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수술

검색결과 1,480건 처리시간 0.021초

CAD기반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한 가상 수술 구현 (Knee Joint Replacement Virtual Surgery Based on CAD System)

  • 윤영수;박세형;이수홍;김래현;최귀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75-81
    • /
    • 2006
  • 슬관절 전치환술은 관절염이나 사고로 인해 일상적인 활동의 제약을 받는 환자의 슬관절을 인공 관절로 대체함으로써 본래의 기능을 복원하고자 하는 수술이다. 이 수술은 인공 관절의 위치 및 정렬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술이 잘못되는 경우 정렬 이상으로 인한 해리, 삽입물의 파손, 인공 슬관절 주위 골절, 슬개골 탈구, 굴곡 각도의 제한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의 인공 관절은 임상에 적용되는 다양한 인공 관절 중에서 적당한 형상의 관절을 선택하여 시술되고 있지만 환자의 골 형상에 정확히 일치하는 인공 관절 선택의 어려움 때문에 종종 시술 후 부작용이 발생한다든지 심지어는 재수술을 해야 될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은 Mechanical CAD 소프트웨어인 CATIA에서 제공하는 절단, Assembly, Analysis, Kinematic Simulation 기능 등을 이용하여 가상 수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슬관절 전치환술 과정을 그대로 재현하여 절단량과 절단각을 결정하고 환자의 골격 형상에 적합한 최적의 인공 관절을 실제 수술 전에 미리 선정할 수 있다. CAD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외과의들이 실제 수술 시에 시행착오법을 통해 인공 관절을 선택하는 과정을 줄이고 수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향후 ADAMS나 ANSYS와 연계하여 수술 후 동작이나 하중을 분석할 수 있으며, 수술 과정에 대한 교육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 시 발생한 심실성 빈맥 - 증례 보고 - (Ventricular Tachycardia during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 A Case Report -)

  • 조승현;이진웅;조남수;이용걸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84-84
    • /
    • 2008
  • 최근 견관절 질환의 상당수가 관절경 수술로 이루어지고 있다. 좌체위(beath chair position)를 이용한 관절경 수술은 시술 중 관헐적 방법으로의 전환이 용이하고 공간에 대한 orientation을 쉽게 잡을 수 있어 선호되고 있다. 또한 관절경 수술 시 시야 확보를 위해 epinephrine을 혼합한 세척액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관절경 수술 시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가스 색전증, 세척액에 사용하는 epinephrine에 의한 심실성 빈맥 등과 같은 치명적인 부작용이 가끔 보고되어 있다.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 도중 심실 빈맥의 발생은 매우 드문 경우이며 이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2주의 기간 동안 좌체위로 관절경하 견관절 수술을 하는 도중 갑작스럽게 발생한 심실 빈맥 2예를 경험하였기에 원인 및 치료 과정을 보고하고자 한다. 좌체위로 인한 뇌혈류 저하, 가스 색전증 등의 증세는 없었다. 관절경술 도중 세척액에 투입된 소량의 epinephrine이 동시에 체내로 급속히 유입되어 심실 빈맥이 왔으리라 추정하고 있으며,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 PDF

견관절의 관절경 삽입구 (Arthroscopic Portals of the Shoulder Joint)

  • 송현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1
    • /
    • 2012
  • 관절경 수술에 있어서 적절한 삽입구를 만드는 것은 수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작이며, 이후 수술의 진행 과정을 쉽고 원활하게 할 수 있느냐를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이다. 수술을 하고자 하는 견관절 내를 정확히 검사를 하고, 다음 삽입구를 만드는 데에도 영향을 미치며, 관절 내에서 기구를 조작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정상 구조물 및 병리 해부학적인 지식과 삽입구(portal)에 대한 이해가 관절경 수술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수적이다.

  • PDF

Bankart 병변과 SLAP 병변 수술 후 재활 (Rehabilitation after Bankart and SLAP Repair)

  • 김양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1
    • /
    • 2008
  • 견관절의 안정요소 중 정적 안정요소는 관절와 상완 연골 인대 복합체나 관절 일치성 등으로서 재활 과정 중 신장 운동에 관여하며, 회전근 개 근육과 각 관절 사이의 운동 조화 등으로 이루어진 동적 안정요소는 근력 강화 운동으로 재활이 이루어진다.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수술 후 재활은 복원된 조직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주위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고 관절 운동 범위를 향상하기 위해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부드러운 수동 관절 운동을 먼저 실시한다. 능동적 관절운동은 수술한 조직이 치유될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환자가 통증없이 독립적인 견관절 운동이 가능할 때 실시한다. 견갑와 상완 관절뿐만 아니라 견갑 흉곽 운동과 견갑골 부착 근육에 대한 재활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수술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끝으로 본문에 상술한 모든 재활 프로그램은 환자의 개개인의 특성에 맞춰 운동 내용과 시기를 조정하여 개별화해야 효과적인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 PDF

