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능력

Search Result 1,0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Location based Two-Factor L-OTP Protocol (위치기반 Two-Factor L-OTP 프로토콜)

  • Seo, Hwa-Jeong;Kim, Ho-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8C no.5
    • /
    • pp.327-330
    • /
    • 2011
  • After releasing the smart phone equipping the strong computational capability compared to traditional mobil phone, a field of services, which is available on the personal computers, is expanded to smart phon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duces the limited service utilization on time and space but it has a venerability exposing an information to malicious user. Especially we need to more attention when using the financial services which communicate the user's private information. To solve the security problem, OTP(One Time Pad), which uses a private key for a session, is recommended. OTP techniques in smart phone having focused on traditional environments have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However, security over mobile environments is more vulnerable to attack and has restriction on resources than traditional system. For this reason, definition of proper conceptual OTP on smart phone is required. In the paper, we present the L-OTP(Location-OTP) protocol, using T-OTP(Time One Time Pad) technique with location information. Proposal generates the OTP using unique location information which is obtained in smart phone.

The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Biped Robot Using Hierarchical Mixture of Experts (계층적 모듈라 신경망을 이용한 이동로봇 지능제어기)

  • Choi Woo-Kyung;Ha Sang-Hyung;Kim Seong-Joo;Kim Yong-Taek;Jeon H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4
    • /
    • pp.389-395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the controller for biped robot using intelligent control algorithm. In order to simplify the complexity of biped robot control, manipulator of biped robot is divided into four modules. These modules are controlled by intelligent algorithm with Hierarchical Mixture of Experts(HME) using neural network. Also neural network having direct control method learns the inverse dynamics of biped robot. The HME, which is a network of tree structure, reallocates the input domain for the output by learning pattern of input and output.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learning HME repeatedly with EM algorithm, the controller for biped robot operating safety walking is designed by modelling dynamics of biped robot and generating virtual error of HM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pecial Law on Waterfront Area (친구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의 성립과 운용에 관한 연구)

  • 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2-112
    • /
    • 2011
  • 2010년 12월 8일 국회 본회의에서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하 친수법)이 통과되었다. 친수법은 국가하천의 양안 2km 이내의 지역을 엄격한 기준에 의해 친수구역으로 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개발하도록 제도화하였다. 또한 특히 사업시행자를 공기업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기관으로 제한하고 개발이익도 하천정비에 재투입하여 개발이익이 사유화되거나 이윤추구의 장이 되지 않도록 하는 법적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하천은 지난 수십 년간 개발일변도 정책으로 하천 본래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 인구의 도시집중, 지속적인 개발, 하천에 대한 기대치 증가 등으로 앞으로도 하천 자체의 자정능력에 의한 회복은 기대하기가 쉽지 않다. 4대강 살리기 사업(이하 4대강사업)은 국내 하천의 이러한 절실한 현실이 고려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4대강사업으로 조성되는 수변지역을 그대로 방치하면 무분별한 난개발과 토지투기의 장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수변구역 주변의 넓은 토지는 이미 농경지화되어 있어 비료, 제초제 등 비점오염원의 하천유입으로 수질을 지속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제반 여건들이 친수법 제정의 주요한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친수법의 제정에는 수많은 우여곡절이 포함되어 있다. 친수법은 법안이 발의된 이래 법안의 취지를 둘러싸고 향후 법 실행과 관련된 논의가 첨예하게 대립하여왔다. 본 연구는 이미 제기된 특별법의 문제점에 대하여 법적인 관점에서 짚어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친수법의 제정을 위하여 꼭 특별법이라는 입법과정을 거쳐야 했는지 그리고 친수법이 상정하고 있는 사업의 성격 및 내용에 대한 법적인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친수법 제4장에서 규정하고 있는 하천관리기금을 법률 구성의 입장에서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점도 고찰하였다. 즉, 친수법이 구상하고 있는 [특별법의 제정${\rightarrow}$친수구역 개발에 의한 수익 창출${\rightarrow}$하천기금의 조성${\rightarrow}$건전한 하천관리]의 구도가 법적으로 어느 정도 균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tion Path and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in London Metropolitan Area (런던지역 한인 이주민의 정착경로 및 주거입지 특성)

  • Park, Wons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4
    • /
    • pp.467-491
    • /
    • 2015
  •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migration path, residential location, and housing ownership structure of Korean immigrants in London metropolitan are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are situation of immigrants, immigration region, and help of prior Korean immigrants. Secondly, factors influencing the current residential location of Korean immigrants are income, ability of English, education at United Kingdom, and initial residential location. Thirdly, 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f housing ownership structure, migrants tend to reside their own housings while migration period go beyond 10 years and incomes exceed ${\pounds}$50,000. Forth, immigration path types of London Korean Immigrants are divided by ethnic enclave oriented type and mainstream society oriented type.

