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단위 분석

Search Result 93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Review of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on Disaster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 검토)

  • Park, Jong Young;Lee, Jung Sik;Son, Ho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2-37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분석단위가 되는 집계구 단위와 더불어 동 단위를 추가하여 기후노출의 공간분석단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후노출에 대한 분석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 3.0)에서 제시되고 있는 ArcGIS의 Jenks 최적화방법을 활용하여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기후노출지표는 폭우재해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우일수, 연평균 시간최대강우량의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기후노출지표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요구되는 기후노출 지표값은 경상북도 인근의 최근 10년간 기상청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분석 단위의 검토 결과, 기후노출 지표 특성에 따라 기후노출의 지리적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를 통한 분석과 추가적인 동 단위를 통한 분석은 지역별로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이 뒤바뀌는 양상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재해특성별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은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활용성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Methodology of Industrial Integration by Spatial Unit: Based on Root Industry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산업을 중심으로)

  • Kim, Seo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6
    • /
    • pp.256-266
    • /
    • 2020
  •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industrial location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spatial policies and plan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this analysis is what analysis indicators and spatial units are used, because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nalysis indicators and the spatial units. Therefore, this study first examines various industrial integration indicators considering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uggests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of industrial aggrega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lated indicators. And then,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oot industry by presenting a methodology for analyzing industrial integration by various spatial units such as individual locations, grids, and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the grid in the spatial unit can be analyzed in more detail than the administrative uni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setting of spatial units. I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the south-eastern region of Ulsan, Busan, and Changwon, and the western region of the SMA of Incheon, Hwaseong, and Ansan were analyzed as the industrial cluster type.

Spatio-temporal analysis of land price variation considering modifiable area unit problem (가변적 공간 단위의 문제를 고려한 지가 변동의 시공간 분석)

  • 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2
    • /
    • pp.185-199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spatio-temporal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zoning effect of spatial analysis termed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In former studies of spatio-temporal analysis, there were disagreement between attribute data with spatial data, because of vari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aggregating attribute data. It is need to consider how the analysis zone effects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patio-temporal variation of urban region through land price variation analysis. This study considers MAUP through basic mesh system, which is composed of micro grid. Mesh system can solve disagreement of resolution between spatial data and attribute data.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 The Case of the City of Pohang - (수치지형도를 활용한 계획분석구역별 토지이용 정보시스템 구축방안 - 포항시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 Koo, Ja-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3 no.3
    • /
    • pp.77-8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Zone-Based Land Use Information System(ZBLIS)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public statistics data with a case for Pohang. The Basic Spatial Units(BSUs) used in ZBLIS is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s(Dong and Lie), and larger or smaller spatial units than this are brought out from BSUs. In the first step, the structure of ZBLIS is constructed to choose Analysis Zone on the top menu, and in subsequent steps, to choose Analysis Categories on sub-menu in terms of dialog windows, and then to choose Analysis Sub-categories and Analysis Theme. The 11 Analysis Categories are consisted of Population, Land Use, Transportation, Industry and Economy etc.. In this case study, it is found that there occur some technical problems in the process of making base-map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and inputting attribute data to this base map. For each of these problems, some handling method are recommended.

  • PDF

Traffic Accidents Analysis on Expressway using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공간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분석)

  • 강경우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5 no.1
    • /
    • pp.5-15
    • /
    • 1997
  • 공간통계분석은 공간적으로 연계된 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통계분야이다. 일 반적으로 공간적으로 연계된 변수들간의 관계는 각 변수간의 공간적 분포정도에 따라서 영 향을 받는다. 전통적인 통계 분석의 방법은 동질의 자료발생과정에 의하여 확률적으로 축출 된 표본자료를 가정하고 있으나, 공간적인 자료는 이와 같은 동질의 자료발생과정의 가정을 부정한다. 교통류 및 교통사고 등과 같은 교통분야의 자료는 대부분 공간적인 상관관계에 의하여 축출된 이질적인 표본자료이며 따라서 공간상관관계를 동질적으로 가정한 전통적인 통계적 분석 방법은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공간적인 관계를 고려한 공간자기상관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고속도로상의 교통사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4 개 고속도로 중 경인고속도로를 제외한 3개의 고속도로상의 교통사고건수는 통계적으로 현 저한 양의 공간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교통사고분석을 위하여 종속변수로 단위구간별 교통사고건수를 그리고 설명변수로서는 단위 구간별 교통량, I.C. 유무 및 화물차량비율을 이용하여 공간 자기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분 석의 분석에서는 구간별 교통량과 화물차량의 비율이 호남/남해 고속도로의 경우에는 구간 별 교통량과 I.C.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Three-Dimensional Space Embedding of phylogenetic taxonomic units Preserving Evolutionarv Distance Relationship (진화적인 거리 관계를 반영한 계통분석 분류 단위의 3차원 공간 표현)

