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영재교육의 목적

Search Result 28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valuation of Modules of Scientific Gifted Programs (과학영재프로그램의 모듈 평가)

  • Sin, Mi-Yeong;Choe, Seung-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8-6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소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서 개발된 일부 모듈들에 구현되어있는 과학탐구과정 및 사고과정의 특징이 과학영재프로그램의 목적에 따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과학탐구과정이나 사고과정의 각 항목을 구현한 탐구의 실제를 알기 위한 것이다. 또,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모듈들에 대해 반성하고 개선점을 찾으려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13명이며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영재교육과정 및 평가에 관한 문헌을 근거로 과학영재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설정, 둘째, 목적과 목표를 근거로 문헌에 제시된 분석틀들을 수정 개발, 셋째, 참여자들이 각자 모듈을 1개 선정하여 분석하고 이를 수정한 후 다시 분석하여 해석, 넷째, 분석결과의 해석을 토대로 반성을 하였다. 각 단계마다 각자 해결한 내용을 공개하고 모든 참여자들이 공개된 내용에 대해 비판하면서 합의하는 과정을 거쳤다. 합의 도출에 의해 첫째, 과학영재프로그램의 목적은 '탐구적 사고과정을 함양하고 지역사회에 유익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한다.', 이에 대한 목표는 '자기 주도적인 탐구 계획 능력을 향상한다.'와 '숙달된 탐구 기능을 사용하여 실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로 설정하였다. 둘째, 분석틀은 '과학탐구과정' 과 '사고과정'의 두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과학탐구과정'에 해당하는 항목은 '사전탐구, 탐구방법, 해석적 탐구기술, 의사소통능력, 탐구평가, 과학의 본성'으로, '사고과정'에 해당하는 항목들은 '논리적 사고, 창의적 사고'로 구성하였다. 셋째, 선정된 모듈들을 분석한 결과 모듈들은 대체로 탐구방법과 해석적 탐구기술을 많이 강조하였는데, 수정된 모듈들에서는 이 두 항목이 더욱 강조되었다. 특히, 해석적 탐구기술에서 의사소통능력, 탐구평가, 과학의 본성, 창의적 사고를 강조하는 탐구의 실제가 증가하였다. 수정후 증가된 항목들은 앞에서 설정한 두 가지 목표에 도달하는데 도움이 되는 항목들이라고 합의 선정되었던 것이므로, 이에 따라 수정 전 모듈보다 수정 후 모듈이 보다 더 영재프로그램의 목표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반성한 점은 '목표' 에 '창의적 사고'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강조가 부족하다는 것, '목표'에서 '실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비해 '모듈'에서 다루는 주제는 '실제문제'가 아니라 학문적인 질문에 치우쳐 있다는 것, '자기 주도적인 탐구 계획 능력'을 향상시키는 탐구의 실제가 대체로 적게 제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반성을 영재프로그램의 각 모듈에서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목적과 목표에 따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 이러한 반성점을 고려하여 모듈을 개발한다면 영재프로그램 전체적으로 볼 때는 모두 구현되어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과학영재교육원들에서 개발하여 사용하는 많은 모듈 중 극히 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모든 과학영재프로그램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처럼 프로그램이나 모듈을 평가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일련의 평가단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in Gifted and Regular Class by Gifted Student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 Sung, SeungMin;Yeo, Sang-Ih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98-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gifted students perceived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o this study, friendship expectation survey, which sub-domains were intimacy, ability similarity, and morality, was conducted to 121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gifted students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mora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ability similarit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me detail items of all sub-domain(intimacy, ability similarity, and morality). Based the results of this, th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friendship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uggested.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 Choi, Kyoul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7
    • /
    • pp.1169-118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by perception in the gifted education fiel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teachers, 10 science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dividually or in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d character, creativity, leadership and morality as the important capabilities to have in the future society. Also, they wanted to explore science as much as they wished, form values as a leader,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a collaborative research project. The study suggested that it needed to construct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scientific investigation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lection Results of the Gifted Student by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관찰·추천제에 의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서 심사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 Yun, Eunjeong;Park, Yuneb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2 no.4
    • /
    • pp.929-9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for efficient selection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efficient operation of Convergence Science class in a Science Institute for Gifted Youth attached in university.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sult of entrance exam with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terance exam score and achievement to perform at the Convergence Science class. As a result, despite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is highly dependent on observers and recommenders, they have very different perspectives each other. In addition it was founded that selection and education process after admission is inconsistent.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 Kim, Hye Won;Jhun, Youngseo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283-29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science gifted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e last 5 years using LDA topic mode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04 keywords of 292 domestic academic papers were analyzed using RISS, KISS, and DBpi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e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9.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research, the top 10 keywords were 'students', 'program', 'elementary school', 'class', 'creativity', 'gifted education', 'awareness', 'teacher', 'education', and 'activity'. Secon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10 topics were derived. Research topics mainly conducte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or the past five years ar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of science gifted high schoo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Polic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creativity', 'Research conducting education by science gifted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hoice of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concept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the past, the proportion of specific topic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proportion between topics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as 2019 approache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re recent it comes, the mor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evenly without being biased toward one subject.