  • PDF

EFFECT OF COMPLIANCE ON NEWMARK-TYPE RIGID BLOCK DEFORMATION ANALYSIS (Newmark-방식 강체블럭 변위해석에 대한 유연도의 영향)

  • Kim, Jin-Ma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3 no.12
    • /
    • pp.117-124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patial averaging and compliance taken account of in the analysis of earthquake-induced permanent deformation of slopes. At present, the rigid block analysis originally proposed by Newmark is widely used in the deformation analysis, mainly because of its computational efficiency. This type of approach, however, adopts the so-called decoupled approach, in which seismic response and deformation analyses are carried out separately. Original Newmark block analysis assumes the potential sliding mass to be noncompliant, and has been criticized to be potentially unconservative. This paper reviews the impact of the noncompliance assumption of the potential sliding mass in the Newmark-type analysis. The gross effects of earthquake shaking on the potential sliding mass are estimated by spatial averaging method and analyzed in frequency doma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a simple criterion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compliance of the potential sliding mass.

Development of big data-based water supply and demand analysis technique for digital new deal (디지털 뉴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물수급 분석 기법 개발)

  • Kim, Jang-Gyeong;Moon, Soo-Jin;Nam, Woo-Sung;Kang, Shin-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6-76
    • /
    • 2021
  • 물정보 중 가뭄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원인은 무엇을 가뭄으로 볼 것인지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댐 및 저수지, 광역상수도 등 수자원시스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개별 요소만을 고려한 기존 가뭄모니터링 및 전망은 현실적이지 못하며, 가뭄 위험도 관리 측면에서도 부족한 부분이 있다. 가뭄 현상의 경우 기상학적 영향인 강수의 부족이 가장 큰 요소로 기여하지만 실질적으로 국민에 필요한 양보다 적은 양의 물이 공급될 때 국민들은 가뭄을 체감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역별로 사용하는 수원 및 물수급 시설 등을 세분화하고, 실적기반 분석을 통해 분석대상 지역의 가뭄을 정확히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인 물수급 분석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즉, 공간분석단위를 표준유역 단위 이하의 취방류 시설물을 기준으로 구성하고, 이들 시설물의 운영정보와 수문기상 빅데이터를 연계한 물순환 모형을 구현함으로써 댐, 저수지, 하천 등 다양한 수원을 가지는 유역 내 가용 수자원량을 준실시간 개념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을 중심으로 물수급 관련 수요·공급 시설의 위치를 절점으로 부여하고 연결하는 물수급 네트워크 알고리즘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 물수급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모니터링 지점 및 모든 이수 시설의 위치를 유역분석 기법을 통하여 점(point), 선(line), 면(shape)으로 구성된 지형공간정보의 위상(topology) 관계를 설정하여 물수급 분석의 계산순서를 선정하고, 시계열 DB를 입력하여 지점별 물수급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권역별 주요 수위-유량관측소 1:1 Nash 계수를 검증한 결과 저유량에서 0.8 이상의 높은 재현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수급 분석 모형은 향후 물관련 이슈 지역의 용수공급능력 평가 및 수자원장기종합계획 등 다양한 수자원 정책평가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atellite Imagery by Disaster Type (재해 유형별 최적 위성 영상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SoMang;Kang, Ki-mook;Yu, 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9-279
    • /
    • 2021
  • 위성영상정보는 센서의 종류, 취득, 분석, 재난과 위성영상 특성 매칭 등의 제약으로 재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종류는 탑재한 센서의 정보제공 능력 범위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예측, 탐지, 사후처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취득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위성과 탑재된 센서의 궤도, 공간 해상도, 파장대 등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재난유형별로 최적 위성영상을 선정하였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재난과 재해의 유형을 자연재난(10종)과 사회재난(27종)으로 분류하였다. 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재난 유형은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자연재난에 해당하며 그 중 태풍, 홍수, 가뭄, 산불 등 총 4종의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최적의 위성영상을 분석하였다. 재난관측에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탑재체의 종류는 극궤도 지구관측 위성에서 광학과 SAR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기본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분류되며 광학 센서는 태양복사 및 지구복사에너지 파장 영역 중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열적외선 파장대 영역의 분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밴드들로 구성된다. 지표의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탐지하고 변화를 감지·분석하는데 유용하여 홍수, 태풍, 지진 등 자연 및 사회 재난·재해 관측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SAR 센서는 장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돌아오는 신호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대기의 효과 및 요소를 투과하는 주파수 대역별 장파장 밴드 정보를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대상 표면, 위치, 형태 등의 정보를 측량 및 관측하므로 중·광역 지역에 제약 없이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산사태, 홍수, 지진, 등의 재난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이러한 다종 위성별 센서들의 특징(공간 해상도, 파장대별 밴드 특성, 관측폭, 재방문 주기 등)들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무료/상용 지구관측위성을 분류한 결과 태풍에는 광역관측, 정지궤도 위성, 홍수에는 광학 및 SAR 고해상도 위성, 가뭄은 광역관측, 다분광 광학 위성 그리고 산불에는 정지궤도, 광학, SAR 위성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PDF

