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erarchical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in Urban Space -Focused on the Service Classification by Planning Factors and its Spatial Adaptability -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위계별 적용가능성 분석 -계획요소별 서비스 분류와 공간단위 적용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5.11
  • Accepted : 2012.10.23
  • Published : 2012.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U-Eco City services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and easiness of application in urban space. The most significant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design and planning guidelines for integrated U-Eco City. This study progress as follows; First, U-Eco City concept and their services were defined and the spatial units of U-Eco City were distinguish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U-Eco City spaces are classified into four levels such as building, street, facility and district. Finally, the application of U-Eco city services was analyzed together by the statistical technique of cross-tabulation. 35.7% of U-city services was serviced in urban district and 38.8% of Eco City services was applied to Building. U-City and/or Eco city services were adap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rban spatial hierarchy. Those services should be applie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in designing and planning U-Eco City.

본 연구의 목적은 U-City와 Eco City에서 파생된 U-Eco City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이들 계획요소로부터 도출된 서비스의 공간적용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U-Eco City 서비스의 공간적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도시공간을 '건물', '가로', '시설' 그리고 '지구'의 4개 위계로 구분하였다. 이들 공간은 각각의 용도 등에 따라 보다 세분화한 후 분석에 적용하였다. U-Eco City의 계획요소 중 U-City의 계획요소는 도시의 활동에 따라 생활(Living), 일(Working), 이동(Moving) 및 놀이(Playing) 부문별로 총 228개 단위 서비스를 도출하였다. Eco City 서비스는 태양과 빛, 물, 녹지, 공기와 바람, 토지와 토양, 식생과 생태 등 자연요소와 에너지, 환경오염, 소음, CO2 및 가스, 환경폐기물 그리고 경관 등 자연요소 55개 부문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U-Eco City 각 계획요소의 공간적용성은 U-City 및 Eco City 계획요소가 어떤 공간단위에 적용되는지를 교차분석(Cross-tabulat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U-City 계획요소는 도시공간 중 '지구' 단위(35.7%), Eco City 계획요소는 '건물' 단위(38.8%)에 적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각 계획요소의 공간적용성은 공간의 위계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U-City와 Eco City계획요소가 공간에서 융합된 U-Eco City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공간위계에 따른 차별적 계획요소를 도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계획 및 설계지침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혜진, U-Eco City 기술과 계획요소 그리고 공간모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국토해양부, 유비쿼터스도시 건설사업 업무처리지침, 2009.
  3. 국토해양부․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U-Eco City 사업단, U-Eco City 사업단 상세기획 연구보고서, 2008.
  4. 권용우, "도시쾌적성을 위한 어메니티플랜 계획지표의 개발", 지리학연구, 제35권, 제4호, pp.351-361, 2001.
  5. 김귀곤, 신행정수도의 생태주거단지 계획, 대한주택공사, 2004a.
  6. 김귀곤, 자연환경․생태복원학 원론, 아카데미서적, 2004b.
  7. 김도년, "유비쿼터스의 도시계획.설계의 방향과 조건", 유비쿼터스 도시건설포럼 창립기념 컨퍼런스 자료집, 유비쿼터스 도시건설포럼, pp.4-32, 2007.
  8. 김병이, 대덕연구단지의 생태환경모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 김선경,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의 도입 가능성 탐색",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13권, 제2호, pp.215-240, 2003.
  10. 김일태, "생태도시조성을 위한 추진전략", 환경정의시민연대 엮음, 생태도시의 이해, 다락방, 2001
  11. 김재영, "U-City 구축활성화 정책방향", TTA Journal No.112, 2007.
  12. 김정미, u-City로 바라보는 미래도시의 모습과 전망, 유비쿼터스사회연구시리즈, 제8호, 한국전산원, 2005.
  13. 김정훈, U-City(時空自在 도시) 구현을 위한 국가전략 연구, 국토연구원, 2006.
  14. 김정훈, U-City 구현을 위한 계획체계 정비방안, 국토연구원, 2007.
  15. 김지현, "U-Eco City 적용기술의 평가항목 도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115-133,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115
  16. 김철수, "생태도시조성방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5권, 제3호, pp.21-48, 2001.
  17. 김희영, U-Eco City 계획요소의 공간적용성 분석,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8.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편), 도시계획론, 보성각, 2009.
  19. 대한주택공사 주택연구원,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 1996.
