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지점

Search Result 1,8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ainfall Estimation by X-band Marine Radar (X밴드 선박용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추정)

  • Kim, Kwang-Ho;Kwon, Byung-Hyuk;Kim, Min-Seong;Kim, Park-Sa;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4
    • /
    • pp.695-704
    • /
    • 2018
  • The rainfall cases were identified by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s which were developed by using X - band marine radar. A digital signal converter was used to conver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rine radar into digital reflectivity information. The ground clutter signal was removed and the errors caused by beam attenuation and beam volume changes were corrected. The reflectivity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rain gauge rainfall. Quantitative rainfall was estimated by converting the radar signal into an cartesian coordinate system. When the rainfall was recorded more than $5mm\;hr^{-1}$ at three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e rain cell distribution on the marine radar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weather radar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Field Experiments and Analysis of Drift Characteristics of Small Vessels in the Coastal Region off Busan Port (부산항 연안해역에서의 소형선박 표류 거동특성 관측 및 분석)

  • Kang, Sin-Young;Lee, Mun-J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6 no.2
    • /
    • pp.221-226
    • /
    • 2002
  • To provide reliable data for drift prediction models,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coastal region off Busan port. Four different size of vessels(10, 30, 50, 90G/T ton) were deployed for the experiment. Among them G/T 50ton class vessel was equipped with instruments measuring the currents, winds, headings and trajectory data. In the rest of vessels only the position data were recorded for the purpose of target divergence study. The trajectories of each vessel were measured by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collected by APRS(Automatic Position Reporting System). The experiment was done in wind of 2~10m/s and current of 0.5~1.5m/s. The leeway was derived by subtracting surface current velocity from target drifting velocity. The leeway rate of G/T 50ton vessel was found to be about 3.6% and the computed leeway speed equation was $U_L$=0.042 W - 0.034. The processed leeway angle data were deflected by $-30^{\circ}$~$40^{\circ}$ from the direction of ship drift.

Water Quality Modeling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hinhae.Masan Bay (진해.마산만의 환경관리를 위한 수질모델링)

  • 조흥연;채장원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1 no.1
    • /
    • pp.41-49
    • /
    • 1999
  • The horizontal two-dimensional model which can predict the long-term water quality(WQ) change is setup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he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 measured the pollutants load at 22 streams and the WQ at 16 stations monthly and/or seasonally in Chinhae . Masan Bay. The pollutants release rate from the sediment was also measured to consider the regionally different sediment pollution level. From the model application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WQ concentrations in most of the regions adjacent to land and river inflow are considerably high, but rapidly decrease along the seaward direction. In Masan Bay, the particulate inflow-pollutants were substantially deposited and gradually contaminated the bottom sediment on account of the excessive pollutants load and flow stagnancy. Eutrophication in the effluent discharge region was also being slowly progressed by the inefficiently treated wastewater containing amount of Nand P constituents.

  • PDF

Offshore Wind Resource Assessment around Korean Peninsula by using QuikSCAT Satellite Data (QuikSCAT 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의 해상 풍력자원 평가)

  • Jang, Jea-Kyung;Yu, Byoung-Min;Ryu, Ki-Wahn;Lee, Jun-Sh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7 no.11
    • /
    • pp.1121-1130
    • /
    • 200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offshore wind resources, the measured data from the QuikSCAT satellite was analyzed from Jan 2000 to Dec 2008. QuikSCAT satellite is a specialized device for a microwave scatterometer that measures near-surface wind speed and direction under all weather and cloud conditions. Wind speed measured at 10 m above from the sea surface was extrapolated to the hub height by using the power law model. It has been found that the high wind energy prevailing in the south sea and the ea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limitation of seawater depth for piling the tower and archipelagic environment around the south sea, the west and the south-west sea are favorable to construct the large scale offshore wind farm, but it needs efficient blade considering relatively low wind speed. Wind map and monthly variation of wind speed and wind rose using wind energy density were investigated at the specified positions.

Flood Runoff Estimation for the Streamflow Stations in Namgang-Dam Watershed Considering Forest Runoff Characteristics (산림지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남강댐유역내 주요 하천관측지점에 대한 홍수유출량 추정)

  • Kim, Sung-Jae;Park, Tae-Yang;Jang, Min-Won;Kim,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2 no.6
    • /
    • pp.85-9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flood runoff for three guaged stations within Namgang-Dam watershed which are operated by KWATER. For a flood runoff simulation, HEC-HMS was applied and the simulated runoff was compared with observed from 2004 to 2008. The watershed area of Sancheong, Shinan, and Changchon were 693.6 $km^2$, 413.4 $km^2$, and 346.48 $km^2$, respectively. The average runoff ratio of observed runoff for three watersheds were 0.725, 0.418, and 0.586, respectively. The dominant land cover of three watersheds are forest with the value of 71.6 %, 73.1 %, and 82.0 %. Three different cases according to the potential maximum retention of forest areas for calculating the curve number were applied to decrease the error between the simulated and observed. The simulated peak runoff of case 3 which applied the 90 % of potential maximum retention of curve number which is equivalent to AMCI for all the AMCI, AMCII, and AMCIII conditions showed least root mean square error (RMSE). The case 1, which was suggested by previous study, showed high discrepancy between the simulated and observed. Since the forest area consists of more than 70 % for all three watersheds, the application of curve number for forest is critical to improve the estimation erro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stimate the more accurate curve number for forest area.

