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과개발

검색결과 2,532건 처리시간 0.028초

의사 결정 나무를 활용한 초등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Education Using Decision Tree)

  • 문현우;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7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1호
    • /
    • pp.227-228
    • /
    • 2023
  • 정부의 인공지능 국가전략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은 초등학교에서도 필수교육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소양을 습득하기 위해 타 교과와 융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고, 인공지능 발달에 대한 수학의 역할을 고려하여 수학 교과를 통해 인공지능의 이해를 기르는 것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와 인공지능 교과가 융합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의 도형 분류를 의사 결정 나무 모델을 활용하여 가르치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개념학습을 통한 인공지능 기초소양 함양뿐만 아니라 수학 교과의 이해 및 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 수요지향적 교과과정의 개발 (Development of Demand-Oriented Curriculum in the Computer-Software Field)

  • 노은하;박수희;장준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기술 요소와 대학사이의 불균형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정보통신부의 주도하에 개발된 산업체 수요지향적 교과과정 개발 과정과 그 결과를 다룬다. 컴퓨터-소프트웨어 분야를 소프트웨어 개발, 시스템 통합,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멀티미디어 및 게임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정보 기술 등의 다섯 가지 세부 전공 트랙으로 세분하였다. 각 트랙에 대해 네 개의 수요지향적 교과목을 포함한 교과과정을 개발하였고, 수요지향적 교과목들의 상세강의개요와 과목교안을 개발하였다. 한편 이렇게 개발한 결과물을 활용하여 다수의 대학에서 2004년부터 실제 강의가 이루어져왔다.

  • PDF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 박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91-206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를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하여 그룹 토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하여 초등 교사는 불필요와 필요하다는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에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 내용의 쉬운 수준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용이함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대해서는 수학 수업의 다양한 측면 고려, 수학 수업 실패의 누적, 학생에 대한 권위 유지, 사회 변화에 따른 수업 개선 요구, 학교 업무 수행의 영향,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영향, 동료 교사의 영향, 교사로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에서 교사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수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1963년부터 2021년까지 게재된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An analysis of the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63 to 2021)

  • 방정숙;오민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3호
    • /
    • pp.457-476
    • /
    • 2022
  • 수학 교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으로서의 수학 교과서는 우리나라 수업에서 특히 중요하게 활용된다. 그동안 수학 교과서 연구의 범위가 확장되고 그에 따른 연구가 많아지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서 연구의 전반적인 동향을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국내 수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수학 교과서와 관련된 41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분석 연구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다음으로 교과서 활용 연구, 교과서 개발 연구의 순서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중고등학교급보다 초등학교급에서 교과서 연구가 많았다. 교과서 분석 연구의 경우는 특정한 수학 개념을 교과서에 어떻게 제시하였는지 분석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고, 교과서 활용 연구의 경우는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적절성을 검토하거나 특정 코너나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사용실태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과서 개발 연구의 경우는 스토리텔링과 전자교과서와 같은 새로운 교과서 개발 방향과 예시를 다루는 논문이 많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국내 수학교육 맥락과 국외 수학 교과서 연구의 동향에 비추어 교과서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정보 교과 수업목표 분석 및 기준 개발 (Analysis and Standar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Informatics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 진영학;허민;정복문;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47-59
    • /
    • 2009
  • 초등학교 정보 교과서는 각 시 도 교육청과 민간 출판사에 의해 인정 교과서로 개발되며, 학교에서 선택하는 교과서에 따라 수업목표가 달라지기 때문에 인정 교과서의 수업목표를 분석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초등학교 정보 교과서들의 수업목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 교과의 수업목표 기준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수업목표 분석에 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였다. 둘째, 인정 정보 교과서들의 수업목표를 분석하였다. 셋째, 델파이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수업목표 기준을 개발하였다. 연구에서 제안된 수업목표 기준은 향후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의 지표로 참고될 수 있으며, 양질의 정보 교과서 제작과 정보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어 교과 지원을 위한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ICT Teaching-Learning Model for Supporting Subject of Korean)

