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 교육

Search Result 11,00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에서 발명교육에 관한 과학교육자의 인식 조사)

  • Lee, Bongwoo;Shim, Kew-Cheol;Kim, Hui-Bae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1
    • /
    • pp.17-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cience educators (science research experts and science teachers) about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instrument in surveying their perception consisted of the necessity of invention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invention and science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in-service invention education for science teachers. Subjects were 119 science educators (67 science teachers and 52 science research experts). They perceived positively about including invention educational content in school science education. They perceived that invention education was high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Even though science educators have almost average level of understanding invention education, they demand in-service invention education for science teachers. Most of them referred informal courses to formal ones for school science education. Considering real life, engineering design, creative thinking in science education, invention method, and educational strategies can be effective for science education.

기획특집-과학교육 발전과제

  • Han, Jong-Ha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7 no.10 s.305
    • /
    • pp.43-48
    • /
    • 1994
  • 과학기술발전에 있어서 교육보다 더 중요한 일은 없다. 과학기술을 발전시킬 주체인 사람을 기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은 말이 아니다. 과학교육투자와 과학교육환경은 물론 과학교육을 담당할 교사의 질마저 크게 뒤져있다. 우리나라 과학교육에 가로놓여 있는 문제점은 무엇일까? 총점검해 보았다.

  • PDF

An Exploration of Principles for Practice and Application of Science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통합교육 환경에서 과학교육의 실천 원리와 적용 가능성 탐색)

  • Im, Sung-Min;Kim, Sung-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9 no.1
    • /
    • pp.79-89
    • /
    • 2009
  •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meaning of science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tram the view of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and discussed the principles and theories for constructing an educational program. Also,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y suggesting principles for practice: accommodating science curriculum macroscopically, adapting science curriculum microscopically, considering diversity in science instruction, sharing the differences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restructuring the assessment system in science education. We also reviewed the case on learning basic concepts in optic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discussed. In conclusion, we discussed the considerations for the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inferred further research problems.

Impact of Preparatory Science Methods Courses on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과학 교육 과목이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Hye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17 no.2
    • /
    • pp.33-44
    • /
    • 1998
  •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것은 과학 교수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유력한 요소가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구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교사 양성 과정중 과학 교육 과목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 즉, 자신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대학교와 인천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들이 한 학기동안의 과학 교육 과목을 마치고 나서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의 신념이 어느 정도 변화했는지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예비 교사들이 학습한 과학 교육 과목은 그들의 과학 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에 대한기대감을 모두 향상시켰다. 그러나 앞으로는 과학 교육 과목의 어떤 요소들이 그들의 신념을 변화시키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위해 질적 연구와 함께 더욱 긴 기간 동안의 연구가 행해져야하며, 변화된 그들의 신념이 실제 초등학교 교사가 될 때까지 지속되는지를 조사하고, 지속될 수 있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Science Education Courses for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 Preparation (중등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과학교육과목의 실태 분석과 시험적 모형 연구)

  • Pak, S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 no.2
    • /
    • pp.74-81
    • /
    • 1984
  • 중등 과학교사 양상에 있어서 기초 교양 과목과 교육 일반론 및 과학 과목은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핵심적이고 특유해야할 과목은 과학교육 관계 과목이다. 많은 경우 $2{\sim}3$학점의 한 과목을 필수로 제시되는 "물리교육", "화학교재", "생물교수법" 등의 분야별 과목이 안이하고 무의미하게 제시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직관적 판단으로부터 우선 한국의 실태를 조사하고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연구 개발의 기본적 모형을 구안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한 단계로 전국 사범대학 과학교육 관계과나 전공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과 면담을 통해 학사 학위 및 중등 과학교사 자격을 위한 취소 이수학점 그리고 일반 및 과학 교육 관계 과목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별히 과학교육관계 과목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필수 및 선택 과목 수와 학점, 대상 학생과 교수, 과목의 목표, 내용, 교육 자료와 평가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설문의 두 번째 범주인 과학교육 과목 담당 교수의 중등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과 과학 교육 과목에 대한 구체적 의견을 종합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태 조사와 의견 분석을 바탕으로 과학 교육 과목의 총 이수 학점에 대한 비율, 과목수와 명칭 그리고 교육 내용의 기본적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자료개발과 실제 지도를 위한 모형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과학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교육의 방향과 그 실현 방안으로서 Nature-Study에 대한 이론적 고찰)

  • Park, Dahye;Park, Jong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6 no.4
    • /
    • pp.581-589
    • /
    • 2016
  • This research aims to find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o analyze Nature-Study theoretically as one of the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ferences for character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then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expert workshops composed of 2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4 PhD student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references for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we supposed to confirm that Nature-Study is an efficient way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ed in the following: First,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ly, 'Expanded model of character education (The domains of the valu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spiritual object' and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manifested mechanism' empathized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practice' was also diagramed. Second, Nature-Study empathized 'Science Education through Nature' can be one of the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Nature-Study corresponds with the directions of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because Nature-Study aims for character education in it's educational purpose and emphasizes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nature & environment' and 'practice' in the real world. In conclusion, science education should establish it's own role in character education by expanding the domains of value and realizing the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and Nature-Study is efficient ways to implement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차별화된 원격교육시스템

  • Kim, Ji-Seon;Park, Hy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1-163
    • /
    • 2005
  • 정보화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보과학 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대체로 초${\cdot$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정보과학에 잠재성이 있고 전공 선택에 목전을 두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보과학 영재교육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한 형태인 원격 교육, 특별히 웹을 통한 정보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원격 정보과학 영재교육에 필요한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과학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그 시사점)

  • Cho, He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8 no.2
    • /
    • pp.183-200
    • /
    • 1998
  • Widespread recognition of the various aspects of science education has been prompted by post-positivist philosophers' discuss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intense debates among constructivist psychologists about learning in science. Their discussions and debates, in turn, have raise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eaching/learning of science in the school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basically based on the reviews and analyses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philosophy of science and psychology, was to describe the implications of post-positivism and constructivism for current science education in the schools. In this paper, the author defines science education as education of/about science, and education through/by science. He also stresses that scientific literacy and decision-making should be emphasized as the goals of science education, that the ethical dimensions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t be included in science curriculum, that group discussion and/or cooperative learning ar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science as interpreted by post-positivists and constructivists, and that the assessment should be focused on the degree to which cognitive structure has been changed through instruction in the school classroo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