On Recent Variations in Solar Radiation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Summer (여름철 일 최고기온과 일사량의 최근 변동에 관하여)

  • Choi, Mi-Hee;Yun, Jin-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1 no.4
    • /
    • pp.185-191
    • /
    • 2009
  •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analyze variations of daily maximum temperature in the summer whereas many studies have analyzed warming trends in other seasons with respect to greenhouse gases or urban heat islands. We analyzed daily maximum temperature data for the summer season (June to August) at 18 locations in South Korea from 1983 to 2007. Compared to the climatic normal (from 1971 to 2000), an average increase of $0.1^{\circ}C$ was found for the summer daily maximum temperature along with an increase of $0.61MJ\;m^{-2}$ in daily solar radiation. Approximately 65% of the annual variations of the summer daily maximum temperature could be explained by the solar radiance alone. Higher atmospheric transmittance due to lower aerosol concentration (especially of sulfur dioxide) is believed to have caused the recent increase in solar irradiance.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the summer is expected to keep rising if the clean air activities are maintained in the future.

Flood Estimation Using Neuro-Fuzzy Technique (Neuro-Fuzzy 기법을 이용한 홍수예측)

  • Ji, Jung-Won;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8-132
    • /
    • 2012
  • 물은 생물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인류가 시작된 이래로 물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다. 최근 지구 온난화가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국지성 집중호우의 피해는 매우 심각하며, 이로 인해 치수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사용해 왔던 홍수 예 경보 과정은 특정 지점의 유출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강우-유출 모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물리적 모형의 경우 운영에 필요한 매개변수의 결정과정이 복잡하고, 매개변수 결정을 위해 많은 자료를 필요로 한다. 또한 그 매개변수의 결정과정은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어서 모형의 운영을 위한 전처리과정과 계산과정을 거치는 동안 발생한 오차가 누적되어 결과물 속에는 많은 오차가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홍수 예 경보 시스템의 문제점과 불확실성을 최대한 감소시키고 더 우수한 유출량 예측을 위해 neuro-fuzzy 추론 기법을 이용한 모형인 ANFIS(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를 사용하여 하천수위를 예측하였다. ANFIS는 신경회로망과 퍼지이론을 결합한 기법으로 신경회로망의 구조와 학습 능력을 이용하여 제어환경에서 획득한 입 출력 정보로부터 언어변수의 membership 함수와 제어규칙을 제어 대상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조종하는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ANFIS를 사용하여 탄천 하류에 위치한 대곡교의 수위를 예측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탄천 유역의 관측 강우자료와 수위 자료 중 강우강도와 지속시간, 강우 형태에 따라 7개의 강우사상을 선정하였다. 학습자료 및 보정자료의 변화에 따른 예측 오차를 비교하여 모형의 적용성과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적용결과 입력자료 구성의 경우 해당 시간의 강우량 및 수위자료와 10분 전 강우자료를 이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을 보였고, 학습자료의 경우 자료의 길이가 길고, 최대홍수량이 큰 경우 가장 우수한 예측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적용결과 가장 우수한 모형의 경우 30분 예측 첨두수위 오차는 0.32%, RMSE는 0.05m 이고 예측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오차가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the Water Resources on Baseflow River Basin in Middle Seogwi Watershed, Jeju Island (제주도 중서귀수역 기저유출유역의 수자원해석)

