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적 인식론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The Subjective Study of the High School Teachers o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주관성 연구)

  • Yu, Young-Seo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3
    • /
    • pp.265-27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performance-based pay system(PBPS) for teachers using Q-methodology. This study found three types of high school teachers'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system. Type I is named 'the type of negative perception.' The subjects of type I emphasize the PBPS is not appropriate system for motivating teachers' educational behaviors. Type II is named 'the type of neutral perception.' The subjects of type II emphasize the PBPS is a fair job evaluation, strengthening cooperative atmosphere of educational community but the system is not an usefulness for causing educational behavior etc. Type III is named 'the type of acceptive perception.' The subjects of type III emphasize the PBPS is a good policy to reward for the work most people avoid getting into and improve culture of teaching job etc.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과제)

  • Lee, Myeong-J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3
    • /
    • pp.248-257
    • /
    • 2001
  • The 7th science curriculum h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stic philosophy of education. The humanistic curriculum emphasized learner-centered education, which claims to stand for learners' experiences. This study searched for the significances of the 7th science curriculum, and discussed its tasks and perspectives based on th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mentioned in the history of reforming science curriculum. The 7th science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experiences and everyday life materials are favored i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the desirable effects related to this commitment,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about the social element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everyday life contexts should be examined in views of educa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s, so the contextual differences between science and everyday life should be clarified.

  • PDF

Solving Multi-class Problem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Support Vector Machines을 이용한 다중 클래스 문제 해결)

  • Ko, Jae-Pi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2 no.12
    • /
    • pp.1260-1270
    • /
    • 2005
  • Support Vector Machines (SVM) is well known for a representative learner as one of the kernel methods. SVM which is based on the statistical learning theory shows good generalization performance and has been applied to various pattern recognition problems. However, SVM is basically to deal with a two-class classification problem, so we cannot solve directly a multi-class problem with a binary SVM. One-Per-Class (OPC) and All-Pairs have been applied to solve the face recognition problem, which is one of the multi-class problems, with SVM. The two methods above are ones of the output coding methods, a general approach for solving multi-class problem with multiple binary classifiers, which decomposes a complex multi-class problem into a set of binary problems and then reconstructs the outputs of binary classifiers for each binary probl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output coding methods as an approach for extending binary SVM to multi-class SVM and propose new output coding schemes based on the Error-Correcting Output Codes (ECOC) which is a dominant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output coding methods. From the experiment on the face recognition, we give empirical results on the properties of output coding methods including our proposed ones.

동양고전의 으뜸 '주역'의 본격연구 활발

  • Park, Nam-Jeong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73
    • /
    • pp.14-14
    • /
    • 1995
  • 동양고전의 최고로 일컬어지는 역학은 그동안 학문으로 인식되기보다 역겨의 점술성만 강조돼온 게 사실이다. 최근 잇따라 출간되고 있는 역학연구서들은 역학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들 책은 주역을 철학적 입장에서 해석한 본격 개설서에서부터 역사와 문화, 과학론을 제창한 이론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 PDF

Methodological Review of the Research on Argumentative Discourse Focused on Analyzing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논증 담화 분석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논증활동의 협력적 구성과 인식적 실행의 분석을 중심으로)

  • Maeng, Seungho;Park, Young-Shin;Kim, Cha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840-862
    • /
    • 2013
  • This study undertook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on previous research that had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for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in science classes in terms of collaborative construc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argumentation. The study also proposed a new way of analyzing argumentation discourse based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e new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argumentation discourse episodes to examine its feasibility. For these purposes, we chose the studies employing Toulmin's argument layout, seeking for a method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structure, content, and justification of arguments, or emphasizing evidence-based reasoning processes of argumentation discourse. In addition, we contrived an alternative method of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Discourse Register on the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DREEC), and applied DREEC to an argumentative discourse episode that occurred in an actual science classroom. The advanced methods of analyzing argumentative discourse used in previous research usually examined argument structure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elements of Toulmin's argument layout or its extension. Those methods, however, had some problems in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based on the justification and epistemic enactments of the arguments, while they could analyze and compare argumentative discourse quantitatively. Also, those methods had limitations on showing participants' collaborative construction during the argumentative discourse. In contrast, DREEC could describe collaborative construction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Es and RHEMEs and the links of data, evidence, pattern, and explanation in the discourse, as well as the justification of arguments based on the flow of epistemic enactments of the argumentative discours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 Origins of Human Beings: Focusing on Religions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인간의 기원에 대한 인식 조사: 종교배경을 중심으로)

  • Kang, Kyungl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2
    • /
    • pp.246-25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of the evolution.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iews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ith no religion with those of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Subjects were 77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ho enrolled in a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14 items on 2 domains: the nature of science,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Most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ly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Howeve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still possessed naive views on the distinction of law and theory. In terms of the methods of science, many of th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considered scientific theories to progres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s or through changes and modifications in existing theories. Compared with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no religion,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had conflicting view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factors of religion were found to be one of the important barriers which prevent them from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human beings.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ntegrating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tific knowledges should b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For pre-service biology teacher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conflicting views of the christian pre-service teachers who understand creationism as a science.

