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과정 개발 접근방법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 Lee, Jaewon;Ryu, Goeun;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2 no.5
    • /
    • pp.386-397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CK components in the chemistry units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books developed under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components of topic-specific strategies, vertical articulation, and lesson objectives were systematically handled in most teacher's guidebooks. However, subject-specific strategies, assessment methods, and curricular changes were mainly dealt with only in the general guidelines. Experiments and inquiries, assessment questions, and assessment dimensions were lack of constructivist approaches in the aspect of presented contents or forms. Horizontal articulation and knowledge of students were either lacked in relevant content or presented in the form of simple presentation. Concepts and theori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teachers' guidebooks, but some of them were beyond appropriate level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er's guidebooks are discussed.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for Systematic "Programming" by Realization of the Mathematical Program (수학 프로그램 구현을 통한 체계적 '프로그래밍' 교수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박광철;김종훈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1
    • /
    • pp.1407-1420
    • /
    • 2001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about computer education with the age of knowledge-based society. The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is taking an important role of computer education. However, the special emphasis in learning programming language has been attached to memorizing the programming language by rote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s. Therefore, those were not much useful tools to develope a logical intelligence of the meanings of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methods of realization.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improve the programming education efficiently because of the objects of knowledge of computing and raising an efficiency of problem solving. Under th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is aimed at representing an useful education model through developing a mathmatical program into each part of the C programming language, which would be a new supplier of an basic insight into the programming language and technique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research material will be an useful model to increase interests and concerns as well as to raise an efficiency of problem solving or a logical intelligence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studying programming language.

  • PDF

Study of Effect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Learning in Middle-School with Play Activities Material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놀이 활동 교육 자료를 활용한 중학교 정보 표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Nam, Dong-Soo;Park, Jin-Hwa;Seo, Soon-Shik;Lee, Tae-Wu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2
    • /
    • pp.157-165
    • /
    • 2011
  • A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were reinforced the rules of computer scienc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new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various education materials that encourage students and easy to access. So, in this study developed a wide ran of play activit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without using a computer for the area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applied to 68 students,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for 4 weeks. After the class, the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was verified by the t-test.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arning with play activities materials and the traditional lecture-type. It means that learning with play activities materials in the information representation influences a positive effect to the learning achievement.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 Based on Nuri Curriculum (누리교육과정 기반 인공지능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 Pyun, Youngshin;Han, Jungso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5
    • /
    • pp.71-76
    • /
    • 2022
  •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and the COVID-19 pandemic caused a great change in the education, eventually requi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cluding kindergartens, to implement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However, since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is conducted in the form of results-oriented and special activities, the need for research on what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is and how to apply it to the Nuri curriculum has been raised.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d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dentified the contents of AI education, and organized and operated it in the Nuri curriculum. As a results, AI education for children should be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digital capabilitie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and computers, the Internet, and programs were extracted as sub-elements of child AI education contents. Two approaches were proposed to incorporate this into the Nuri curriculum. The first is to set each of the three AI education contents as a life theme, select sub-factors accordingly, and plan and implement activities suitable for each sub-factors. The second is to develop and operate AI education contents at the level of sub-educational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life theme of the existing Nuri curriculum.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be organized in the Nuri curriculum to realize the true meaning of early childhood AI education, and more research on AI play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fiv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A study on the process of thinking of development of text model (디자인 학습의 프로세스적 접근을 위한 TEXT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사고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주;류성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no.16
    • /
    • pp.113-122
    • /
    • 1996
  • ilesi gn is on process. j)esign is not a result, but a process, It requires organizatiun ui design process to ubtain the most efiectivc design. The urganizatiun of design process means to understand the inner ur outer problems. to cr-eate r-esonable process, and to hale ability of problem soiving, In this paper, we suggest lhal student need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i 'discovering \ulcornerrOCeflB'. not 'd iscovered process'. _\ nd we also SUi(\{est text model of instructor with respeCl to the basic concept of creative ability and den]opmcnt of imagination ahality.