  • Kang, Myung-Su;Yang, Sung-Kee;Kim, Dong-Su;Jung, Woo-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0-930
    • /
    • 201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현상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또한 물 부족국가에 편재되어 있다. 더군다나 제주도는 최대 다우지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제주도 곳곳에서 물 부족 현상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제주도의 강우가 대부분 년 중 6월~9월에 집중되고, 그 기간 홍수유출 역시 경사가 급하고 15km 미만의 짧은 유로연장을 갖는 대부분의 하천의 특성상 홍수유출 지속시간이 단 시간에 불과하여 수자원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다만 일부하천의 경우 해안과 가까운 지점의 하상과 측벽에서 기저유출 성분인 용천수가 유출됨으로 1970년대부터 상수원으로 개발하여 일부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또한 정확한 용출량 산정이 어려워 수자원으로써의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의 기저유출로 발생되는 용천수의 용출량을 산정하여 용천수의 이용 및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척도를 제시함은 물론 제주 수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지하수의 함양, 배출, 순환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도 중서귀수역 주요 기저유출유역(강정천, 악근천)에 대하여 연구대상기간(2011.7~2011.12) 동안 하천의 유출량을 ADCP(Ac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SonTek사)와 전자기식 유속계(FLOW-MATE)를 이용하여 매월 2회 현장 계측을 실시하여 유출량 자료를 확보하였고, 일 단위의 모의가 가능한 유역단위의 준 분포형 장기 강우-유출 모델(continuous rainfall-runoff model)인 SWAT(Soil Water & Assessment Tool) 모델을 적용한 물수지 결과값과 비교 검정하여 제주도 기저유출 하천의 유출율 및 수문곡선의 특성을 분석하고 SWAT 모델을 통한 물수지 산정을 실시하였다. 중서귀수역의 기저유출 대상유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측자료와 세계적인 SWAT모델을 이용한 정밀 수자원 해석결과는 서귀포시의 주 식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대상유역의 물순환 및 물수지분석과 통합 수자원의 연구진행, 향후 기후변화에 대비한 효율적인 수자원의 이용 및 확보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Construction Disaster (강수특성과 건설 산업 재해와의 연관성 분석)

  • Jeon, Ha-Cheol;Kim, Gwang-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59-4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발생 특성과 강수특성 변화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대상기간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별 건설 산업현장에서의 사고발생 건수(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와 같은 시기 지역별 강수량 자료(기상청 지상관측지점)를 사용하여 강수량의 거동과 건설현장 사고발생 건수의 거동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건설현장 사고사례의 사고형태 중 부상자와 사망자 정보를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구분은 특별시, 광역시 및 도 단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간 강수량의 증가 추세와 유사하게 전체 건설현장 안전사고의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지역별로 강수량의 증감 거동과 유사한 사고발생의 빈도의 증감거동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평균 월강수량과 월별 건설 안전사고 발생건수는 0.8의 선형상관성을 가지며 지역별 분석에서는 섬지역인 제주도가 가장 높은 상관계수 0.9를 나타냈고, 서울특별시 0.7, 대구광역시 0.7, 광주광역시 0.7, 부산광역시 0.5, 인천광역시 0.5, 대전광역시 0.4의 상관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강수변화에 따른 지역, 계절, 월별 강수-건설재해 상관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장마철인 7~8월에는 봄철인 3월~5월에 비해 강수량의 증가뿐만 아니라 21.16%의 사고 발생건수 증가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의 강수특성 중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의 영향이 많았던 시기의 사고발생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 발생 시 산업현장의 재해 발생이 많이 있었던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그 이유로는 산업현장에 태풍의 영향으로 감전사고 발생률이 2배가량 증가하며, 구조물과 사면이 무너져 내리는 등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재해발생률이 더 증가하였다. 이처럼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특성 변화로 건설 산업현장은 사고의 위험에 더욱 노출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역적 특성 분석과 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 PDF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Conceptual Rainfall Runoff model and HEC-HMS in the Jeungpyeong catchment (증평유역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과 HEC-HMS모형 비교 평가)

  • Park, Ki-Soon;Lee, Hyo-Sang;Lee, Mo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7-977
    • /
    • 2012
  • 하천의 유량 측정은 대부분 홍수 예보지역, 댐 상류지역, 대하천 및 유역내 주요지점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나, 중소하천과 소유역에 대한 관측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로 인해 중소하천과 소유역 등 미계측 유역에 대한 유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대한 적합한 유량 산정방법의 검토를 위해 미호천의 소유역인 증평유역을 대상으로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3개의 토양저류모형과 3개의 유역유출모형의 조합)을 적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적용성 검토를 위해 국내 홍수량산정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HEC-HMS 모형으로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6개의 단기 홍수사상을 Monte Carlo 분석(Nash Sutcliffe Efficiency, NSE*)의 목적함수를 통하여 모형 매개변수의 검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두 모형의 단기 유출 모의 결과 검정에서 HEC-HMS는 목적함수값 0.06~1.44(NE S*)의 모형성능을 보여주었으며,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은 0.00~0.66(NES*)의 모형성능을 나타내었다.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과 HEC-HMS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를 통한 검증 결과 HEC-HMS는 0.25(NES*)의 목적함수 값을 나타내었고,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 0.14~0.83(NES*)의 목적함수 값을 나타내었다. 이 중 CWI-3PAR, CWI-2PMP, PDM-3PAR와 PDM-2PMP 모형이 0.16~0.26(NES*)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HEC-HMS 모형의 첨두유량 과소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를 통하여 CWI-3PAR, CWI-2PMP, PDM-3PAR와 PDM-2PMP 모형이 증평유역의 지역화를 위한 단기사상 강우유출모형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향후 연구유역을 확장하여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일반화된 결론을 얻을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