Test Scenario Methodology for New ITS Service Verification Based on Infra-Guidance Service for Autonomous Vehicle Driving Assistance (신규 ITS 서비스 검증을 위한 테스트 시나리오 방법론 연구: 자율차 주행지원을 위한 인프라 가이던스 서비스를 중심으로)

  • Junhyung Lee;Inchul Yang;Hyungsoo Kim;Minhye Cho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4
    • /
    • pp.54-66
    • /
    • 2024
  • Various new ITS Services to support autonomous vehicles. Infra-guidance service is also one of the new ITS services that have emerged to harmonize the traffic flow in mixed traffic by assisting autonomous vehicles. As a verification procedure to introduce a new ITS service, use cases and scenarios will be established for various spatial and situational ranges that may occur on the road, and limited test operations and living lab pilot operations will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numerous cases occur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traffic volume at the time of service operation, weather and road geometr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esents a test scenario design method for verifying new ITS services, focusing on the infra-guidance service that is being researched as an emerging autonomous driving-supported technology.

Dynamic Nonlinear Prediction Model of Univariate Hydrologic Time Series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d State-Space Model (Support Vector Machine과 상태공간모형을 이용한 단변량 수문 시계열의 동역학적 비선형 예측모형)

  • Kwon, Hyun-Han;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3B
    • /
    • pp.279-289
    • /
    • 2006
  • The reconstruction of low dimension nonlinear behavior from the hydrologic time series has been an active area of research in the last decade.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applications of a powerful state space reconstruction methodology using the method of Support Vector Machines (SVM) to the Great Salt Lake (GSL) volume. SVMs are machine learning systems that use a hypothesis space of linear functions in a Kernel induced higher dimensional feature space. SVMs are optimized by minimizing a bound on a generalized error (risk) measure, rather than just the mean square error over a training set. The utility of this SVM regression approach is demonstrated through applications to the short term forecasts of the biweekly GSL volume. The SVM based reconstruction is used to develop time series forecasts for multiple lead times ranging from the period of two weeks to several months. The reliability of the algorithm in learning and forecasting the dynamics is tested using split sample sensitivity analyses,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forecasting extreme states. Unlike previously reported methodologies, SVMs are able to extract the dynamics using only a few past observed data points (Support Vectors, SV) out of the training examples. Considering statistical measures, the prediction model based on SVM demonstrated encouraging and promising results in a short-term prediction. Thus, the SVM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suggests a competitive methodology for the forecast of hydrologic time series.

Development of Web-GIS Based Agricultural Drought Information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농촌용수관리를 위한 Web 및 GIS 기반 농업가뭄정보시스템 개발)

  • Nam, Won-Ho;Choi, Jin-Yong;Yoo, Seung-Hwan;Jang, Min-Won;Ko, Kw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6-239
    • /
    • 2009
  • 우리나라는 계절적으로 편중된 강우특성 때문에 가용 수자원이 충분하지 않고 최근엔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상기후현상과 국지성기후로 인해 가뭄의 빈도 및 강도가 증대되고 있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농촌용수 물관리 대책과 가뭄대응능력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의 관리를 위해서는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공간적인 가뭄의 분포를 파악하여 적절한 가뭄평가 수단을 통한 가뭄대책 수립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마련하여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가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을 극복하고 농촌수자원의 안정적 확보와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농업가뭄 상황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농업가뭄대책의 수립과 시행을 뒷받침할 수 있는 Web 및 GIS 기반농업가뭄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개발된 토양수분지수(Soil Moisture Index, SMI)와 저수지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를 통합한 통합농업가뭄지수(Integrated Agricultural Drought Index, IADI)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가뭄의 여러 가지 패턴에 따른 지역별 농업가뭄의 위험과 예측 피해를 설명하고, 가뭄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실제 물 관리 및 가뭄대책 업무에 반영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