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모형

Search Result 3,74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직무교육 성취집단 예측모형 개발

  • Gwak, Gi-Hyo;Seo, Yong-M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18-323
    • /
    • 2007
  • 국방부에서 발표한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 에 따라 2014년까지 현역병들에 대한 복무기간이 단계적으로 단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좀 더 효율적인 직무교육 방안이 필요하게 되어, ‘차등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 교육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훈련병들의 예상 학업 성취도를 미리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교 초기에 얻을 수 있는 신병들의 제한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교육 성취도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의 목적 변수는 ‘일반관리 인원’, ‘집중관리 인원’의 값을 갖는 이진형 성취집단 변수이며, 사용된 기법은 k-means 군집기볍과 Decision Tree 기법을 혼합한 모형, k-means 군집기법과 Neural Network 기법을 혼합한 모형, Decision Tree 모형, Neural Network 모형, Bayesian 모형, 그리고 Logistic 모형 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k-means 군집기법과 Decision Tree를 혼합한 모형이 가장 좋은 예측력올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 성취집단 예측 모형은 향후 군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xploring the Policy Decision Model for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한국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결정 모형 탐색: 통합적 순환 모형 개발)

  • Sang-soo Lee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
    • v.4 no.2
    • /
    • pp.43-61
    • /
    • 2024
  •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as a model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urriculum autonomy applied to the school field after Korea's curriculum autonomy policy is determined. To this end, first, the significance of curriculum autonom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utonomy in Korea were examined. Second,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curriculum policy-making model was discussed based on the critical analysis of the policy-making model. Thir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explored. Here, the condition search for model establishment and the basic direction of the model were presented, and an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evised. The integrated circular model was divided into a macro model and a micro model, examined, and presented as an integrated model.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t wa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autonomy in which the self-requesting behavior of the curriculum to the state was promoted due to the autonomy granted by the state, and the exclusion and internal control of the curriculum were established. Through these discussions, sugges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model application, curriculum quality management, and supplementation through verification were made.

The Plan of Distance Computer Education Model according to Computer Education Contents (컴퓨터교육 내용에 따른 원격 컴퓨터교육 모형 탐색)

  • 신수범;유인환;이철현;이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85-687
    • /
    • 1999
  • 기존 교수 연수체제는 전이 효과가 떨어지며 교사의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선정된 컴퓨터교육내용을 원격교육체제로 전환하여 기존 교사 연수의 단점을 극복하여, 효율성을 기할 수 있다. 컴퓨터교육내용을 원격 교육체제로 구축함에 있어서 다양한 원격교육매체의 특징과 가능한 학습 활동, 컴퓨터교육 내용의 특징에 따라서 원격 컴퓨터교육의 모형을 탐색하여 보았다. 그 모형은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에 기반한 코스웨어 모형, 토의 학습활동에 기반한 토의학습 모형, 대체 학습모형으로 일체학습 모형, 원격 교육의 모든 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문제결학습모형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여 보았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Media Educational Model (한국형 미디어교육 모형의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 Lee, Ran;Hyun, Eun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3
    • /
    • pp.462-473
    • /
    • 2017
  •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media educational model for the Korean situation based on the two previous research results concerning Korean media mental model which have abstracted from elementary schoolers and parents respectively living in and around Seoul. This looked through typical media educational model being in effect in Western countries such as Buckingham's creation-centered model, Hobbs' action-centered model, Potter's analysis-centered model and Vanhoozer's worldview-centered model, synthesized all the strengths of each model, and finally modified and reorganized this new model to reflect demanders' needs. Newly developed demander-centered educational model is a kind of circulation model consisting of a chain of the steps: worldview and viewpoints, use(access), analysis and evaluation, reflection, and social act; Each step borrowed the essential contents of each domain of objectives and tried to reflect the specific situations for Korean demanders. The needs for media use etiquette against addiction and cyberbullying were applied to the step of 'worldview and viewpoint', the needs for the educational status of books as media to 'use(access)', and the reality of highly used digital media to 'social act.'