  • 김영기;한선관;김수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331-339
    • /
    • 2003
  • 본 연구는 국어 교과를 지원하는 ICT활용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우선 국어 교과에서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모형 개발의 유형을 3가지 제안하고, 국어 교과에서 적용되는 교수 학습모형 및 ICT 활용유형 등의 문헌연구 및 교과분석을 통하여 ICT활용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교수 학습 모형을 중심으로 ICT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국어과 ICT 활용 교수 학습 모형은 다른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모형을 설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국어과 교수 학습에서 단순히 매체를 이용한 흥미유발의 수준에서만 ICT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단계에서 적절한 ICT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국어과 수업에 대한 전문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식기반 학사지원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박득;고일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9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21세기지식경영과 정보기술
    • /
    • pp.713-721
    • /
    • 1999
  • 최근 대학들은 학부제 시행에 따른 학생들의 교과목선택권이 확대됨으로써 수강신청시 학사진도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에 맞는 좀 더 바람직한 교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는데 체계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목표\ulcorner진로에 맞는 교과과정을 원활히 이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교과목선정에 대한 상담을 지원하는 지식기반 학사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보고자 한다. 개발될 학사지원시스템은 지도교수의 시간부담을 줄이고, 학생들에게는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강신청시 교과목 선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의 어메니티 교육내용 개발 (Development of Rural Amenity Contents for the Textbook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 김은자;류청산;강방훈;윤순덕;김상범;황정임;이상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09
  •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는 농촌어메니티를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교재로서 농촌어메니티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청소년의 올바른 농업 농촌 가치관 형성 및 국민적 공감대 확산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대상 교과서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 39종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1~5단계의 내용분석 척도를 설정하여(1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 2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수정이 필요한 내용, 3단계는 어메내티 개념이 포함되었는지 판단할 때 크게 문제가 없는 내용, 4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좋은 내용, 5단계는 어메니티 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교과서의 모델이 될 수 있는 내용) 판정하였다. 그 결과 1단계 어메니티 개념에 따라 반드시 수정이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여 교과내용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어메니티 관점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통한 교과서 구분을 하여 A, B, C 유형으로 나타내었다. A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20개 이상 나온 교과서, B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판정 1 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19개 나온 교과서, C유형은 내용분석의 결과 평정 1또는 2의 분석 내용이 10개 미만으로 나온 교과서를 의미한다. 교과내용 개발 결과 총 262건의 교과내용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문장 132개로 50.38%, 사진 105개 40.47%, 삽화 22개 8.35, 그래프 0.76%, 표 0.38%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총 262개 개발내용중에서 '사회자원의 시설'부분에 대한 관점 77개로, '사회자원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점 64개, '문화자원의 경관'에 대한 관점 50개 순으로 집계되었다. 그 다음은 '자연자원의 자연'에 대한 관점이 47개, 문화자원의 역사'에 대한 관점이 9개, '사회자원의 공동체 활동'에 대한 관점이 14개 순으로 나타났다. 자연적 자원 18.31%, 문화적 자원 22,52%, 사회적 자원 관점이 59.16%로 '사회적 자원 관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업계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농촌어메니티의 사회적 자원이 강조되어야 하며, 문화적 자원, 자연적 자원의 순서로 강조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즉 농촌어메니티개념의 확립을 이하여 현재 농업계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는 시설, 경제활동, 공동체활동 같은 '사회적 자원'을 보강하여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낸다.

  • PDF

디자인 교과과정에서의 데이터 문해력 교육에 관한 연구 -디자인-데이터 융합 교과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Data Literacy Education in Design Curriculum of Higher Education Focused on Development of Design-Data Convergence Curriculum)

  • 이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85-696
    • /
    • 2022
  • 본 연구는 향후 디자이너의 업무 역량에 매우 중대한 역할을 하게 될 데이터 문해력 확보를 위하여 디자인 대학 교과과정에서의 데이터 문해력 관련 교육목표와 교과 구성, 교육 내용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비전공자를 위한 데이터 문해력 교육의 사례들과 디자인 실무 현장의 데이터 기술 활용 현황을 살펴보았고, 현장 직무 중심 디자인 역량에 대한 선행 연구와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바탕으로 디자인 분야에서 요구되는 데이터 관련 전공 능력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NCS에 기반한 빅데이터 기획과 분석 분야의 교육 내용을 조사하여, 디자인 전공 능력에 필요한 데이터 기술 관련 교과 내용을 연계하여 디자이너를 위한 데이터 문해력 교육 모듈을 3단계의 디자인-데이터 융합 교과 모델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융합 교과 모델을 바탕으로 필요한 단위 교과목과 강의 계획, 과목 간 연계 구조를 개발하였으며, 초, 중급 수준의 디자인-데이터 융합 교과목을 운영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교육모델의 교육 내용과 교육 성과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교과 운영 사례 연구의 발견 점들을 바탕으로 디자이너를 위한 데이터 문해력 교육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고, 사례 연구의 한계를 명시하였다.

디지털교과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방법론 비교 분석: 선택기준, 사례연구 및 적용 시 문제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s for Electronic Textbooks: Criteria, Case Study and Challenges)

  • 이희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4호
    • /
    • pp.145-152
    • /
    • 2018
  • 디지털교과서는 기존의 종이 기반 교과서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나 대화식 시뮬레이션, 대화형 퀴즈 및 콘텐츠 공유와 같은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교과서다. 디지털교과서는 머지않은 장래에 전통적인 종이 기반 교과서를 점차적으로 대체 할 것이라 예상된다. 디지털교과서 개발 시 모바일에서 접속을 고려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경우 어떤 개발 방식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것은, 정보공유, 플랫폼 독립성, 성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해져야 한다. 네이티브, 웹, 하이브리드로 대표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식 중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고려해야할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HTML5는 웹 응용 프로그램에 비디오 클립, 플래시 무비 및 시뮬레이션 기반의 데모와 같은 풍부한 멀티미디어를 통합할 수 있게 해주는 새로운 웹표준이며, 여러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플랫폼 독립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디지털교과서에 사용될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3가지 개발법의 적합성을 조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또한, HTML5 및 JavaScript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이러한 장점을 지닌 HTML5가 디지털교과서개발에 사용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예: 웹 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