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적 능력

Search Result 1,00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함정용 전투체계 개발동향 및 전망 (1)

  • Kim, Yeong-Gil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3 s.169
    • /
    • pp.28-35
    • /
    • 1993
  • 미래의 4차원 교전 개념은 항공기, 수상함, 잠수함 및 육상기지로부터 미사일에 의한 동시다발적인 원거리 정밀 공격능력으로 특징지어지는 위협특성과 함정자체의 센서와 무기의 능력향상으로 인한 전투공간의 확대에서 비롯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장환경의 변화는 표적의 조기탐지 및 식별, 전투공간 확대로 인해 그 수량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정보의 처리, 제한된 함정자원을 활용하여 자함의 생존성을 극대화시켜야 하는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대안이 통합 전투체계의 개발인 것입니다

  • PDF

IEEE 802.15.4 and ZigBee Protocol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킹을 위한 Active RFID 기술

  • 정성훈;전호인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6
    • /
    • pp.67-88
    • /
    • 2004
  •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환경은 사람 주변의 모든 기기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끊김없이 정보를 주고받으며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전자공간과 실제 공간의 융합이다[1, 2, 3, 4]. 이와 같은 유비쿼터스 환경이 지원되면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평온하고 지능화된 느낌에 상황인지 능력을 갖추게 되어 생산적이며 대응 능력을 지원 받을 수 있는 안락한 상황이 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제공을 위해서는 "AlWays Connected"와 "Broadband" 그리고 "Every Device in One Network"의 세 가지의 키워드가 필수적인 요소[2]이다. 이 세 가지의 요소가 충족되려면 많은 기술들이 필요하게 된다. (중략)되려면 많은 기술들이 필요하게 된다. (중략)

Deelopment of a Multisite Daily Rainfall Simulation Model Using a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 개발)

  • So, Byung-J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수자원공학에서 일강수량 모의기법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홍수와 가뭄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수공구조물의 위험도 및 신뢰성 평가 및 수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입력 자료생성을 목적으로 활용된다. 유역 단위의 분석시 단일 지점에 대한 강수 모의 기법을 적용할 경우 각각의 지점에서 관측된 강수 자료의 시계열 및 통계치 특성이 효과적으로 재현되지만 공간적으로 발생하는 즉, 지점 간의 종속관계를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공간적인 전이 특성이 있는 가뭄 분석 및 유역내 유출량의 공간적 변동 특성 분석에 단일지점별 모의 결과를 이용할 경우 관측 자료와 상반된 공간적 변동성으로 인하여 잘못된 가뭄 및 유출 분석 결과가 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발생하는 강수 특성을 반영한 유역 단위의 홍수 및 가뭄 등의 수문 분석을 위해서는 지점간의 종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다지점 강수 모의 모형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점 모의에 있어서, Wilks 모형의 지점별 시변동 특성과 공간상관성 재현 능력, HMM 모형이 갖는 강수 사상별로 분포된 양적 분포 패턴 재현 능력을 복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인 기계학습 기반 범주화 기법을 이용한 다지점 일강수량 모의 모형(ML-MRS)을 개발하였다. 또한, 지점별 강수량에 적용되는 확률분포모형은 Gamma 분포로 구성된 혼합모형을 적용하여 단일 확률 분포 모형의 자료 적합 문제를 개선하였다. 모의를 통한 일강수량 시계열 자료는 일 강수자료의 통계량을 효과적으로 모의하였으며, 다지점 모형의 모의 결과를 적용한 가뭄 모의 결과 관측 자료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패턴이 재현되었다. 본 모형은 시 공간적 사상을 효과적으로 재현함으로서 지역의 변동특성을 반영한 가뭄, 홍수, 기상 현상 분석 등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Model for Gab Analysis Between NCS Competence Unit Element and Traditional Curriculum (NCS 능력단위 요소와 기존 교육과정 간 갭 분석을 위한 평가모델)

  • Kim, Dae-kyung;Kim, Chang-B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9 no.4
    • /
    • pp.338-344
    • /
    • 2015
  •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is a systematize and standardize for skills required to perform their job. The NCS has developed a learning module with materialization and standardize by competence unit element, which is the unit of specific job competency. The existing curriculum is material to gab analysis for use in education training with competence unit element. The existing gab analysis has evaluated subjectively by experts. The gab analysis by experts bring up a subject subjective decision, accuracy lack, temporal and spatial inefficiency by psychological factor. This paper is proposed automated evaluation model for problem resolve of subjective evaluation. This paper use index term extraction,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for feature value extraction, cosine similarity algorithm for gab analysis between existing curriculum and competence unit element. This paper was presented similarity mapping table between existing curriculum and competence unit element. The evaluation model in this paper should be complemented by an improved algorithm from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speed.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의 활용이 중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2
    • /
    • pp.162-1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VFT) as a supporting tool for geological field activity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A total of 1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a three day long actual geological field trip around Jeju Island where a three-phase instructional model is applied for utilization of flash panorama-based VFT, which was proposed by Kim and Lee (2011). With one-group pretest-posttest pre-experiment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to find out a change i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volcanic concept understanding, an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utilization of flash panorama-based VF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utilizing flash panorama-based VFT in actual field trip revealed that there was meaningful increase in 'spatial relation' category of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knowledge' and 'comprehension' domains of volcanic concept understanding. Second, majority of students showed positive gain index in both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volcanic concept understanding. Lastly, participating students showed much interest and high satisfaction, and positive perception on the use of VFT.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utilization of flash panorama-based VFT could help in carrying out an actual field trip in terms of cognitive and geographical factors.