A Study of Software Education Model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창의적 문제 해결(CPS) 중심의 소프트웨어 교육 모형 연구)

  • Jin, Kwang-Hun;Lee, M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81-283
    • /
    • 2020
  • 본 연구는 2015년 교육과정에 명시된 정보교과의 운영방침과 중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통한 소프트웨어 교육 모형을 제안한다. 창의적 문제 해결력은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통해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사고를 키울 수 있는 모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사고력을 가진 창의·융합 인재 육성이라는 소프트웨어의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존의 CPS모형과 CT의 요소간의 유사점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CPS-SW 모형을 제안한다. CPS-SW 모형으로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육성을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CPS-SW 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키울 수 있는 학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Mode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온라인 정보 리터러시 교육모형 개발연구)

  • SangEun Cho;KyungMook 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41 no.2
    • /
    • pp.71-96
    • /
    • 2024
  •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 that limitations of implementing school-centric models and standards of information literacy constr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an instructional model to effectively design and practice onlin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a public library.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and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cases, a primary model was developed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area of information literacy, learning stages and activities, conceptual and procedural model,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expert survey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model.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synthesizing and converging the collected opin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nal model consisted of 7 areas: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Instruction component area', 'Conceptual model', 'Procedure model',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and 'Learning Steps and Activ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Plan'.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Curriculum of Foodservice Systems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Competency-Based Education Principles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의 개발)

  • Yoon,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10
    • /
    • pp.1-16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영양사를 위한 급식경영관리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4년제 식품영양학과에 적용 할 수 있는 능력중심교육 원칙(competency-based education)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각 분야의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longrightarrow$영양사 설문조사$\longrightarrow$4년제 대학 식품영양학과 교과과정 검토$\longrightarrow$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 개발 등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급식경영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한국영양사에게 필요한 47개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을 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양사 설문조사 (응답자수: 484, 회수율: 65%)에서는 위 수행능력의 중요도와 교육정도에 대한 영양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급식경영관리 수행능력이 현재와 미래의 영양사 업무수행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육은 불충분하다고 대답하였다. 교육 불충분의 이유로는 급식경영관리 분야의 과목 부족, 실무위주 교육의 부족 등을 지적하였다. 교과과정 검토 결과 61개 과목 중 8과목(13%)만이 급식경영관리와 관련된 과목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설문조사 결과와 교과과정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능력중심교육 원칙을 응용한 급식경영관리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모형은 급식경영관리 전문 교육가에 의해 실행 전 평가 및 검토를 거쳤으며, 내용구성, 적용성, 형식 분야의 평가 결과 모든 분야에서 5.0 만점의 평균 4.6점을 획득하여 한국 영양사의 효과적인 급식경영관리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 Application and Analysis of the AND Tree-Type Teaching-Learning Model to Enhance the Thinking Ability of Information-Gifted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방안 및 분석)

  • Jung, Deok-Gil;Kim, Byung-Joe;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87-490
    • /
    • 2008
  •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관한 많은 관심과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정보영재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정보영재 교육에서 중요성이 증대되는 사고력 신장 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으로서 AND 트리에 기반을 둔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AND 트리형 교수-학습 모형을 정보영재의 현장 지도에 도입하기 위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며,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이 논문은 사고력 신장을 위한 정보영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영재 교육의 현장에 사용할 수 있는 실제적이고 유효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공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효과적인 알고리즘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 Han, Oak-Young;Kim, Jae-Hyo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2
    • /
    • pp.13-22
    • /
    • 2011
  • The importance of algorithm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Especially,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related with mathematics and science are under development to enhance logical thinking.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teaching-learning models applicabl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odel reflects two characteristics : an algorithm learning process is spiral, and algorithm education is based on logical thinking.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 result was a mixed teaching-learning model with PBL, SDL, and peer tutoring. Based on the proposed model, examples of classe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are suggested to show the feasibility of effective algorithm education.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Thinking Extension of Information-Gifted by Models (정보영재의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모형별 결과 비교 분석)

  • Deok-Gil Jung;Byung-Joe Kim;Young-Uhg L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62-1165
    • /
    • 2008
  • 이 논문은 정보영재 교육 중에서 프로그래밍을 위한 사고력 신장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구현을 위하여 실제적인 예를 보여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 논문은 트리와 트리 탐색을 이용한 사고력 신장 교육 프로그램으로 4단계로 구성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으며, 구성되는 트리의 유형과 탐색 방법에 따라 세 가지 모형으로 세분화된다. 이 모델을 통하여 학생들은 문제를 트리로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하게 되며, 트리로 구성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의 트리 모형에 따른 적절한 트리 탐색 방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이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여 각 모형별로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