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공간구성 유형

검색결과 392건 처리시간 0.03초

어린이 도서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어린이의 연령 단계별 공간이용 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Spatial Planning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Aspect of Space Use According to the Age Step of Children)

  • 이정미;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77-198
    • /
    • 2005
  •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자를 서비스대상으로 하는 어린이 도서관 및 어린이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류자 점유조사와 행동관찰조사를 통하여 서로 다른 공간유형을 갖는 4개의 어린이실의 어린이와 동반가족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공간구성의 특성에 비추어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를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도서관의 입지 조건과 이용자 속성이 어린이실 면적 규모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어린이실에는 어린이 이외의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는 연령 단계별로 서로 다른 행동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넷째, 각 영역별로 다양한 독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족, 형제 및 친구와 같은 그룹 이용과 단독 이용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체류 장소에서 주로 보이는 행위의 내용과 공간 및 가구의 특성을 공간계획을 위한 키워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 PDF

전시회 구성 콘텐츠가 재방문 및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부산 국제모터쇼를 중심으로- (Ecosystem Configuration and its Structure of Cultural Contents -Focused on Busan International Motor Show-)

  • 민진홍;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97-208
    • /
    • 2010
  • 최근에 와서 전시회는 다양한 유용성으로 인해 질적 양적 성장을 거듭해오고 있는 분야로서 여러 측면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그동안 전시회 연구는 서비스 품질만족, 관람 동기, 기업의 성과 획득 등의 분야에서 집중적인 연구가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연구는 전시장의 시설과 규모 등 전시장 품질의 동질화 및 일반적인 운영 노하우의 증진에 따라 전시회별 차별점을 찾기에 힘든 부분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전시회 기획에 있어 전시회를 구성하는 콘텐츠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4월 29일부터 5월 9일 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전개됐던 2010 부산국제모터쇼의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전시회를 구성하는 콘텐츠별 관객 만족도 및 콘텐츠 유형에 따른 재방문 의사와 추천의사의 확인을 통해 전시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관람콘텐츠와 전시 콘텐츠 등의 만족이 높았으나 재방문 및 추천의사가 높았던 콘텐츠의 유형은 공연, 전시, 참여콘텐츠 등이 였으며 이는 곧 관람자들이 전시회를 단순히 해당 전시품의 관람만이 아니라 마치 축제와 같은 복합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전시 기획에 있어 콘텐츠의 종류(what to do)는 콘텐츠의 전개(how to do)와 함께 보다 관심하게 준비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곧 관람객의 관점에서 볼 때 전시회는 비즈니스 공간만이 아닌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시간과 공간이라고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The Study on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 in the Winners of Landscape Competitions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Designs and the Constructions)

  • 김현희;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8-149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 재현을 위한 합리적 계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의정부 민락 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2008)'와 '화성 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2012)' 당선안의 설계 도판과 조성 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설계 도판에 제시된 텍스트와 평면도,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투시도를 분석하여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과 식재 양상을 파악한 후 조성 현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의 유형은 대상지의 향토 경관으로써 농업 경관, 전통마을의 생활공간, 전통 수(水) 공간, 전통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재현 공간의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주변 토지이용과 지역문화유산이 고려된 전통 테마 공간들을 구성하였으나 조성 시 일부는 근린공원에 요구되는 운동공간이나 편의시설공간으로 변경되었다. 셋째, 재현 시설물의 경우 방지원도(方池圓島), 정자, 화계는 현장에 도입되었으나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시설물은 설치되지 않았다. 넷째, 전통 식재 기법은 마을숲, 방지 내 원도, 화계에 수목을 도입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다섯째, 전문 자료를 토대로 한 주제 선정과 실험적 시설물 디자인 제시 등 전통 재현 작업이 진일보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성 시 실현 가능한 주제 선정, 정보 해석을 위한 전문성, 전통 시설물의 창의적 디자인 등 앞으로 이루어질 전통 재현 작업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짚어보았다.

개방형 공공데이터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Geo-Data Appliance 구현방안 (A Study on Geo-Data Appliance for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f Public Open Data)

  • 연성현;김현덕;이인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71-85
    • /
    • 2015
  • 최근 국가에서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여 민간의 활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정부의 국정운영 패러다임인 '정부 3.0'에 근거한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데이터 플랫폼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공간정보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한 체계 수립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참조유형의 공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텍스트 기반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공간정보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가진 공공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생산기관이 상이한 공공데이터를 연계하여 공간데이터로 가공한 후 완제품 형식으로 제공하는 어플라이언스(Appliance) 시스템의 구성요건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한 초등학교 교실 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 및 필요도 (The Satisfaction and Need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of Elementary School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김영훈;남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69-27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꿈을 담은 교실' 사업을 시행한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분석하고 사용자 측면에서의 만족도와 필요도를 파악하고자한다.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현장관찰조사로 공간 구성과 색채를 조사하였다.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통계프로그램 22.0으로 분석하였다. 공간요소의 만족도는 기술통계분석, 일반교실과 '꿈을 담은 교실'의 만족도 차이는 대응표본 t-test, 계획요소의 필요도(중요도), 만족도의 차이는 One way ANOVA로 검증하였다. 공간은 분리형, 원색의 교실이 가장 많았다. 저학년들을 위해서는 감성적 요소와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중,고학년들을 위해서는 융·복합 요소와 온화하고 은은한 분위기를 선호하였다. 복합형 교실형태에 지역사회와의 소통공간, 적절한 놀이 및 휴식공간을 선호하였다. 이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초등학교 교실 공간계획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공간 개선 방안 (The Design Improvement Plan of Seoul Forest Visitor Centers for Little Children)

