area, cooking area, cleaning area, storage, and worker's room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Metropolitan city since 2009 that the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published a manual for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The calculation can be a basis for school planners and the general schools to use available area in each school and can manage the school usage plan appropriately.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has been regarded as the space planning element, but the number of students would considered with using the specific area and time.

    홈페이지를 활용한 학급 경영 활동 개선 기법 (An Improvement Scheime of Class Management Activities using Home Page)

    • 김주영;채진석;최진탁;신승호;이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676-678
      • /
      • 1999
    • 최근 사이버 공간(Cyber Space)을 통해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교육적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사이버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논문은 수년간의 학습 경영 활동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사이버 공간을 통해 효율적인 학습 경영을 할 수 있는 학습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학습 경영 활동을 개선시키는 기법에 대해 기술한다. 이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홈페이지 작성을 위해 학생-학부모-교사의 요구사항을 선물을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담임의 기능과 임무를 파악하여 중학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학급 경영활동을 한 후, 그 결과물을 홈페이지에 구현하여 학습 경영 활동을 개선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홈페이지를 통해 교사들은 학습 경영 활동의 개선에 필요한 사이버 공간 활용 방향과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학생은 컴퓨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이버 공간에서의 다양한 교육적 접근에 친숙하게 되며, 학부모는 시간적.공간적 제약 없이 자유롭게 학습의 행사나 학생에 관한 자료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