  • PDF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The Effect of Web-Based Virtual Reality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ers'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웹 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Kwak, Won-Kyu;Kim, Hong-Ra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75-484
    • /
    • 2004
  • 공간 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의 향상은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표현하고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고 실생활과 직업에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대상과 다른 구체적 자료를 사용한 조사, 실험, 탐구를 통하여 여러 위치에서 도형을 시각화하고, 그려보고, 비교하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공간능력 및 공간 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으로 구체적 조작물과 학습지 사용을 병행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 기하는 공간적인 경험을 현실 상황이나 구체물 조작을 통하여 형성된 공간직관을 수학화하도록 하여야 하나, 실제 현장에서는 학교여건 등의 여러 실정으로 조작 자료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3차원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 시각화 학습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 어떤 방향이든 상관없이 가상의 공간에서 물체를 옮기거나 회전시킬 수 있으며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들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런 요구에 의해 아동과의 상호 작용성과 접근성을 향상시킨 웹기반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 분석을 통해 웹 기반 가상현실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가능성을 진단해 보고자 한다.

  • PDF

Instructor's Experience on Simulation Education of EMT Students (응급구조학과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강사들의 경험)

  • Baek, Mi-Ly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7
    • /
    • pp.210-218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structor's experience on simulatio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nine instructors in simulation education of EMT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s and in-depth interview from participants. It was analyzed by phenomenological method, using Colaizz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a follows. From the protocol, significant statements were organized into formulated meanings. The formulated meanings were identified 28 themes, 9 theme clusters, and 4 categories. The 4 categories were as follows; discomfort of forming the learning environment; burden of instructor's role; difficulty from insufficient education condition; possibility of new educ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of simulation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the simulation technology, using the pre-programmed scenarios, having technical support from specialist or additional operator, and adjusting the current paramedic curriculum.

Explor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Analyzing Cases of Foreign Engineering Education (해외 공학교육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 Kwon, Sung-Ho;Shin, Dong-Wook;Kang, Kyung-Hee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3
    • /
    • pp.12-2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hrough analyzing cases of foreign engineering education. With the analysis criteria composed of engineering education mode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evaluation strategy, and technology supporting strategy, 10 foreign colleges of engineering in 5 countr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deduced from analysis state as follows. First of all, it need to develop engineering education models that reform should be made in systemat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orkplaces and laboratories, evaluation, technology support, etc. Secondly, the strategy for teaching and learning recommends supporting student directed learning,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learning by inductive learn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 based learning, inquiry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studio based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Thirdly, the evaluation strategy suggests that evaluation should be made to reflect students' learning and facilitate continuous learning based current learning results while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whole evaluation system. Finally, it is the educational technology approach for systematic engineering education that is required considering that many foreign colleges of engineering have reformed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supporting systems and are maximiz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other univers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preliminary data in developing furthe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strategies for nurturing engineering students.

Contents Construction of Learning a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 Life in Seoul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사회과 탐구: 서울의 생활"을 중심으로-)

  • Yoon, Ok-K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2
    • /
    • pp.220-233
    • /
    • 2007
  • In the context of region reconceptualized as a learning framework, using the Seoul region as an example, this paper focused on the debate and the condition of reg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It means that regionalization of curriculum is the decentralization of power to develop and manage curriculum In that case, region is understood to he a resource used to connect the subject matter to children's experience, Furthermore, region is interpreted as Heimat, community and world around, Heimat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loved and belonged to, Community is the resource for learning and the space of communication, participation and action, World around is the typical example to be searched, compared and explained by the concept and theory. On the base of the regionalization debate and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a region, I analysed the local textbook, Social Studies Inquiry: Life in Seoul and suggested the framework of learning a region. In this paper, I tried to pick out the spatial demension of Seoul. It is classified into the space of experience, participation and inquiry, In conclusion, the region-specific materials and approach laying stress on the issue and topic in the geographical context of the region will determine that a proper regionalization occurs through not only methods hut also cont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