  • Lee, Seung-Hui;Hwang, Gyeong-Sun;Lee, Hye-Ri;Lee, Geon-Myeong;Lee, Cha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75-78
    • /
    • 2006
  • 계통발생학적 분석은 바이오인포메틱스에서 분류 단위의 진화적인 관계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계통발생학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계통수는 분류 단위들 사이의 진화 거리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기에는 부족하다. 이 논문은 진화거리 표현을 위해 3차윈 공간으로 분류 단위가 표현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 2차원 트리 뷰와 함께 3차원 공간에서 분류 단위들을 시각화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 PDF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사례 연구 - 유럽 사례를 중심으로 -

  • Song, Seok-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97-299
    • /
    • 2012
  • 유럽에서 지어진 플로팅 건축물을 중심으로 상부 시설에 적용된 모듈러 시스템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플로팅 건축 상부시설에서 모듈러 시스템 적용 유형은 단위 공간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와 단위 건축물 모듈러를 적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었고, 단위 공간 모듈러의 경우 동일 형태의 반복에 의한 유형과 서로 다른 형태의 결합에 의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 PDF

A Method of Detailed Urban Land Use Classification Using a Statistical Unit (통계단위를 활용한 도시지역 상세 토지이용 분류기법)

  • Min, Sook-Joo;Kim, Kye-Hy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03-106
    • /
    • 2004
  • 토지이용정보는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환경관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한 정책 수립을 위하여 상세한 토지이용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작은 공간단위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통계단위자료와 기 제작된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분류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분류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험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산림지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향후 산림지역에 대한 토지이용정보 취득 방법을 보완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도시지역 토지이용정보 취득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통계단위와 토지이용정보 구분단위가 일치하므로 다양한 통계집계자료와 함께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in Urban Space -Focused on the Service Classification by Planning Factors and its Spatial Adaptability -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위계별 적용가능성 분석 -계획요소별 서비스 분류와 공간단위 적용성을 중심으로-)

  • Lee, Sangho;Leem, Yountaik;Kim, 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11
    • /
    • pp.458-4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U-Eco City services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easiness of application in urban space. The most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design and planning guidelines for integrated U-Eco City. This study progress as follows; First, U-Eco City concept and their services were defined and the spatial units of U-Eco City were distingu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U-Eco City spaces a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uch as building, street, facility and district. Finally,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was analyzed together by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cross-tabulation. 35.7% of U-city services was serviced in urban district and 38.8% of Eco City services was applied to Building. U-City and/or Eco city services were ada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Those services should be appli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designing and planning U-Eco City.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using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폭우 취약성 지표를 활용한 재해취약지구 분석)

  • PARK, Jong-Young;LEE, Jung-Sik;LEE, Jin-Deok;LEE, Won-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1
    • /
    • pp.12-22
    • /
    • 2018
  • In order to improve the vulnerability of current cities due to climate change,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manual for various disasters is provided. Depending on the spatial units, the disaster vulnerability levels, and the conditions of the climatic factors, the results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his study, relative assessments are conducted by adding the eup, myeon and dong unit in addition to census output area unit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spatial unit, and relative change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stages by expanding the natural classification, which is standardized at level four stage, to level two, four and six stage. The maximum rainfalls(10min, 60min, 24hr) are added for the two limited rainfall characteristics to determine the relativity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by index. The relative assessment results of heavy rainfall vulnerability index showed that the area ratio of disaster areas by spatial unit was different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pace analysis between the eup, myeon and dong unit in addition to census output area unit was not consistent.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is relatively different a lot due to indexe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spatial unit analysis and disaster vulnerability level st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s of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differ relatively significantly due to the level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class, and the indexe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This suggests that the impact of the disaster vulnerable districts depending on indexes is relatively large, and more detailed indexes should be selected when setting up the disaster vulnerabilities analysis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