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회복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9초

초음파(超音波) 근관충진법(根管充眞法)의 폐쇄효과(閉鎖效果)에 관(關)한 분광광도계(分光光度界) 측정(測定)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N THE SEALING EFFECT OF ULTRASONIC OBTURATION OF THE ROOT CANAL)

  • 김양락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2호
    • /
    • pp.46-57
    • /
    • 1990
  • 초음파진동과 열을 이용하는 초음파 금관충전법의 근관페쇄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색소회복법(dye recovery method)에 기초한 분광광도계 측정법으로 근단공 누출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발거된 상하악 중절치 및 측절치에서 치관을 절제한 120개의 치근에 재래식 방법으로 근관형성을 하고 측방가압법, McSpadden 근관충전법 및 초음파 근관충전법으로 근관을 충전한 후 $37^{\circ}C$ 항온기내에서 2% methylene blue에 10일간 침지시킨 다음 색소용출을 위해 60% 질산에 용해시키고 색소회복법에 의한 분광광도계 측정을 시행한 후 검량선에 의한 누출량을 산출하여 통계학적으로 상호비교 하였다. 초음파 근관충전법의 색소침투량은 sealer 사용유무와는 관계없이 측방가압충전법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McSpadden 충전법은 측방가압법보다 색소 침투량이 더 많이 나타났다. 측방가압풍전법과 초음파 근관충전법에서는 sealer를 병용시 근관폐쇄효과는 양호하였으나, McSpadden 근관충전법에서는 sealer 사용유무에 따른 근관폐쇄효파는 별 차이가 없었다.

  • PDF

용수재이용을 위한 하수처리 유출수의 UV 소독 후 광회복 조사 (Photoreactivation Study of Wastewater Treatment Effluent Disinfected by UV-disinfection for Water Reuse)

  • 윤춘경;정광욱;함종화;전지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84-93
    • /
    • 2003
  • Photoreactivation of microorganism following UV-disinfection is one of the research topics of interest in assessing the UV-disinfection performance. Apparent photoreactivation was examined under fluorescent lamp and solar radiation as well as in darkness. Total coliform, fecal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were used as indicator microorganisms, and their concentration was monitored with time after UV-disinfection. Under the darkness, their initial concentration of 10∼30 MPN/100 mL increased to the level of 100 MPN/100 mL after 24 hours, which implied that part of damaged microorganisms by UV-disinfection might be repairable with time. Under the fluorescent lamp, photoreactivation was more apparent that their concentration increased up to 1,000 MPN/100 mL which might significantly impair the water uses specially in reuse of reclaimed wastewater. However, their concentration further decreased down to below 2 MPN/100 mL under the solar radiation primarily due to additional disinfection by solar radiation rather than photoreactivation. Samples not disinfected by UV-disinfection also demonstrated substantial decrease of their concentration under solar radiation from about 5,000 MPN/100 mL to less than 30 MPN/100 mL in 24 hours. But direct reuse of effluent without disinfection is not recommended because natural decay by solar radiation may take time and be affected by climatic conditions. The result suggests that photoreactiva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may not be concerned in agricultural reuse of reclaimed wastewater because solar radiation may provide further disinfection after UV-disinfection.

전해 염소수/자외선 결합 시스템을 이용한 병원성 미생물의 불활성화 키네틱스 평가 (Evaluation of inactivation kinetic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by free chlorine/UV hybrid disinfection system)

  • 서영석;김애린;조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9-388
    • /
    • 2019
  • Chlorination and UV illumination are being widely applied to inactivate a number of pathogenic microbials in the environment. Here, we evaluated the inactivation efficiency of individual and combined treatments of chlorination and UV under various aqueous conditions. UV dosage was required higher in waste water than in phosphate buffer to achieve the similar disinfecting efficiency. Free chlorine generated by electrolysis of waste water was abundant enough to inactivate microbials. Based on these, hybrid system composed of sequential treatment of electrolysis-mediated chlorination and UV treatment was developed under waste water conditions. Compared to individual treatments, hybrid system inactivated bacteria (i.e., E. coli and S. typhimurium) and viruses (i.e., MS-2 bacteriophage, rotavirus, and norovirus) more efficiently. The hybrid system also mitigated the photo re-pair of UV-driven DNA damages of target bacteria. The combined results suggested the hybrid system would achieve high inactivation efficiency and safety on various pathogenic microbials in wastewater.

