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의 지각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3초

국공립과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전문성 지원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 문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40-146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 내적 변인인 직무만족도와 환경 변인인 전문성 지원환경의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 I, G 지역의 보육교사 625명(국·공립 어린이집 교사 343명, 민간·가정 어린이집 교사 282명)이며, 연구도구로는 Ro가 제작한 TJSQ, Williams가 제작한 PLEI, Allen과 Meyer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1.0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이검증, Pearson 상관관계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가정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가 국·공립 어린이집의 보육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과 민간·가정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모두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지원환경이 낮다고 지각할수록 이직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전문성 지원환경은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전문성 지원환경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 향상을 꾀하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초등교사의 지각된 교사효능감, 학교장 지도성, 동료교사 태도 인식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 (The Relations of Teacher-Efficacy and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cros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82-4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자료 교사대상 설문지의 1.03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은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중간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의 세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교직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의 개별특성을 확인하기 보다는 교사 개인의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맞춤형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등학생들의 학교 외모규제에 대한 지각 및 태도 (Student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Regulations of High Schools)

  • 이정현;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7-60
    • /
    • 2008
  • 중고등학생들의 인권침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져가면서 많은 중고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외모규제에 대한 문제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고등학교에서의 외모규제에 대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를 조사하기 위한 데 있다. 서울시의 6개 남녀공학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sim}2$학년생 8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50개의 외모관련 항목들을 제시하고 각 항목들에 대한 규제 강도와 중요성에 대한 지각과 준수도를 질문하였다. 학생들의 강도 지각, 중요도 지각, 준수도에 따라 50개의 세부 규제 항목을 분류해 본 결과 규제의 강도가 높은 항목이라도 학생들의 중요도 인식이 높아야 준수도가 높았다. 규제의 강도가 낮게 지각된 항목들에 대해서도 학생들이 중요도를 지각하는 경우 자발적으로 준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외모규제에 대한 강도 지각, 중요도 지각, 준수도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강도 지각에는 성별, 학년, 성적과 관련이 있었고, 중요도 지각의 경우 성별, 지역, 용돈, 성적과 상관이 있었다. 준수도의 경우 성별, 지역, 학년, 용돈이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강도는 높게 중요도는 낮게 지각하는 데 비해 준수도는 높았고, 강북학생일수록, 용돈이 적을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규제 강도를 높게 지각하고 중요도를 낮게 지각하였으며 준수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교사들과 교육행정 종사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외모관련 항목들의 중요성을 잘 인식시키거나 학생들의 시각을 반영하는 방식으로 외모관련 규제를 바꾸어 나가는 것이 이러한 외모규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 일 것이다.

  • PDF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Intention to use Technology in Teaching Activities)

  • 주영주;정애경;최미란;이상회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221-22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TAM모형을 기반으로 TPACK, 테크노스트레스, 혁신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이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14년도 2학기에 공통교직과목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한 예비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TPACK은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TPACK, 테크노스트레스, 지각된 유용성은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혁신성과 지각된 용이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TPACK, 테크노스트레스, 지각된 유용성이 교수활동에서의 테크놀로지 수용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활동에서 테크놀로지 수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 안귀련;추나영;조송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76-484
    • /
    • 2010
  • 본 연구는 체육교사가 지각하는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중등학교 교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집락무선 표집을 이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8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역할갈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아동이 지각한 거부·제재 양육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reject on the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Social anxiety)

  • 김연수;김수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61-26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거부·제재 양육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의 공격성 및 사회불안과 어떤 직접적, 간접적 연계성을 보이는 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267명(남 117명, 여 150명)과 그 담임교사로 설정하였다. 거부·제재 양육과 사회불안은 아동의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공격성과 학교적응은 아동의 담임교사들의 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각 변인들이 학교적응과 지니는 직간접적인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거부·제재 양육은 공격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학교적응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거부·제재 양육은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이 지각한 거부·제재 양육은 아동 후기 학교 적응에 직접적으로 관여될 뿐 아니라 공격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교사와 유아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 및 관련변인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as Perceived by Teachers and Children and the Variables Affecting Such Relationships)

  • 천향숙;조은진
    • 아동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67-183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how factors such as the child's self-regulation and stress,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and stress affec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01 kindergarteners and 17 teachers. Most of the children (88%) and teachers (88%) perceived teacher-child closeness. On the other hand, 22% of children and 11% of teachers perceived teacher-child conflict. The child's self-regulation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loseness and conflict. The teacher's self-efficacy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loseness. It also affecte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onflict. The child's and teacher's stress affected both children'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child conflict.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implications for the classroom and future research.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elf-Efficacy and the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 민하영;조성자;문수백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25-3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were 257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The data were analyzed by Path Analysis, Multiple Regression(using SPSS 15.0 and Amos 6.0).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2) The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3) The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That result showed the social support was more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than the self-efficacy.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는 과학교육에 관한 초등교사의 교육 경험과 교육 준비도 및 요구도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s, Readiness, and Needs for Science Education That Addresses the Risks Po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 김진희;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23-537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는 과학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 경험과 교육 준비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의 교사가 과학교육에서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다루어 본 경험이 없었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위험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교사의 수가 모르는 교사의 수보다 더 많았다. 셋째, 위험지각, 위험평가, 위험관리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비교하면, 위험지각에 대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위험평가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다. 넷째, 대다수 교사가 위험에 대한 교육 및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었다. 다섯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를 가르치기 위한 교사의 현재 역량 수준은 정보 활용과 실천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확률 해석과 위험평가 방법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다수의 교사는 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기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실천 역량, 정보 활용, 의사 결정 역량 순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고 실천 역량, 정보 활용, 대중매체의 영향 평가 순으로 교육이 시급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학교 과학 수업에서 위험을 다루게 될 때 예상하는 어려움으로 관련 교육자료의 부족, 위험교육 관련 교수 이론에 대한 이해 부족, 과학 교과 내용 및 성취기준과의 관계 순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일곱째, 위험교육의 10가지 목표별 교육 요구도를 산출한 결과, 위험 특성의 영향 평가, 의사 결정 역량, 실천 역량, 위험평가 방법에 대한 평가가 초등교사가 우선하여 요구하는 항목이었다.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마이스터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on Career Maturity of Technical Meister School Students)

  • 신경일;김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420-431
    • /
    • 2016
  •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교사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 및 그 하위요인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P지역 소재 2개 마이스터고 3학년 남학생들로서 전원 기숙사생활을 하고 있었다. 측정도구는 사회적 지지는 김혜진(2006)이 수정 제작한 것이며, 진로성숙도는 이기학 (1997)이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검사지는 200부가 배부되었으며 최종분석에는 194부가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각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친구의 사회적 지지보다 높았으며 하위요인별로는 정보적, 평가적 지지는 교사가 더 많이 하고 정서적, 물질적 지지는 친구가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 중 진로결정성과 진로확신성, 진로성숙도 총점에는 친구의 정서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독립성에는 친구의 정보적 지지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진로상담 및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