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자료지원시스템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온라인 강의에 대한 효과적인 복습을 지원하는 메모 시스템 (Memo System to support efficient Review for Online Lectures)

  • 문창희;조대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69-570
    • /
    • 2021
  • 온라인 교육은 컴퓨터 테크놀로지 발달과 웹 기반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 잡으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꾸준히 성장해 오고 있다.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초, 중, 고등학교를 비롯하여 대학교는 2020년 3월 역사상 처음으로 개강을 비대면 온라인 상황으로 맞이하게 되었다. 온라인 강의 시청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영상에 대한 필기 양도 많아지고 있다. 온라인 강의는 대부분 시각적 자료와 함께 교수자의 설명이 더해진다. 시각자료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과 교수자의 말로 설명이 되는 부분에 대해 필기를 할 때 시각 자료를 그려 필기하거나 영상의 어느 부분에 해당 내용이 나오는지 시간을 같이 메모해서 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을 시청하며 구간에 메모를 저장, 표시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학습자가 영상에 직접 메모를 표시하여 맞춤형 학습에 따른 복습 효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도록 한다.

  • PDF

XML을 이용한 웹기반 학습지도안 활용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Application System of Web-Based leaching Plans using XML)

  • 엄윤주;김학경;김진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700-702
    • /
    • 2002
  • 학습지도안은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구체적인 수업 진행 계획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지도안을 위한 시스템으로 학교현장에 보급된 '교무업무지원 시스템'의 '교수-학습' 메뉴와 웹을 통한HTML 형식과 파일 형식의 학습지도안 공유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교무업무지원 시스템은 데이터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없으며 공유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HTML 형식과 파일을 공유하는 방법은 다른 형태의 문서로 재사용하기 어렵고 유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와 프리젠테이션을 분리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사용을 높이고 하나의 데이터 소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프리젠테이션을 가진 수 있는 XML을 이용한 웹기반의 학습지도안 활용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로써 XML을 이용한 학습지도안 문서의 한 번의 입력 작업으로 데이터의 변통 없이 XML의 적용만으로도, 교사와 학생의 요구에 맞는 여러 형태의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 PDF

성취기준 통합 데이터 모델을 통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an Achievement Evaluation Support System Us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Integrated Data Model)

  • 정현숙;김정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5-125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성취평가제의 적용과 확산으로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 평가에서 있어서 경쟁적인 상대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각각의 평가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학업 성취를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설계와 수행 및 평가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성취수준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료, 수업설계 자료, 학습내용 자료, 평가설계 자료, 평가결과분석 자료 및 피드백 자료들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기반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한 통합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대쉬보드 웹페이지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학생평가지원포털과의 검색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퀄리티를 평가하였다.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 탐색 (A Research on PBL Implementation Strategy of Faculty Members Selected as a PBL Best Practicer)

  • 금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63-1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에서 PBL 수업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B대학에서 2017년 1학기, 2학기, 2018년 1학기동안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 6명이 작성한 수업결과 보고서와 사례발표회 발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운영 전략 관련 내용을 귀납적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 우수 사례자로 선정된 교수들은 수업운영 시 교실문화, 학습촉진, 평가의 3개 영역과 관련하여 13개의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이 규명되었다. 향후 필요한 연구와 지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과 일반교수들의 운영전략에 관한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조직 차원에서 PBL을 우수하게 운영하는 교수들의 수업운영 전략을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지원되어야 한다.

상호작용적 웹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 박선주;김철;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83-188
    • /
    • 1998
  • 웹은 여러 사람들이 상호작용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 학습방법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웹상에 존재하는 교육자료들은 상호작용을 충분하게 지원하지 못하며, 학습자의 수준별로 융통성 있게 학습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웹을 활용하여 학습할 때 방향감을 상실하지 않고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상호작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에이전트 기술을 사용하여 웹활용교육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Digital Literacy)

  • 이철승;백혜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351-356
    • /
    • 2022
  •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디지털 혁명 위에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해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은 디지털 문제 해결력 확대를 통한 개선이 필요하다. 교수 학습 방법 개선안은 쌍방향 플랫폼 구축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협업·공유를 바탕으로 연계 및 융합형 교육모델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안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모델을 쉽게 설계할 수 있는 교육환경 개선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연결된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한, 소통과 협업 기반의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했음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 학부모를 위한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 설계 (Learning Contents Recommendation System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y)