  • PDF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 분석을 위한 3차원 틀 개발 및 적용 :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Park, Se-Gi;Lee, Gi-Ye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7-67
    • /
    • 2010
  • 과학교육에서 효과적인 과학 수업을 위하여 과학사 도입의 중요성이 계속 강조되어 왔다. 이에 따라 과학 교과서에는 많은 과학사 자료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가 어떤 유형과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3차원 틀을 개발하고, 이를 제 7차 교육과정의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내용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개발된 분석틀은 수업맥락, 역할, 제시유형의 3개 차원으로 구성된다. 수업맥락 차원은 흥미, 사회-문화적, 인식론적, 개념적 맥락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되며, 제시유형 차원은 에피소드/일화, 발견/고안, 선형적인 발전, 역사적 실험의 4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역할 차원은 기본적, 보충적, 탐구적의 3가지 영역으로 세분된다. 개발된 3차원 분석틀을 적용하여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사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수업맥락 차원에서는 개념적 맥락의 과학사 자료가 모든 학년별 과학 교과서에서 가장 많았다. 역할 차원에서는 기본적 역할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탐구적 역할의 경우에는 매우 적었다. 제시유형 차원에서는 발견/고안과 선형적인 발전 유형이 대부분이었고, 에피소드/일화 유형의 자료는 주로 흥미 맥락과 연계되어 극히 일부만 사용되고 있었다. 3차원 각 영역들을 48개의 조합으로 분석한 결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발견/고안 유형'과 '개념적 수업맥락-기본적 역할-선형적 발전 유형' 2개 조합에 집중되었으며, 나머지 조합들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전체적으로 3차원 분석틀 각 영역에 부합하는 과학사 자료가 과학 교과서에 다양하게 포함되지 못하고 일부 영역에만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양한 수업맥락, 역할, 그리고 유형으로 과학사 자료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Comprehensive Presuppositions Regarding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Held by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중등 과학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 과학적 인과성 및 자연에 대한 종합적 관점 조사)

  • Hong, Hanghwa;Park, Jongwo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8 no.2
    • /
    • pp.454-469
    • /
    • 2014
  • Teachers' presuppositions of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are unconsciously constructed through interactions with his or her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everyday and it began even before they were in any formal education. It directly influences their teaching later. Thus, this study examined what comprehensive presuppositions in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are held by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For the study, Q-methodology was used. Q-sorting was done on 81 statements from three instruments: Nature statements, the Test of Preferred Explanations, and the Nature of Science Scale with twelve in-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ers sorted the statements along a presented agreement scale of their viewpoint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recommended procedures for Q-sorts in order to group teachers with similar views. As a result, ten participants were placed in five factors based on their presuppositions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and distinctive features of each factor were discovered. In addi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presuppositions of science, scientific causality, and nature are interrelated. This study method will be helpful to discover more relationships regarding teachers' various viewpoints further.

  • PDF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 Heo, Man-Yong;Lee, Hae-Yeong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2
    • /
    • pp.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 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 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An Eyetracking Study on the Measurement of Newspaper Advertising Exposure Effects : Comparison with Data Collected by Recognition Measurement (안구운동 추적을 활용한 신문광고 노출효과 측정 방법론 연구 : 보조인지 설문 응답과 비교를 통하여)

  • An, Byung-Wook;Jung, Dae-Hoon;Lee, Jo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136-144
    • /
    • 2007
  • 1990년대 후반까지 줄곧 광고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던 신문광고가 2001년을 기점으로 광고 시장 점유율의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인터넷과 같은 경쟁적인 뉴미디어가 급격히 성장하는 데 그 원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문의 광고효과를 산출하는 과학적 방법론이 부족하다는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구운동 추적(eyetracking)을 활용하여 신문광고의 노출효과를 측정했다. 이를 위하여, 기존 신문 구독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에 따라 추출된 50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신문의 면내 광고별 체류시간을 헤드 마운트형 안구운동 추적기(head-mounted eyetracker)를 활용하여 측정했다. 실험 결과, 데이터의 95%가 기존의 주의-기억 단계를 따르는 순차적인 정보처리모델과 스타치 구독률 조사(starch readership reports) 결과와 안구운동 추적 결과와 일치했다. 하지만, 5%의 데이터가 주의와 기억 단계의 차이에 기인한 이월 효과(carry-out)로 순차적인 정보처리모델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5%가량이 광고를 보지 않았음에도 봤다고 표시했다. 또한, 기존에 스타치 구독률 조사와 같은 재인 측정 방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던 기존의 신문 광고 노출율(보통 30%)에 비하여, 직접 측정한 결과 60%에 달하는 광고 노출율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인식과 달리, 스타치 구독률 조사가 단순 노출 정도가 아니라, 응답자의 선택적인 기억 결과를 측정한 것임을 보여준다. 이로써, 안구운동 추적을 활용한 노출효과측정은 기존에 스타치 구독률 조사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기법임을 보여준다. 또한 이 기법에 의하여 도출된 노출율은 60%에 달하여 기존의 약30%로 제시된 연구결과들이 실제로 측정기법의 한계로 인하여, 기억이 가지고 있는 왜곡을 그대로 반영한 노출율에 관한 자료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노출효과 측정방법론은 기존의 왜곡된 데이터를 보완하고, 신문 광고 시장의 과학적인 측정기법을 발전시키는 데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