Echinochloa colona 종자(種子)의 휴면(休眠)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BEHAVIOUR OF ECHINOCHLOA COLONA)

  • 전재철;키이쓰 무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18
    • /
    • 1987
  • E. colona 종자(種子)의 휴면성(休眠性) 및 광(光)과 발아관여기체(發芽關與氣體)에 대한 발아(發芽) 반응성(反應性)을 조사(調査)하였다. E. colona는 휴면상성(休眠賞醒)을 위해 후숙기간(後熟期間)을 요(要)하지 않하였다. 종피(種皮)를 통(通)한 수분(水分) 이동(移動)은 용이(容易)하였다. 수화(水和) 및 건조(乾燥)의 반복처리(反復處理)는 종자(種子)의 발아력(發芽力)을 감소(減少)시켰다. 24 시간(時間)의 종자(種子) 침윤(浸潤)으로 수분함량(水分含量)은 21%까지 증가(增加)되었으나, 실온(室溫)에서 13 시간(時間) 후(後)에는 원상태(原狀態)로 회복(回復)되었다. 종피(種皮)의 제거(除去)는 암조건하(暗條件下)에서 발아율(發芽率)을 현저히 증가(增加)시켰으며, 광(光)은 완전종자(完全種子)의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다. 일광도(日光度) 51.9$Wm^{-2}$ 이하(以下)의 조건하(條件下)에서의 발아(發芽)는 현저하게 감소(減少)되었다. 광조사(光照射) 1일(日) 1시간(時間) 처리(處理)는 1일(日) 2 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處理)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였다. 청색광(靑色光) 조사(照射) 종자(種子)는 적색광(赤色光) 조사(照射)에 비하여 발아(發芽)가 지연(遲延)되었으며, 발아율(發芽率)도 낮았다. 광존재하(光存在下)에 외생적(外生的)으로 처리(處理)한 에칠렌 및 탄산가스는 발아(發芽)를 촉진(促進)시켰으며, 이 두 기체(氣體)의 동시처리(同時處理)는 공력효과(共力效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암조건하(暗條件下)에서는 이 두 기체(氣體)의 작용력(作用力)이 나타나지 않하였다.

  • PDF

전면적차광과 부분차광이 콩 엽록소 형광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verall Shading and Partial Shading on the Response of Chlorophyll Fluorescence of Soybean)

  • 조유나;조은이;정재혁;윤창용;안규남;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63-168
    • /
    • 2021
  • 광은 식물 광합성에 반드시 요구되는 에너지이다. 차광의 종류를 전면차광과 부분차광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차광 조건에서 생육한 콩의 엽록소 형광을 관측하여 광합성능을 평가하였다. 전면차광에서는 SPAD값으로 대표되는 엽록소 농도와 광이용효율을 표현하는 ETR (Electron Transport Rate)이 크게 낮아졌다. 차광 박스 제거 후에 SPAD와 ETR 모두 대조구와 같은 정도가 되었으나, 열 소산 기작을 나타내는 NPQ (Non-Photochemical fluorescence Quenching)는 높아졌다. 이렇게 전면차광을 겪었던 콩의 광이용효율은 회복했지만, 높아진 NPQ가 광인산화 효율을 떨어뜨리므로 실제 노지 광합성량은 필연적으로 낮아질 것이다. 부분 차광에서도 SPAD와 ETR이 대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NPQ는 높은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도시 농업 또는 영농형 태양광과 같은 부분차광 조건의 광합 성량은 단순히 작물의 광이용효율과 누적 광 에너지량으로 계산한 추정값보다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Octadecyltrichlorosilane (OTS)을 사용한 WSe2의 농도조절이 가능한 P형 도핑 방법 (Contrallable P-type method for WSe2 using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 김진옥;강동호;박진홍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3.2-193.2
    • /
    • 2015
  • 최근 3차원 반도체의 물질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차원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TMD)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TMD 물질의 도핑 방법에 대한 수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n채널 물질인 MoS2에 대한 것에 국한되어 있다. 게다가 이전의 TMD 도핑 기술 연구 결과는 채널이 도체화 될 정도의 매우 높은 농도의 도핑 현상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WSe2로 만든 p형 채널 트랜지스터에서 Octaecyltrichlorosilane(OTS)층의 농도 조절로 제어가 가능한 약한 농도의 p형 도핑기술을 보여준다. 이 p형 도핑 현상은 OTS의 메틸기(-CH3)그룹에 의한 양성 쌍극자모멘트가 WSe2내의 전자 농도를 낮추는데서 기인한다. 제어가 가능한 p형 도핑은 $2.1{\times}10^{11}cm^{-2}$ 사이에서 $5.2{\times}10^{11}cm^{-2}$로 degenerate되지 않은 정도로 WSe2 기반의 광, 전기적인 소자에서 적절한 농도로 최적화 될 수 있다. (도핑 정도에 따른 문턱전압 상승, 전류 on/off율 상승, 전계효과 이동도 상승, 광응답성 하락, 광검출성 하락) 또한 OTS에서 비롯한 p도핑 효과는 대기중에서 오랜시간이 지나도 작은 성능 변화만을 보여주며(60시간 후 18~34% 문턱전압 감소변화량) $120^{\circ}C$의 열처리를 통하여 저하된 성능이 거의 완벽하게 회복된다. 이 연구는 Raman 분광법과 전기적, 광학적 측정을 통하여 분석되었으며 OTS 도핑현상이 WSe2 박막의 두께와 무관함 또한 확인했다.