The Effect of Astronomical Field on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on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천문분야 수업이 공간지각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

  • Lee, Yo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5 no.2
    • /
    • pp.263-27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 program in the field of astronomy that can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commit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in the advanced course in the elementary science gifted class affiliated with the Gifted and Talented Center of University B. In order to improve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ask attachment to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class, a total of 12 educational learning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interpreted as quant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tronomy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improvement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econd, the astronomy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task commitment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Third, astronomy clas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patial perception than improving task commitment. Since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re selected with excellent intelligence,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IEP) is developed and applied to better express their potential giftedness. In addition, in order to express more in-depth giftedness in gifted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express individual gifted characteristics.

지식학습 능력을 갖는 전문가 시스템

  • 김호용
    • 전기의세계
    • /
    • v.39 no.8
    • /
    • pp.14-24
    • /
    • 1990
  • 전문가 시스템 개발과정에서 완전한 경험적 규칙들을 얻는 것은 극히 어려운 작업이다. 전문가들이 확고한 경험적 규칙들을 얻기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걸리며, 그 얻어진 지식조차 확신할 수 없다. 또한 같은 분야 지식도 전문가들 사이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문가 시스템이 보다 완전한 지식베이스를 얻어, 주어진 영역에서 기존의 고도 전문가 수준의 전문성을 갖는 완전한 전문가로 활약하기 위해서는 지식 배제, 둘째 기존의 경험적 탐색 공간은 물론 보다 다양한 문제 해결 전략이 가능한 심층적 탐색공간을 제공하여 그로부터 새로운 문제 해결 지식을 학습하는 자기 학습기능이 필요하다. 본지에서는 이러한 자기학습 기능을 갖는 전문가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전력계통에 대한 적용예로서 전압제어 전문가 시스템을 설명하였다. 아직 전문가 시스템의 자기학습 기능의 구현은 초보적 연구에 머물고 있으며, 그들의 학습 능력조차 낮은 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나 전문가 시스템 연구자들은 기존 전문가 시스템의 문제점과 그 적응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진보된 개념(데이타들로부터 이론과 원리를 학습하는)이 도입된 자기학습 전문가 시스템의 적용연구는 앞으로 여러분야에서 폭넓게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지화학 자료의 공간통합에서의 불확실성 추정

  • Park No-Uk;Ji Gwang-Hun;Gwon Byeong-D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213-218
    • /
    • 2006
  • 이 논문에서는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자료 표현에서의 불확실성이 최종적인 공간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물자원 탐사를 위한 공간통합 사례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라 예측 능력의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결론적으로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이 공간 자료의 불확실성 모델링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o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Class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 야외 답사의 활용이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 및 화산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 Heo, Jun-Hyuk;Lee, K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4
    • /
    • pp.345-355
    • /
    • 2013
  • While virtual field trips (VFT) are considered as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field experience, it is unclear how VFT are best used in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FT o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clas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treatment, we conducted pre and post-test on participa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their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and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linear regressio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in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especially in spatial manipulation category. Second, the chang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in most of the categories, but it i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Last, the change in correlation between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and understanding of volcanic concept in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y high compared to control grou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MHBT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한국형 MHBT 영재판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 Lim, Kyung-Hee;Son, Seung-Nam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3
    • /
    • pp.371-400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Korean MHBT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MHBT in this study consists of KFT-HB and MHBT-5. MHBT-S was composed of 1) space presentation and thinking ability, space perception,. physics/technic tasks 2) affective domain; creativity, achievement motivation, desire of knowledge, social competence questionnaire 3) performance attitude questionnaire 4) interest questionnaire. The subject were 489 middle school students (1 or 2grade) in the education centers for gifted youth and general classes. Except a few subscales, internal consistent reliability was considered good. Korean MHBT discriminated well gifted students from general students in KFT-HB and some subtests of MHBT-5. As results, Korean MHBT in this study was expect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instrument for identification of korean gifted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