  • 김민정;정욱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9-63
    • /
    • 2021
  • 유아숲체험장은 유아가 산림을 체험함으로써 전인적 성장을 이루는 교육 시설이며, 숲이라는 환경에 특정 시설이 설치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숲이라는 환경 자체에서 유아가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숲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론 고찰을 통해 숲체험 효과를 높이는 공간 요소 7가지와 실외놀이공간을 구성하는 6가지 영역을 도출하여 현황 평가를 위한 분석 표를 작성하고 서울시 유아숲체험장 24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유아교육학 관점에서 물리적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 주체의 경험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은 위치적 특성과 공간 구조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별 특징을 갖는다. 개별 유아숲체험장의 환경적 강점을 드러냄으로써 숲체험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야외체험학습장의 경우 운동놀이 영역의 비중이 가장 컸다. 영역별 체험 공간을 고르게 구성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획일적인 시설물 위주의 현황을 숲체험 효과를 낮추는 단편적인 요인으로 볼 수는 없다. 창의적인 활동을 유도하여 숲체험 효과를 높이는 핵심은 주변 자연환경을 고려한 공간 구성이다. 시설물은 유아의 관심이 숲으로 옮겨가도록 돕는 매개체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유아숲체험장의 평균적인 물리적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하였고, 숲체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사업시행 약 10년이 지난 시점에서 유아숲체험장의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농협 연쇄점의 물류체계와 판매활동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by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and Sales Activitie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Chain Stores in Korea)

  • 韓柱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8-277
    • /
    • 2001
  • 농협 연쇄점을 정보화로 인한 商的 유통의 합리화와 재고 집약형 대규모 물류센터의 다극화로 물적 유통 의 집약화가 이루어져 유통의 효율성을 높였고, 수송도 외부수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생활용품과 농산물의 배송방식은 각각 루트배송과 정시 일괄배송으로 상품의 특성에 따라 그 배송권이 형성되었다. 한편 상품 판매활동에 의한 공간적 특성은 답작농업의 발달과 서비스업 취업 정도에 따라 판매 상품류의 구성이 결정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러나 일상생왈 상품인 가공 식품류와 잡화류는 농협 연쇄점이 입지한 지역유형에 영향을 받지 않고 판매된다는 점이 규명되었다.

  • PDF

일본 노인복합시설의 유형별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nior Complexes in Japan)

  • 이은령;소준영;이상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161-171
    • /
    • 2007
  • With a rapid expans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re is a greater demand for the construction of senior complexes. However, due to a land price increase and in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ccommodating such a demand is challenging. Also, as aging progresses, many elderlies tend to be isolated from local community, because of deteriorating health. As a result, constructing senior complexes is becoming an important community project. The construction of senior complexes in Korea has been started since early 2000, so it is still in the beginning stage in Korea. However, in the case of Japan, they have more experience in building such buil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49 senior complexes in Japan were analysed, and the following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1. By classifying senior complexes largely into a complex type with similar facilities and a complex type with different facilities, 12 types were derived. Depending on the types of facilities, basic sharing rooms and selectively sharing rooms by need are suggested. 2. Depending on 4 characteristics, such as spatial composition, entrance type, circulation form, and complex facility type, 17 types of senior complexes we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presented.

현대 공공도서관의 회로경험에 따른 유형분류 및 특성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browsing circuit)

  • 이수경;김용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59-67
    • /
    • 2008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 classification of contemporary public libraries in terms of browsing circuit. In so doing, it is to analyze 21 recently built libraries by using the browsing circuit, the spatial depth and the spatial layout. The study makes use of code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Classification' and 'Frame' suggested by a pedagogist, Basil Bernstein. As a result, it shows that two codes are phased in overseas cases. In other words, one type is a lower depth of space and a high rate of rings with the multi-layer circuits and the three-dimensional circuit of multi-centered. the other type is the higher depth of space and a low rate of rings with the single-layer circuit and the multi-layer circuit of single-centered. In domestic cases, 4 types are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layout are seen as a radial shape and the rate of rings is lower than the overseas cases. It can be said that these results are a transitional phenomenon. For browsing circuit, domestic public libraries would be adapted to the three-dimensional circuit of multi-centered, a lower depth of space and a high rate of rings. By instructions of this plan, the real meaning of a public library will be come true.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현존식생 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 오승환;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30-542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을 위하여 총 119개 조사구에서 수집한 식생 정보를 바탕으로 TWINSPAN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현존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 배열 상태를 파악, 기술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신갈나무-철쭉형, 신갈나무-조록싸리형, 층층나무-산뽕나무형, 신갈나무-까치박달형, 비목나무-찔레꽃형, 졸참나무-산초나무형, 졸참나무-조릿대형 등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고 대개 위도, 해발고도, 성립 기간, 시업 이력, 주변 임분 특성, 교란 정도 등에 따른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림과 주변 잠재자연식생(신갈나무림와 졸참나무림)의 종구성적 유사성을 Jaccard 계수에 의해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갈나무림과는 평균 0.21, 졸참나무림과는 평균 0.32로 나타나 아직 전반적으로 종구성이 이질적인 경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