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요구

Search Result 3,898,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velopment of Low-Cost Data Acquisition Method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시스템을 위한 저가격 자료획득방법의 개발)

  • Park, Hong-Gi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7 no.2 s.14
    • /
    • pp.143-153
    • /
    • 1999
  • GIS have become easier to use and very popular. In recent year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s ire becoming cost-effective tools to build and update GIS databases. In close-range photogrammetry for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data, the bundle adjustment needs both initial approximate values and control points to solv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This paper gives a review of applied and potential algorithms for estimating Initial approximate values before the bundle adjustment, develope new algorithms for determine the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nd gives a cost-effective methods for close-range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 Modifications of existing DLT algorithm were made in this study for providing an efficient, economic, and more accurate photogrammetric data reduction technique. These modifications include robust approaches for automatic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all lands of gross errors in the measurement data, and incorporation of GPS to reduce the number of control points necessary for a DLT solution. Also, this paper derives a new method for space resection from a monocular image. A major advantage of proposed method is that the solution can be uniquely and analytically determined without initial approximate values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and without iterative computation.

  • PDF

Project Design Plan for Drone Photogrammetry (드론사진측량을 위한 프로젝드 설계방안)

  • Han, Seung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1
    • /
    • pp.239-246
    • /
    • 2019
  • The drone photogrammetry is actively utilized for obtaining highly accurate spatial information and other various monitoring purposes. It is general to plan the drone photogrammetry by referring to previous experiences or cases in order to obtain the required accuracy, but the drone photogrammetry is often carried out again due to poor accuracy. Since the required spatial accuracy of the drone photogrammetry process result becomes the means of objective evalua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result, it should be determined care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flight height, overlap, number and arrangement of ground control point, and exterior orientation factor acquisition method in order to meet the required 3D positional accuracy for the design of drone photogrammetry project. In this study, previous study cases for the analysis of drone photogrammetry accuracy were carefully analyzed and verified by applying such cases to testing area, and design guideline of drone photogrammetry project for a small area was prepar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presented project design guideline is expected to be a great help to business practice although it is not perfect, and if the design guideline is prepared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in future,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a perfect manual.

Concept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nd Role of Government as a Platformer (공간정보 소셜플랫폼의 개념과 플랫포머로서 정부의 역할)

  • Choi, Won-Wook;Hong, Sang-Ki;Shin, Dong-Bin;Ahn, Jong-Wook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0 no.4
    • /
    • pp.37-45
    • /
    • 2012
  • Moving forward on smart society, change of the way to solve the spatial issue used in information society is required. In order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existing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strategy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The requirement for the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to be socialized and evolved into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latform P. Savalle(2010) suggest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definition of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is formulated. Several roles of the government as a platformer to create and manage the spatial information social platform are suggested.

An Efficient Spatial Data Transformation Method Using Caching on S-XML Middleware (S-XML 미들웨어에서 캐싱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

  • Lee, Dong-Wook;Jang, Yong-Il;Park, Soon-Young;Oh, Young-Hwan;Bae, Hae-Yo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47-5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S-XML 미들웨어에서 캐싱을 이용한 효율적인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SDBMS)을 기반으로 하여 S-XML 을 지원하는 시스템은 SDBMS 에서 사용되는 이진 데이터와 S-XML 간의 상호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변환 과정에서 공간 데이터는 비공간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 크기가 크고, 복잡한 동시에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가지고 있어 비공간 데이터에 비해 변환 비용이 크다. 따라서 공간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변환 비용 감소 기법이 필요하다. 제안 기법은 SDBMS 의 질의 처리 결과인 이진 데이터를 S-XML 문서로 변환하고, S-XML 미들웨어의 캐싱 관리자에서 공간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캐싱 한다. 캐싱 관리자는 질의를 점 질의와 영역 질의로 구분한다. 점 질의의 결과에 대해서는 공간 데이터의 OID 를 키 값으로 하는 해쉬 색인을 사용하며, 영역 질의 결과에 대해서는 질의에서 표현된 MBR 에 따라 R-Tree 색인을 사용한다. 변환 과정에서 요구되는 공간 데이터가 캐싱된 데이터로 존재하면 질의 종류에 따른 색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S-XML 데이터로 치환한다. 캐싱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 변환 기법에 의해 공간 데이터의 변환 비용을 줄임으로써 S-XML 미들웨어 에서의 변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Governance - Focusing on the Intelligence Community and LandWarNet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미(美) 정보공동체와 육군 랜드워넷을 중심으로)