슬관절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심부 감염 (Postoperative Deep Infection after Arthroscopic Knee Surgery)

  • 김기용;하동준;심형남;서승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23
    • /
    • 2007
  • 목적: 슬관절의 외상 및 질환에 대한 관절경 수술 후 발생한 심부감염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2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을 시행 받은 총 894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심부 감염의 빈도를 조사하였으며 감염으로 확진된 환자군에 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894예의 슬관절 관절경 수술에서 7예의 심부 감염이 발생하여 0.9%의 발생율을 보였으며 419예의 절제와 봉합을 포함한 반월상 연골 수술에서 반월상 연골 봉합을 시행한 1예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1/419=0.2% 발생율). 십자인대 재건술 343예에서 6예의 감염 이 발생하였으며(6/343=2% 발생율) 전방 십자인대 단독 수술군에서 3예 (3/152), 후방 십자인대 단독 수술군에서 2예(2/70), 십자 인대에 부가하여 관절외 재건술을 시행한 25예의 환자 중에서 1예에서 감염이 발생하였다(1/26). 결론: 슬관절의 관절경 수술 후 감염 발생율은 비교적 낮았으나 이식물을 사용하여 관절강내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경우에서는 높게 발생 한 바 전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등의 수술시 이에 대한 주의를 요한다.

  • PDF

골 결손이 동반된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 술기 (Arthroscopic Technique of Bone Defect in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 고상훈;박기봉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102-108
    • /
    • 2009
  • 목적: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골 결손에 동반되면 관절경 하 재건술에서 실패 요인이 될 수 있다. 외상성으로 발생하는 견관절 불안정성의 치료에서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해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골 결손이 동반된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경 재건술의 수술 술기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최근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여 관절경적 수술방법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재발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전하방 관절와의 골 결손과 후외방 견관절 두의 골 결손에 대한 관절경 수술 방법에 대하여 논문 고찰과 저자의 방법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방 불안정성에서 발생하는 골 결손에는 관절와의 전하방 골 결손과 Hill-Sachs 병소가 있다. 이러한 골 결손은 현재까지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관절경적인 수술의 실패의 원인이다. 결론: 의미 있는 관절와의 골 결손과 상완골 두의 골 결손을 가진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하여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개방적 수술이라고 할 수 있으나, 관절경적인 접근법으로 개방적 수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주목되고 있다.

견관절 관절경 수술 후 기능 회복 치료법 (Various Regimens for the Functional Recovery after Arthroscopic Shoulder Surgery)

  • 오주한;윤지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03-116
    • /
    • 2020
  • 회전근 개 파열은 인구의 고령화 및 영상 진단의 발전 등으로 인해 그 빈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관절경적 봉합술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수술 결과 역시 관혈적 봉합술과 대등한 유합률을 보이고 있다. 관절경적 수술 자체가 최소 침습적 방법이므로 수술 후 통증 감소와 조기 기능 향상이라는 부가적인 이점을 가질 수 있지만 최근에는 견관절의 관절경 수술 후 환자의 기능 회복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견관절 관절경 수술 후 기능 회복 치료 방법들은 수술 후 시기별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단계별로 활발히 연구되고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각 시기별, 재활 단계별, 환자 개개인의 특성, 회전근개 파열의 정도 및 기저 질환에 따라 다양한 방법들이 많아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정상 견관절 상태로의 기능 회복을 위해 각 시기에 맞는 적합한 견관절의 기능 회복 방법에 대한 확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관절 골관절염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후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Elbow Osteoarthritis)

  • 전철홍;김정우;임재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53-60
    • /
    • 2009
  • 목적: 주관절의 골 관절염은 골극의 형성, 유리체 및 관절막 구축 등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관절 운동 장애나 운동 시 동통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관절경 시술이 발달함에 따라 진단과 치료에 관절경을 이용한 술식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어 저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한 술기와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 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3예 중 관절경을 이용해 수술을 시행한 18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6예에서 척골신경 이전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1.3개월, 평균 연령은 48.(22~66)세였다. 동통의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를 이용하여 수술 전 및 수술 후에 평가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Mayo Elbow Performance Score(MEPS)와 관절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VAS score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9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5),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신전 25(0~40)도에서 수술 후 8.5(0~20)도로, 수술 전 굴곡 101.7(80~140)도에서 수술 후 125.2(85~140)도로 신전 및 굴곡범위 모두 향상되었다(p<0.05). MEPS는 수술 전 평균 65.4(40~85)점에서 수술 후 평균 87.9(55~100)점으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다(p<0.05). 그러나 3예에서는 수술 전에 비해 운동범위의 감소 소견을 보였고, 1예에서는 수술 후 척골신경 증상을 호소하였다. 결론: 주관절 골 관절염의 치료에 있어 보존적 방법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관절경적 수술방법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수술 전 주관절 골 관절염의 정확한 병인을 알고 수술 수기를 습득 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