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 및 사용특성

Search Result 1,66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New Stereo Matching Algorithm Using Distribution of Match Values in Disparity Space (변위 공간상의 정합값 분포를 이용한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

  • 김재철;이경무;이상욱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661-6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특성에 따라 국부 영역으로 분류하고 변위 공간(disparity space)상에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각각의 영역에 적합한 윈도우의 크기를 정하는 새로운 스테레오 정합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텍스쳐(texture)가 적은 영역이나 텍스쳐가 반복되는 영역, 그리고 깊이의 불연속선상에서는 고정된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하는 영역 기반 스테레오 기법은 잘 동작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영역들의 변위 공간상에서의 정합 값 분포를 분석하여 스테레오 정합에 이용한다. 실험은 변위의 참값이 알려진 영상에 대해서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방법에 비해 짧은 수행 시간 및 정확한 정합 결과를 보여 준다.

  • PDF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ping and its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n Pohang city (GIS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포항시 지하수 잠재가능성도 작성 및 검증)

  • Lee Sa-Ro;Kim Yong-Sung;Won Jo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115-128
    • /
    • 2006
  • The aim of the study is to select and verify for development of groundwater resourc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water balance, land cover, forest, soil, elevation, slope, hydrogeology and lineament were analyzed. Using GIS,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and groundwater yield data was analyzed and the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 was made for selecting suitable area for groundwater development. Then groundwater resource potential map was verified using groundwater yield data. The verified result showed the good agreement between the potential map and groundwater yield data. The potential map can be used for groundwater management which is related to groundwater development.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ming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Ahn, In-Ja;Choi, Sang-Ki;Noh, 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2
    • /
    • pp.143-171
    • /
    • 2014
  •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he concept and introduction of infinite creative space (makerspace) to redefine the roles of existing library spac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formulate a suitable program for public library makerspaces by analyzing case studi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s are used for deriving the makerspace concept, the evolution of makerspace, the implications posed by makerspace operation domestically and abroad, and the utilization of makerspace. Finally, we suggest story creation programs, topic-based programs reflecting the library characteristics, professional mentoring programs, expert consulting programs, various training programs, patent application support programs, incubator programs, and so 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on Soil Erosion and Deposition (강우의 공간분포에 따른 침식 및 퇴적의 변동성 분석)

  • Lee, Gi-Ha;Lee, Kun-Hyuk;Jung, Kwan-Sue;Jang, Chang-L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7
    • /
    • pp.657-674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spatially-distributed rainfall on both rainfall-sediment-runoff and erosion or deposition in the experimental Cheoncheon catchment: upstream of Yongdam dam basin. The rainfall fields were generated by three rainfall interpolation techniques (Thiessen polygon: TP,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Kriging) based only on ground gauges and two radar rainfall synthetic techniques (Gauge-Radar ratio: GR, Conditional Merging: CM). Each rainfall field was then assessed in terms of spatial feature and quantity and also used for rainfall-sediment-runoff and erosion-deposition simulation due to the spatial difference of rainfall field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he interpolation methods based on ground gauges provided very similar hydrologic responses in spite of different spatial pattern of erosion and deposition while raw radar and GR rainfall fields led to underestimated and overestimated simulation results, respectively. The CM technique was accepta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raw radar rainfall for hydrologic simulation even though it is more time consuming to generate spatially-distributed rainfall.

An Analysis of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and Neuro-Fuzzy Model (위성영상과 퍼지-신경회로망 모형을 이용한 토양수분 분석)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54-154
    • /
    • 2012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세타 탐침(Theta Probe), 장력계, TDR(Time Domain Reflectrometry)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광역 토양수분자료의 보다 정확한 공간 변동성의 관측을 위하여 항공원격탐사와 인공위성 원격탐사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인공위성 영상은 자료의 분석이 간편하며, 공간자료이므로 공간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어 매우 편리하다. 그 중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위성영상은 저해상도 영상으로 극궤도 위성인 Terra와 Aqua 위성에 장착되어 있으며, NASA에서 필요한 정보를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물리적 지형자료와 같은 방대한 양의 자료 수집 없이도, 모형이 구축되면 인공위성자료와 강우자료만으로도 신뢰성 높은 결과를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자료 지향형 모형인 ANFIS(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퍼지변수로는 시험유역의 토양수분 관측자료와 강수량 및 인공위성 자료인 MODIS NDVI(Normalize Difference Vegetation Index), MODIS LST(Land-Surface Temperature) 영상을 이용하였다. MODIS NDVI는 시간 해상도 8일, 공간해상도 250 인 Level 3 영상이며, MODIS LST는 시간 해상도 1일, 공간해상도 1 km인 Level 3 영상을 사용하였다. 위성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Korea TM 좌표체계로 변환한 뒤, 토양수분 관측지점이 속한 각 셀의 속성값을 추출하였다. 위성자료와 수집된 자료 및 토양수분자료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입력자료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하여 입력 변수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입력 변수와 ANFIS 모형을 연계하여 각각의 토양수분 산정모형을 구축하고 대상지점에 대한 토양수분을 산정 및 비교 분석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rought Assessment Scheme using Root Zone Soil Moisture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 개발)

