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양성대학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3초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Study on Reorganization of French Teacher Training System: Focusing on ESPE)

  • 이화도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161-184
    • /
    • 2017
  • 본 연구는 프랑스 교육개혁의 흐름에 따라 2013년에 도입된 ESPE를 중심으로, 프랑스 교원정책의 개편의 방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교원양성제도의 주요변화과정을 살펴보면, 최근 25년간 3차례에 걸쳐 개편이 진행되었는데, 1991년에 도입된 IUFM에서부터, 2009년를 거쳐, 2013년에 새로운 교원양성기관인 ESPE가 도입되어 시행중이다. ESPE는 교사양성(유치원에서 대학까지)뿐 아니라 교육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독립적 전문교원양성교육기관으로, 이전 제도의 장점은 최대한 살려 모두 계승하고, 단점은 보완하고자 한 점에서 ESPE에 대한 이해는 프랑스 교원정책의 개혁의 방향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결과 프랑스 교원정책의 최근 25년간 주요개편방향을 살펴보면, 첫째, 교원양성교육을 석사학위과정과 연계하여 연구하는 교사로서의 위상을 강화한 점이다. 둘째, 교원양성교육에서 이론교육과 현장실습교육의 균형을 추구한 점이다. 셋째, 교원양성교육의 자격기준이 다양해지고, 석사학위에서 학사학위로 하향화 한 점이다. 넷째, 교원양성교육과 교원임용시험 및 교직석사학위취득, 교사자격증 취득은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 교원양성교육이 교사뿐 아니라 교육전문가 양성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프랑스 교원정책은 연구하는 교사로서의 위상정립과 교원의 질적 향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을 높여가겠다는 개혁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 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1호
    • /
    • pp.23-39
    • /
    • 2013
  •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 PDF

캐나다 교원양성체제의 특징과 시사점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 Canada)

  • 김라나;신태진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21-46
    • /
    • 2018
  • 본 연구는 캐나다 교원양성체제와 전문성 자격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캐나다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보수체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교원양성체제에 주는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캐나다 교원양성체제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교원양성과정에서 습득하는 내용과 이론들이 예비교사들이 실제 실습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장적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둘째, 교원전문성 자격기준은 세부적이고, 체계적이기 보다는 총체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캐나다 교원양성체제의 특징은 현재 한국 교원양성체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들의 현장적합성을 높이고, 변화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지닌 교사들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원양성 대학 내 담당 교수진들, 지역사회 담당자들, 그리고 실습학교의 지도교사와 담당자들 간에 지속적인 긴밀한 관계구축이 필요하다. 서로 간 피드백을 통하여 교원 수급 조절, 변화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궁극적으로 교원양성 대학 내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실제와 이론 간의 거리를 좁힐 수 있다. 둘째, 교원전문성이 호봉제에 직접 반영될 수 있는 보수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근무 연수에 기초한 단일 호봉제가 아니라 교사 개개인들이 자기계발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위 또는 다양한 과목 이수들이 보수체계에 직접 반영되어야 한다. 이는 교사들의 다양성을 존중함과 동시에 사기진작 시키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결국, 학습자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Software Curriculum of Korean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chool)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23-732
    • /
    • 2017
  • 4차 산업시대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에 17시간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2019년부터 실시하기로 하였다. 초등학교에서는 모든 교사가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연수들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교육대학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11개 교육대학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과교육은 1.64시간이다. 또한 교육 내용도 컴퓨터 일반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교육과정에서 우리나라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예비 교원이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의 교과교육이 다른 교과와 비슷하게 5시간이상 실시하여야 하고, 교육 내용도 소프트웨어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예비교사를 위한 ICT 활용 교육과정 모형 (Model of ICT Utilization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이철현;신수범;유인환;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87-95
    • /
    • 2000
  • 현재까지의 컴퓨터교육은 주로 초 중등 학생의 정보소양 함양에 치중해 왔다. 이에 반해, 학교교육에서 핵심적 변수가 교원임에도 불구하고 교원의 정보통신기술함양 교육에는 소홀한 경향이 짙다. 또한 교원 양성대학에서 예비 교사들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려는 노력도 상대적으로 미약했던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현황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초 중등 컴퓨터교육에서 ICT 활용 교육의 위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국가수준에서 교원에게 요구되는 ICT, 교사 업무 영역별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lCT 활용 능력 및 교원양성대학 컴퓨터교육의 방향을 토대로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 PDF

교사 양성 대학에서의 해석학의 학습과 지도 (Learning and Teaching of Mathematical Analysis in Teachers College)

  • 이병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41-559
    • /
    • 2003
  • This paper considers learning and teaching of mathematical analysis in teachers college. It concentrates on showing a way how learning and teaching of mathematical analysis should be considered for mathematical teachers training. It is composed of five chapters including Chapter I as an introduction and Chapter Vasa concluding remarks. Chapter II deals with goal and contents of global mathematical analysis. The main Chapter, named Chapter III, demonstrates exhibition of contents, way of operations, and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real analysis. Chapter IV shows an example of learning and teaching of mathematical real analysis concerning to fixed points and approximate solutions.

  • PDF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이산수학 강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Program of Discrete Mathematic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이재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79-588
    • /
    • 2003
  • The main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pose programs of discrete mathematics for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of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goal, syllabus and contents of discrete mathematics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 followed by principles for teaching the subject.

  • PDF

중등교사 임용고사와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

  • 김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2권
    • /
    • pp.527-537
    • /
    • 2001
  • 중등교사 임용고사는 현실적으로 수요를 초과하는 다수의 교사 자격증 소지자 가운데에서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여 공립 중등학교에 임용하기 위한 공개 경쟁 시험제도이지만, 그 영향력은 중등교육의 발전과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서 결정적일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지대하다. 여기서는 “좋은 수학교사”의 양성과 선발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임용고사가 수학교육의 발전에 순기능적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을 위한 몇 가지 드러난 문제점들에 대하여 논의하고, 필연적으로 임용고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는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의 관계에서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는 방안과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