  • PDF

단일치 임플란트에서 고정체와 지대주 직경의 차이에 따른 광탄성 응력 분석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f Single Implant Restoration According to Implant Fixture Size and Abutment Diameter)

  • 이진한;조혜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3호
    • /
    • pp.253-267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고정체와 지대주간의 직경 차이가 임플란트 지지조직에 발생하는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세 가지 직경(4.0, 5.0, 6.0㎜)의 3i 임플란트 고정체에 지대주의 직경을 달리하여 수복하고, 하중 조건(15, 30 lb)에 따라 임플란트 지지조직에 발생한 응력의 정도와 분포를 광탄성 응력 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정체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상부 보철물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고정체 변연부의 응력집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부 보철물의 근원심 폭경을 증가시키는 것이나, 임플란트 고정체의 직경에 비해 작은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은 고정체 주위의 응력양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자생 갯까치 수영(Lysimachia mauritiana)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저장기간, 광, 온도 및 Priming 처리의 영향 (Effect of Preservation Period, Light, Temperature, and Priming on the Seed Germination of Lysimachia mauritiana)

  • 안영희;설종호;조근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3
    • /
    • 1998
  • 조경용 소재로 그 관상 가치가 뛰어난 자생 갯까치수영의 종자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발아력이 감소하며 그로 인한 보금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실험에서는 우선 갯까치수영의 적정발아조건을 구명하고 프라이밍처리에 따른 발아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광과 온도에 따른 종자발아율을 알아본 결과 25$\circ $C의 온도조건과 광조건이 발아에 적정환경으로 이때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각각 96.9%와 3.5일이었다. 20$\circ $C의 온도조건에서도 9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발아속도가 6.3일로 현저히 길어졌다. 저장기간이 길어졌을 때(300일) 75%까지 떨어졌던 종자의 발아율은 NaCl용액과 KNO$_{3}$ + K$_{3}$H$_{2}$PO 혼합용액을 프라이밍 처리한 결과 모든 처리농도에서 90%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여러 농도의 priming처리 후 발아속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처리농도가 각각 0.1M에서 0.5M로 높아질수록 발아속도가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알코올의존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에 대한 아침 광치료의 임상시도 (Open Clinical Trial of Morning Light Therapy in Sleep Disturbance of Alcohol Dependent Patients)

  • 고영훈;조숙행;전승규;김병규;권성민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2호
    • /
    • pp.196-204
    • /
    • 2003
  • 연구목적: 알코올의존 환자의 수면 장애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진정수면제 등의 약물은 교차 내성을 일으키고, 수면의 질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광치료는 일주기리듬장애, jet-lag, 순환제교대근무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노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치료중재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미 여러 질환의 수면장애에 시도되고 있던 광치료의 회복기 알코올의존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알코올 금단 증상을 보이지 않는 13명의 알코올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500Lux의 광상자로 하루에 오전 1시간 씩 3일에 걸쳐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총수면시간, 실제수면시간, 수면잠복기, 수면효율, 각성빈도 등을 수면기록지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주관적인 수면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오전 8시, 오후 2시, 오후 8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의 졸림 정도를 스탠포드졸림척도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불안, 우울 기분 및 피로감을 평가하였다. 수면상태를 반영하는 수행 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기초단계와 연구 4일째에 기호잇기검사(trail making test)A, B 및 기호바꿔쓰기검사(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각 측정값은 반복측정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행능력의 평가는 사전사후차이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수면기록지로 평가된 수면잠복기, 수면효율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초 단계에 비해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에 대한 만족도도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오후 2시에 평가된 졸림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오전 8시에는 광치료에 따라 졸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오후 8시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호잇기검사와 기호바꿔쓰기검사에서 환자들은 광치료 전후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피로감의 평가에서 오후 2시와 오후 8시에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피로감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우울기분과 불안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금단 증상에서 회복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알코올의존 환자들에 있어 비록 제한적이지만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 실제에서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수면장애에 단기간의 광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추후 보다 객관적인 수면 평가 도구를 이용한 장기간의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기적 회로절체 알고리즘에 의한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utput Enhancement Method of PV Array Using Electrical Circuit Reconfiguration Algorithm)

  • 김병목;이후동;태동현;노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9-17
    • /
    • 2020
  • 전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고갈위험과 환경오염에 대한 에너지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전체 발전량의 20[%]인 63.8[GW]까지 확대하기 위하여 정책 및 제도가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주변 고층 건물 및 나무 등에 의하여 태양광 어레이에 음영이 발생하면, 해당 어레이의 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영으로 인한 출력 손실을 개선하기 위하여, 음영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의 태양광모듈을 와이어와 스위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회로 구성을 변경하는 태양광 어레이의 출력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전력전자 회로해석 상용 프로그램인 PSIM S/W를 이용하여, 태양광 어레이, 와이어 및 절체스위치, 계통연계형 인버터로 구성된 태양광전원의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태양광전원의 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음영이 50%가 발생하면 기존에 방식에서는 출력이 발생하지 않지만 제안한 방식에서는 음영이 발생한 어레이와 발생하지 않은 어레이를 분리시켜, 전압을 246[V]로 회복시키고 지속적으로 출력을 유지할 수 있어, 태양광전원의 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