  • Shin, Yongchul;Park, KyungWon;Yoon, Sunkwon;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24
    • /
    • 2015
  • 최근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많은 가뭄평가기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산림과 함께 산악지형이 우세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가뭄평가시 불확실성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농업가뭄은 기후와 지표특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후특성만을 고려한 가뭄지수는 실제 필요한 농업가뭄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표특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토양수분을 이용한 가뭄평가기법(Drought Assessment Scheme)을 개발하였다. 가뭄평가기법을 위하여 역추적기법(Inverse Modeling-IM) 기반의 자료동화기법(Data Assimilation, DA)을 이용하였다. 자료동화기법은 1-Dimensional (1-D) 기반의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는 SWMI_ST 모형과 최적화 알고리즘(유전자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GA)을 연계하여 실측 및 위성기반의 토양수분자료로부터 토양의 수리학적 매개변수(${\alpha}$, n, ${\Theta}_{res}$, ${\Theta}_{sat}$, $K_{sat}$)를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30 m X 30 m) 및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500 m X 500 m) 이미지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수분을 산정하였으며, 이후 자료동화기법을 이용하여 LANDSAT/MODIS 토양수분자료로 부터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토양의 매개변수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매개변수, GIS 기반의 지표피복 및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토양수분을 산정 및 예측 할 수 있다. 고해상도의 이미지 자료를 사용하는 가뭄평가기법은 필지~시 군 단위까지 실제 우리나라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을 모니터링 및 예측 할 수 있다.

  • PDF

Test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Membrane (유리섬유 막재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시험)

  • Park, Kang-Geun;Yoon, Sung-Ke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8 no.2
    • /
    • pp.55-62
    • /
    • 2008
  • Membrane structures are now us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world with the merits of free shape, lightness, durability, sunlight transmittance and homogeneous material. The development of new membrane material opened up new possibility for the design of new building structures. Recently it was mainly used PVC, PVF, PVDF, PTFE, ETFE membrane for using the roofing material of membrane structures. Some problems of membrane materials have fire proofing, lack of strength, self cleaning capacity, tear resistance, durability, heat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elasticity.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s, it will be test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mbrane material about tensile strength, tearing resistance, etc.

  • PDF

Experimental study on peak flow variability using spatially extended data (공간확장자료를 사용한 첨두유량의 변동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Nam Won;Shin, M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5-365
    • /
    • 2017
  • 강우의 공간분포는 홍수수문곡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총강우량이 같더라도 강우의 공간분포 특성에 따라 홍수수문곡선 및 첨두유량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강우의 공간분포는 홍수량 산정과 홍수해석은 물론 수자원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유역을 대상으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GRM 모형과 공간확장자료 생성방법을 사용하여 47개 미계측유역에 대해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고 3개 관측유역을 포함한 총 50개 유역에 대해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강우의 공간분포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제유역과 실제사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공간확장자료 생성방법은 보정 및 검증유역에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을 적절히 모의한다면 추정된 매개변수값들을 상류지역에 있는 미계측유역에 적용하여 유량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이다. 1989년부터 2009년까지의 강우와 유출자료의 질이 좋은 20개의 사상을 추출하고 이 사상들과 3개 관측유역에 대해 GRM 모형의 매개변수들을 보정 및 검증하였다. 그 결과 NSE > 0.5, PBIAS ${\pm}30%$, 그리고 수정상관계수인 $_{mod}>0.6$의 적절한 모형효율 통계결과를 얻었다. 강우의 공간분포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이 추정된 매개변수와 실제강우(강우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 및 공간평균강우(실제강우를 공간적으로 평균한 강우)를 사용하여 50개 유역의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 시계열 자료 중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는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와 차이가 있었다. 20개 사상중 13개의 사상은 실제강우와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비슷하거나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보다 약간 좁아지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나머지 7개 사상의 경우에는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보다 크게 좁아지는 것을 보였다. 이것은 전체사상의 약 35 %에 대해서는 강우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고 홍수유출을 모의한다면 적절하지 않은 첨두유량 모의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홍수체적에 대해서도 적절하지 않은 모의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강우관측소의 밀도가 홍수유출 모의 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홍수량 산정 또는 수자원 설계 시 강우의 시간분포 뿐만 아니라 공간분포 또한 고려해야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Gas Furnace Process by Means of Partition of Input Spaces in Trapezoid-type Function (사다리꼴형 함수의 입력 공간분할에 의한 가스로공정의 특성분석)

  • Lee, Dong-Y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4
    • /
    • pp.277-283
    • /
    • 2014
  • Fuzzy modeling is generally using the given data and the fuzzy rules are established by the input variables and the space division by selecting the input variable and dividing the input space for each input variables. The premise part of the fuzzy rule is presented by selection of the input variables, the number of space division and membership functions and in this paper the consequent part of the fuzzy rule is identified by polynomial functions in the form of linear inference and modified quadratic. Parameter identification in the premise part devides input space Min-Max method using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input data set and C-Means clustering algorithm forming input data into the hard clusters.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sequence parameters, namely polynomial coefficients, of each rule are carried out by the standard least square method. In this paper, membership function of the premise part is dividing input space by using trapezoid-type membership function and by using gas furnace process which is widely used in nonlinear process we evaluate the performance.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Space Usage For Future School - Focused on the Reorganization of Student-Oriented School Space - (미래학교 조성을 위한 중학교 공간사용 실태 분석 연구 - 학생중심 공간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

  • Kim, Kyoung-Suk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9 no.4
    • /
    • pp.26-39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usag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who are users of the middle school education spac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could see that various types of classes were needed, such as lecture-style classes, team projects, and four-person consultation and discussion classes, in a way that helped to improve the desirable teaching patterns and learning ability. Second, the place where space was used during the brea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revealed that most of them were in the classroom and the hallway, and the peer group was composed of three to eight people or more, that were active with various compositions. Third, a gym, library, toilet, stairway, cafeteria, nurse's office, and teachers' room appeared in the center of the building, indicating the need for a balanced layout. Fourth, physical education (dance) rooms, audiovisual rooms (performance rooms), workshops (personal creation), snack bar, rest area, spacious indoor square, and study rooms were needed as facilities that can help learning activities other than current facilities. These outcomes show that the existing classroom layout and space composition formats require some spatial restru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