과학영재들의 노벨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심규철;박종석;박상태;변두원;김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7-169
    • /
    • 2003
  • 과학영재 교육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영재들의 특성, 과학영재의 판별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영재들의 과학, 과학자,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등 여러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해야 한다. 과학영재교육의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우리가 교육하는 과학영재들이 성장해서 그들의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국가의 발전은 뛰어난 영재들이 기여를 하였으며 그 업적을 통해 국제경쟁 사회를 선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영재 교육의 성공 기준 중 하나로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노벨상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과학영재교육이 왜곡될 수 있으나, 과학영재교육을 통해서 과학 분야에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로부터 과학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을 것이다. 2002년 노벨 과학상에서 일본은 물리학과 화학 두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노벨 화학상을 받은 다나카 고이치는 박사학위도 없는 40대의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그는 일본 과학계를 장악하고 있는 유명 국립대학의 교수도 아니고, 수상 발표 뒤 대부분의 일본 화학자들이 누군지 몰라 당황했을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이러한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희망을 안겨주었으며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대한 인식에 있어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노벨상 자체가 국가정책의 목표가 될 수는 없지만, 과학자나 국민 개개인들에게 희망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시점에서 우리들은 아주 오랫동안 방관자가 되어 왔다. 이제 여러 과학영재교육기관 등을 통해서 과학영재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한다면 조만간 상황이 바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택한 이유는 첫 번째가 사회 봉사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생활의 안정을 꼽고 있었다. 이외에도 과학적 업적 달성을 위해, 자신의 꿈(이상) 실현을 위해 등의 이유를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들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2.186, p>0.05). 우수한 능력을 소유한 영재들이 과학관련 분야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과학 발전은 그리 낙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영재들을 과학 관련 분야로 이끌어 그들이 소유한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이룰 위해서는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더욱 높여야 하며 그 능력을 과학관련 분야에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노력이 필요하다.~42.1mg$CO_2$/kg.hr였으며 12$^{\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다.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de, quercetin 7-O- -glucopyranoside, acacetin 7-O-$\beta$-D-glucuronide and apigenin-6-C-$\beta$

  • PDF

The Groping of the Possibility about Convergent Gifted Education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 Choi, Tae-Ho;Park, Myeong-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3
    • /
    • pp.683-702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just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convertgent gifted education through science and arts. Because the nature of art make up the base of each discipline and the creative talents in the heart of gifted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rt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three aspects have been explored. First, the relevance between the ontological nature of arts and gifted education discussed in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was explored. Second, the practical possibility was confirmed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bout the science and arts for gifted education. Finally, by looking at today'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nd future talent, it was argued that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alent must be needed in the future. This paper will be a springboard for follow-up study to prove the feasibility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through identifying factors in creative thinking proces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and arts. And views of convergent gifted education with artistic will be expanded further and newly recognized. In addition t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Arts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University and Science and Arts Gifted School.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t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a, Sang-Woo;Kim, Sun-Ja;Park, Jong-Wo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3
    • /
    • pp.497-51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GEC) affect the decision of graduates of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applying for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affected their decision on applying for higher SGEC, such as career goal prior to their admission to a SGEC, motivation for the admission, and curricular activities at SGEC.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on 30 students, and resulting data wer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construct interview questions. Selected 22 students among them were interviewed separately, with transcripts of the recorded interviews being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mong many factors of SGEC for the gifted which affected student's choice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 of science, activities of the center putting an emphasis on open research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choice of special high school.

초등기하학습에서의 GSP를 활용한 영재교육 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 Kim, Hae-Gyu;Hyeon, Chang-Seo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2 s.19
    • /
    • pp.321-34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van Hieles의 기하학 사고 수준에 따라, GSP(Geometer's SketchPad)를 활용한 초등기하 영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구안된 프로그램을 제주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수학반 학생들에게 적용, 그 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GSP를 이용한 초등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Exploring the Improvement Plan for Science-Gifted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the Performance Result of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 Lee, Bongwoo;Son, J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5
    • /
    • pp.775-78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second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 and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third plan. 'The second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 was made for the promotion of science-gifted education from 2013 to 2017. This plan is composed of three strategies with 25 sub-projects: a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science-gifted students with potential, an activation of creative and integrated science-gifted education and an establishment of optimized science education supporting system. We supposed six implicatio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ach sub-project. First, the third plan should be composed of projects to be able to be supported directly. Second, the paradigm shift is needed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expansion. Third, third plan should include a special support for profoundly gifted students. Fourth, a specialization plan for science-gifted institute is required.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mp or residential type gifted institute. Sixth, it is needed to have a quality management of science-gifted programs and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on science-gifted program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