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Primary osteoarthritis on the elbow is the result of the growth of osteophytes and contracture of the capsule. It often causes disability on joint motion and pain while exercising. As arthroscopy has developed, the arthroscopic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elbow have recently become more generalized as well. Therefore, we like to report on arthroscopy for treating elbow arthritis and its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s 23 cases of elbow arthritis that were seen between 2005 June to 2007 June and these patients didn't response to conservative treatment. From this we excluded 18 cases that underwent arthroscopic surgery and among these 18 cases, 6 cases underwent ulnar nerve transfer. The average observation time was 21.3 months and the average age was 48.4 years (range: 22-66 years). The pre and post operative pain was evaluated with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functional evaluation was done with using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with the range of joint motion. Results: The VAS score at the last follow 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3.4 to 1.9 compare to the preoperative score. The range of joint motion was improved by 25 (0-40) to 8.5 (0-20) in extension and 101.7 (80-140) to 125.2 (85-140) in flexion (p<0.05). The MEPS alway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y showing an increase from 65.4 (40-85) to 87.9 (55-100). However, 3 cases showed a decreased range of motion after the operation. One case showed ulnar nerve symptoms after surgery. Conclusion: An arthroscopic procedure can treat the pathologic processes associated with arthritis of the elbow and it was safe and effective in this series.
목적: 주관절의 골 관절염은 골극의 형성, 유리체 및 관절막 구축 등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관절 운동 장애나 운동 시 동통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관절경 시술이 발달함에 따라 진단과 치료에 관절경을 이용한 술식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어 저자들은 관절경을 이용한 술기와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에서 주관절 골 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 중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3예 중 관절경을 이용해 수술을 시행한 18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6예에서 척골신경 이전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1.3개월, 평균 연령은 48.(22~66)세였다. 동통의 평가는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를 이용하여 수술 전 및 수술 후에 평가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Mayo Elbow Performance Score(MEPS)와 관절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VAS score는 수술 전 3.4에서 수술 후 1.9로 의미 있게 낮았으며(p<0.05), 관절 운동 범위는 수술 전 신전 25(0~40)도에서 수술 후 8.5(0~20)도로, 수술 전 굴곡 101.7(80~140)도에서 수술 후 125.2(85~140)도로 신전 및 굴곡범위 모두 향상되었다(p<0.05). MEPS는 수술 전 평균 65.4(40~85)점에서 수술 후 평균 87.9(55~100)점으로 의미 있는 향상을 보여주었다(p<0.05). 그러나 3예에서는 수술 전에 비해 운동범위의 감소 소견을 보였고, 1예에서는 수술 후 척골신경 증상을 호소하였다. 결론: 주관절 골 관절염의 치료에 있어 보존적 방법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관절경적 수술방법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기에, 수술 전 주관절 골 관절염의 정확한 병인을 알고 수술 수기를 습득 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