  20. 문창엽, "유비쿼터스와 생태기술을 융합한 U-Eco City 시범사업 구축방향", 제27차 한일도시개발협력회의 자료집, pp.95-116, 2007.
  21. 문태훈, 차세대 고도 정보화모델도시 구상 및 대응전략 연구, 정보통신부, 2002.
  22. 문태훈, 유비쿼터스도시(U-도시) 구축실행계획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부, 2004.
  23. 서울대학교․UNDP․과학기술처, 생태도시 계획지침, 1996.
  24. 안재성, "U-Eco City와 도시경쟁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53-70, 2007
  25. 양병이 외,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7권, 제5호, pp.27-48, 2002.
  26. 오용준, U-Eco City 계획모델 구축 및 적용방안, 충남발전연구원, 2010.
  27. U-Eco City 사업단, U-Eco City 종합지원체계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2008, 2009.
  28. U-Eco City 사업단, U-City 미래비전과 중장기전략, 연구결과보고서, 2008, 2009.
  29. U-Eco City 사업단, U-기술기반 생태적 도시 공간 조성 융․복합기술, 연구결과보고서, 2008, 2009.
  30. 유수훈, "환경친화적 요소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3권, 제1호, pp.37-44, 2003.
  31. 이계식, "자치단체에서 u-City 구축을 위한 접근법", 지역정보화, 통권 제27호, pp.60-64, 2004.
  32. 이상도, 환경친화적 택지개발 계획지도 및 기준개발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3. 이상문, 이재준, "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수립을 위한 환경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5권, 제5호, 2000.
  34. 이상호, 임윤택, "U-Eco City의 개념과 추진전략", 토지와 기술, 제21권, 제2호, pp.133-167, 2007.
  35. 이상호, 임윤택, "유시티 계획특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5호, 2008.
  36. 이은엽,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의 신생태도시 추진 전략", 토지와 기술, 제21권, 제2호, pp.59-82, 2007.
  37. 이재준, "한국형 생태도시 계획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0권, 제4호, 2005.
  38. 전황수, "유비쿼터스 시대의 새로운 서비스 모델창출 방안 연구",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9권, 제6호, 2004.
  39. 정병주, 2008년 U-City 추진현황과 과제,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8
  40. 정보사회진흥원, U-City 인프라.기술.서비스 모델의 표준화방안, 2006.
  41. 정보통신부, U-City 구현전략, 2005.
  42. 정부만, 한국형 u-City 모델 제안, 한국전산원, 2005.
  43. 조병완, "유비쿼터스 생태도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55권, 제2호, pp.26-32, 2007.
  44. 조용준, 안승주, 장정희, "시민친화형 U-City 서비스 표준 및 수요 조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406-414,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4.406
  45. 주택연구소, 지속가능한 정주지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제도 연구(2), 건설교통부, 1999.
  46. 최남희,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 간의 연계구도와 어플리케이션 체계에 대한 연구",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 제1호, pp.27-38, 2003.
  47. 최남희, "u-도시 패러다임의 구상과 도시공간의 재창조: 유비쿼터스 도시의 개발모델 정립",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5권, 제1호, pp.52-68, 2005.
  48. 최병남, 時空自在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II): 時空自在도시 구현방안, 국토연구원, 2005.
  49. 최봉문, "u-City의 공간개념과 도시건설의 주체별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438-445, 2009. https://doi.org/10.5392/JKCA.2009.9.1.438
  50. 최봉문, "u-City 건설을 위한 개념설정과 공간계획 측면의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pp.80-83, 2006.
  51. 하원규, 이은경, "유비퀴터스 컴퓨팅 비전과 주요국의 연구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17권, 제4호, pp.92-100, 2002.
  5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생태도시 조성 기반기술 개발사업(II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9.
  53. 한국전산원, 한국형 U-City모델 제안, 2005.
  54. 한국전자부품연구원, U-City 산업 및 서비스분류 동향, 2006.
  55. 한국토지공사, 신행정수도 생태도시 조성방안 연구, 2004.
  56. C. A. Doxiadis, Ekis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Human Settlements. 1968.
  57. Sangho Lee, Ubiquitous City: Concept, $\circledR$eMegatrend, and uStrategies, 2011 International Symposium and Workshop on Ubiquitous City(U-City), 28-29 Nov. 2011, Sydney, Austral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