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사용실태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6초

한.중 주택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 실태비교 (Actual conditions on Lighting Environment of Kitchen Space in House between China and Korea)

  • 학가;김현지;안옥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2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부엌 공간 조명환경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 115가구와 중국 7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부엌공간의 크기는 중국보다 한국이 좀 더 큰공간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싱크대와 식탁 높이는 차이가 크지 알았다. 둘째, 중국의 경우 국부조명을 사용하지 않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조명도 전반적으로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엌의 조도 측정결과, 싱크대의 KS 평균조도인 200[Ix]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한국445[%], 중국63.1[%]로 나타났으며, 식탁의 경우 KS 평균조도인 400[Ix]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한국과 중국 모두 10[%] 미만으로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엌 공간 조명의 밝기정도와 만족도는 한국과 중국 모두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환경의 문제점으로는 한국의 경우 열환경, 음환경, 조명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은 조명, 공기, 일조량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명환경 측면의 문제점으로 양국 모두 밝기, 관리, 효율성 순으로 나타나 주택계획 시에 이러한 점에 주안점을 두어 조명환경계획을 할 필요가 있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n $6^{th}$ Grade Students' Spatial Sense and Spatial Reasoning)

  • 김유경;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3호
    • /
    • pp.353-373
    • /
    • 200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공간감각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공간 시각화 능력이 공간 방향화 능력보다 우수하였는데, 각각의 하위 요소를 분석한 결과 변환능력이 회전능력보다, 방향감각과 물체의 구조인식능력이 위치감각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공간추론능력 측면에서는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때 다양한 공간추론능력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특히 변환의 인식과 사용, 분석과 종합, 시각화 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많이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학생들의 공간감각 및 공간추론능력 사용형태를 상세히 분석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교수 학습 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PDF

실측조사방법을 통한 교수연구실 사용실태분석 및 유형화 (Space Use Characteristics and Categorization of University Professo's Office Identified through Physical Trace Method)

  • 이연숙;이숙영;홍미혜;박정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0호
    • /
    • pp.3-1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ategorize the space us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office. The data were recorded and collected through the physical trace method. Acture Measurement. Photograph, sketch and CAD drawings were used to trace 118 professors offices at Yonse-University. The analysed features were the user characteristics, the size, characteristics of space (such as composition, layout and furniture arrangement), the appliance and the instrument characteristics. To categorize the 'space use' characteristics. 6 variables were used: 1) the territorial characteristics, 2)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territory and entrance, 3) the layout type of work area, 4)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 and assistant's work area, 5) the arrangement of table, and 6) the completion of sofa se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design alternatives for the most typical university professors' office.

  • PDF

대학도서관의 공간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Usages of Academic Libraries)

  • 안준석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25-32
    • /
    • 2014
  •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facing serious space shortage problems due to an inability to accommodat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rinted materials. Despite the current situation, Korean academic libraries have largely focused on im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new library paradigm, using technology or management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the university. However, such improvements would be fruitless without first resolving the space shortage crisis. In order to make realistic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academic librarie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employ the opinions of librarians currently practicing at such Korean libraries. Survey questionnaires about types and causes of space shortage problems, library facility expansion plans, expected effects of expansion, frequency of and reasons for furniture relocation, and tight spaces needing improvement were distributed to selected 4-year college librarians through Google Drive.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indicated that library space shortage was largely responsible for the hindrance of research and learning environments. Furthermore, it reflected the urgency to secure book storage space.

농촌 청소년 공부방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Study Rooms in the Youth of an Agricultural village)

  • 김현지;전경선;안옥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7-120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 청소년 공부방을 대상으로 조명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공부방의 평균 공간의 크기는 11.42[$m^2$]이며, 주로 광원은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조명사용방법은 전반조명만 이용하는 경우가 73.8[%]이며, 배광방식은 직접조명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스탠드를 소유하고 있는 가구는 45.7[%]이었으며, 국부조명인 스탠드를 사용하는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의 20[%]에 지나지 않아 시작업이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내부공간 조도는 평균 131.82[lx]이며, 책상면 조도는 253.64[lx]로 최저허용조도의 42.3[%]에 해당하는 열악한 실정이었으며, 균제도는 평균 35.61[%]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조명환경에 비해 만족도는 3.93점으로 �F아 조명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서비스 공간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ervice Areas in Multiplex cinema)

  • 서혜숙;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8-164
    • /
    • 2006
  • Multiplex have many screen in one place and provide customer Multiple Entertainment Option. Today multiplex cinema is a new culture place for the public to approach most easily in Korea. It also gave a chance to recognize how important a popular culture place is. but it has a problem that this space wasn't designed for customer and don't have even a rest area for them as they focused only on economic growth. therefore, in this study, it point's the utilization of Service Areas problems and provide basic data of interior design for customer.

  • PDF

천안 지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분석 (Internet Addiction Status and Anysis of Elementary Students in CheonAn City)

  • 황미애;권오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79-185
    • /
    • 2011
  • 최근 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중독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등학생도 예외가 아니어서 학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중독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정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지역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45.4 % 이상의 학생이 인터넷 사용으로 학습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48.3 % 학생은 인터넷 사용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등 중독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제과포장의 실태와 적정포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ropriate Packaging for the Confectionery)

  • 김미자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33-242
    • /
    • 2003
  • 포장의 중요성이 점차 크게 부각되면서 포장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사회 환경에 대응하는 적절한 포장이 무엇인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 자연 및 에너지의 소비 에 대한 관심이 높아 가면서, 생활폐기물 전체 중량의 32%, 용적으로 50%를 차지하고 있다는 포장폐기물이 공해와 대기오염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의 하나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포장폐기물에서 60%의 비율을 차지하는 지류포장재가 적정포장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포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과업체 중 가장 대표적인 4개 기업의 제품 8$\ulcorner$종을 중심으로 각각의 수집된 샘플들의 지기 포장용적과 내용물의 용적, 그리고 내용물 용적을 제외한 공간의 용적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적정포장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포장용적에 대하여 내용물을 제외한 평균 공간 용적률은 60.46%에 이른다. 과자류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제품대비 포장 공간 비율을 20%로 제한하고 있다는 것을 볼때, 포장의 공간용적비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절한 포장 즉, 포장의 적정화에 의한 폐기물의 감량화, 폐기물의 재자원화, 포장재와 완충재의 사용을 합리화하는 환경을 배려한 포장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 PDF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 및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Housing Situ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Foreigners in Korea -Focusing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 김영주;박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574-586
    • /
    • 2019
  • 본 연구는 재한외국인의 주거실태와 주거만족도를 조사하고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재한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32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대부분 중국국적으로 평균연령은 45.7세였다. 주택소유형태는 90% 이상이 차가였으며, 주택유형은 단독주택이 가장 많았다. 전반적인 주거만족도 점수는 3.43점으로 보통 이상이었으나 주차공간과 노후도,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주거만족도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 '시설설비,' '생활편의시설,' '생활환경,' '주거비부담'과 관련된 5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 5개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회귀분석 결과 '공간계획 및 구성'과 관련된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