  • 강윤희;강명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0-352
    • /
    • 2016
  • 국내외적으로 스마트러닝은 자기주도형 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모델을 통해 기존 학습과 비교하여 높은 학습 성과를 있다. 그러나 다문화 가정 학부모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성과 자료 활용 능력이 일반국민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정보격차로 인해 기존의 교육 콘텐츠의 효과적 활용은 제약점을 갖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지능형 맞춤 교수학습 지원체제의 주요한 요구사항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다문화가정 맞춤형 학습콘텐츠 추천 시스템의 설계를 기술한다.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Perception by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eaching & Learning Support System of the school of Rural Areas in Korea)

  • 오동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83-204
    • /
    • 2012
  • 이 연구는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의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원학교 110개교의 교사와 학생들로 학교별로 5명의 교사와 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2일부터 2011년 12월 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초, 중학생 1280명과 교사 188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았다. 전원학교의 프로그램 중에서 '전자칠판과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이러닝' 을 가장 선호하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태블릿 PC와 FASTEL 시스템의 활용이 '매일'이나 '주3-4회'가 40%이하로 활용도가 매우 낮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생님들이 자주 FASTEL을 활용하는 것을 90%이상의 학생들이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은 FASTEL시스템을 선생님들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바라고 있으며 무선으로 사용하는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 수업에 흥미 있고 효과적이며 편리하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전원학교 이러닝 교실과 FASTEL 시스템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는 학생들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았다. 전원학교 프로그램 선호도에서 교사들은 '다양한 방과후 학교' 를 '태블릿 PC를 사용하는 첨단 이러닝' 보다 더 선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FASTEL 시스템이 학생들의 학습에 효과적인가에 대해서는 73.8%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FASTEL 시스템의 활용도에 있어서 학생들은 '매일'이나 '주3-4회'가 35%내외인 반면에서 교사들은 60%내외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활용을 높여 학생들의 인식과의 격차를 줄여야 할 것이다. 태블릿 PC를 잘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느리고 태블릿 PC 사용이 불편함을 선택하였다. 그럼에도 이러닝교실의 인프라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다. 넷째, 교사들은 FASTEL 시스템이 타 이러닝시스템보다 학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특징에 대하여 인식(41.7%)하고 있으나 무선인터넷 기반(23%)과 편리한 수업도구(16%)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FASTEL 시스템 사용에 가장 불편한 것으로 이러닝 교실의 무선 인터넷 끊김 현상과 콘텐츠 부족 순으로 들었다. 따라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 무선인터넷 속도의 개선과 다양한 콘텐츠 추가 지원, 편리한 수업도구 추가지원 순으로 선택하였다.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 가상학습커뮤니티 구축 (The Development of a Project-Based Cyber Learning Community for Teacher Education)

  • 조미헌;이옥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43-254
    • /
    • 2005
  • 지식정보사회의 변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대중화에 따른 교육의 개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그 요구에 부응하고자 최근 가상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가상교육은 '정보 전달 모델'을 지양하고, '지식 구성 모델'을 채택해야 한다. 이에 가상교육 환경에서 학습자가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을 재구성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프로젝트기반학습' 방법의 도입과 더불어서 '가상학습커뮤니티'의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에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기반학습 방법의 활용 방안과 가상학습커뮤니티의 구성 및 운영 방안을 체계화하고, 실제 운영이 가능한 프로젝트 기반 가상학습커뮤니티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스템은 5가지 큰 메뉴와 세부 메뉴로 이루어지는데, Home(커뮤니티운영취지, 알림방, 프로젝트목록, 요구함), 프로젝트학습센터(학습활동 준비실, 모둠학습실, 발표회장), 만남의 광장(모둠별 멘터링 신청, 생각 나눔터, 전문가와의 만남, 설문조사참여, 포럼참여, 작품전시회), 자료창고(프로젝트학습사례, 프로젝트학습자료, 교사교육자료, 기타자료), 관리기능(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사례, 아이디어뱅크, 파트너찾기, 교수자대화방, 자료나누기, 경험나누기, 설문조사관리, 포럼관리) 등으로 구성된다.

  • PDF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안드로이드기반 협동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based Cooperative Learning System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 이명숙;손유익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71-79
    • /
    • 2011
  • 본 논문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한 협동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앱을 스마트폰에 설치함으로써 사이트에 접속할 필요 없이 사용자가 글을 올리면 즉시 볼 수 있고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할수 있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이다. 개발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과제해결을 위해 실시간 소통의 매개체로 사용하였으며, 실시간 상호작용과 피드백으로 인한 학업성취도와 학습 흥미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자가 학습자의 수준을 세밀하게 파악하여 학습자에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