  • Kim, Dong 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1
    • /
    • pp.19-26
    • /
    • 2014
  • Recently, ICT environments have been increasingly developed and the pattern of the war also has been changed to NCW.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for example, C4I and TDL(Tactical Data Link), has been prosperous and rapid. But the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which is the basis of the network frames relatively has not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ster the geospatial governance in terms of the defense perspective. In order to do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IC) and the U.S. Army Global Information Grid(GIG), LandWarNet and those could be good examples of roles and statuses of geospatial intelligence. IC has been produced essential intelligence which is required for policymakers and military leaders. IC has several stove-piped intelligence process systems which have been separately developed and competed. And so as to complete GIG, the U.S. Army adopted LandWarNet. The U.S. Corps of Engineers organized the Army Geospatial Center(AGC) on 1 October 2009 to support LandWarNet. In order to develop NCW, we should recognize geospatial intelligence as the basis of network framework and make a central leading organization of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The mission of Korea Defense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should be changed from producing GEOINT to a strategic GEOINT agency. The Army should organize a laboratory of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The mission of producing GEOINT should be transferred to a geospatial intelligence battalion which is newly organized.

Performance Evaluation of Indices based on Main Memory 08MS for GIS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의 색인 구성에 대한 성능평가)

  • 신수미;편도영;김경창;김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166-168
    • /
    • 2004
  • 지리정보시스템에 대한 응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중요하게 인식된다. 이때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와는 달리 공간 질의와 비공간 질의가 동시에 처리될 수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한 효율적인 색인 구성이 요구되며 이에 대한 성능의 명가가 특별히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억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비공간 색인과 공간 색인을 별도로 두는 이중 색인 구성을 제안하고 실제 색인이 지리정보시스템에 적용되었을 때 그에 이 시스템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통친 색인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성능비교도 함께 측정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주기억 데이터베이스에 T-tree와 MR-tree가 비공간 및 공간색인을 위해 적용되었을 때 데이터가 증가하여도 질의에 대한 속도가 거의 변화가 없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Advanced Model for GIS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지차체 GIS 고도화 모델 연구)

  • Kim, Eun-Hyung;Park, Jun-G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87-94
    • /
    • 2007
  •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자체 GIS 통합 연계는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로, 상하수도 등 공간정보 수요가 높은 업무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GIS 통합연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의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지자체 전 부서 대상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자체 내 전부서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이 필요하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은 지자체 지리 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협력체계를 고려한 모델로서 지자체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연계 모델이다.

  • PDF

3D-GIS Modeling for Path Finding in Indoor Spaces (내부공간에서의 경로탐색을 위한 3D-GIS 모델링)

  • Ryu Keun-Won;Jun Chul-Min;Park In-Hye;Kim Hy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87-192
    • /
    • 2006
  • 도시의 과밀화로 인해 건물들은 고층화, 대형화되고 복잡한 형태를 이루고 있어 건물 이용자들에게 2차원의 정보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3차원 GIS 모델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되거나 응용되어 온 3차원 모델은 주로 건물 외부형태의 시각화를 위한 것으로 3차원 공간분석에 응용되기에는 한계가 존재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을 공간분석에 적용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건물의 내부공간에서 경로탐색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건물 내부의 각 실들과 연결통로 및 기타 시설들을 각각 오브젝트로 분리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2차원 GIS데이터와 3차원 모델에 각각 벡터기반의 네트워크 모델을 생성하고 DB를 이용하여 두 모델을 연동함으로써 3차원 모델에서 네트워크기반의 경로분석과 탐지기능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