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성체계

Search Result 5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Generating Alternative Sewers Based on GIS and Simulation Technique (GIS 및 Simulation 기법에 의한 하수도관거 대안 생성)

  • 김형복;김경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5 no.2
    • /
    • pp.185-194
    • /
    • 1997
  • Spatial decision support systems(SDffi), a new class of decision support system(DSS), result from the melding together of GIS and DSS, Planning support systems(PS5) add more advanced spatial analysis functions than GIS and intertemporal functions to the functions of SDSS. This paper reports the development of a planning support system providing a framework that facilitates urban planners and civil engineers in conducting coherent deliberations about the generation of satisficing sewers. 1he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generation of satisficing sewers(PS5/GSS) was designed from the understanding that land use and development drive the demand for storm and sanitary sewers. Through four stages of supply, demand, alternative generation, and evaluation, PSS/GSS integrates basic planning, preliminary design, and engineering design of sewer. GIS and graphic user interface are excellent toolboxes for designing sewer networks, estimating the quantity of wastewater, and showing generated alternative sewers. A sewer model using simulation tedmique can generate an initial sewer. Users can define alternative sewers by the direct manipulation of sewer networks or by the manipulation of parameters in the sewer model. The sewer model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user defined alternatives.

  • PDF

Interpretation Applied Dynamic Symmetry and Module for the Structure Analysis in Art-Work Space (해체적 작품공간의 구조 분석을 위한 다이내믹 시미트리와 모듈 개념의 적용 및 그 해석)

  • 신연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221-234
    • /
    • 2000
  •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space concept of the constructive mode in the work space of the postmodernism artists since 1970s. According to the changing view of the world artists, they are search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the parameter of formative organization on how they are related to the constructive system which represents the work styles. First, this study searches for the theoretical approaches of the constructive system and parameters that were studied by Le Corbusier - the module concept as the meaning of order system being used for the basic formative construction Second, when it is regarded as a formative construction in making art as the'principles of organization'(the law of living form), which was defined by Suzanne Langer in the formative theory as the organized structure shown in growth structure in mu and ecological system,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module rules were arthmetically analysed art-work space through the dynamic symmetry of Jay Hambidge.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principles working on the parameters for new formative organization as follows: First, the module in the work space should be designed and built from the dynamic symmetry. Second, the module should satisfy the human needs that it must be acceptable, efficient, flexible, which are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dynamic symmetry. Third, the dynamic symmetry which has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the principle of Complement as its primary construction principle has the common properties and the reciprocity in the construction of the work space and when it has the self similarity, it segments organically the total space without damaging the continuum.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ystem of Exhibition Contents and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in Nature & Science Museums (자연과학계박물관의 전시내용구성체계와 공간구조 상관성에 관한 연구)

  • 임채진;정성욱;신혜진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41
    • /
    • pp.180-189
    • /
    • 2003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system of exhibition contents and structure of exhibition space in nature and science museums. So, in this paper it deals with 10 examples of overseas nature and science museums as analytical objects, using Space Syntax as an analytical tool. In conclusion, the system of exhibition contents of nature & science museums can be divided into field and theme, and subdivided into total 6 systems according to categorization and integration. The system of exhibition contents by field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unconstricted access and system of exhibition contents by theme is generally marked by high visual openness. And the system of exhibition content according to categorization is characterized by strong concentration on exhibitory convex and its wide distribution.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Spatial Information Network based on GIS (인터넷 기반의 공간정보유통망 성능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 Jin, Heui-Chae;Si, Jong-Yi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 no.1 s.1
    • /
    • pp.29-37
    • /
    • 1999
  • Recently, brisk up th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information, many people highly concern to tile information circulation of GIS. Each system like GIS has a structure of the information circulation to itself. In this paper, we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ile structure which to circulate tile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internet. To do this, we hypothesize values of content and scale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on each internet network and volumes of the information to circulate between internet networks. Then we suggest a metho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tructure to aid the circulation of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queueing model. Henceforth, with the volumes of data stored and circulated information of each GIS, this method can help to design the structure to circulate the GIS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in Road and River Field (도로 및 하천분야 BIM 속성분류체계 개발방안 연구)

  • Nam, Jeong-Yong;Kim, Mi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2
    • /
    • pp.773-784
    • /
    • 2019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BIM information systems are spreading to civil engineering fields as a link to this technology. Accordingly, the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is announcing a technical policy to introduce the BIM information system into the construction sector from 2020. Usually, SOC-related facilities are complex,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BIM without a standards framework.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urgent to develop a BIM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In this study, the BIM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link the previously developed object classification system by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prior studies and working standards. This includes property information of businesses, facilities, parts of facilities and components that correspond to the level of object composition in the road and river sectors. It also suggested ways to apply expansion to various SOC areas and to organize spatial information by fac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pplied to road facilitie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building. The development of the BIM Standards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this R&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T by providing conditions for convenient modeling and information system.

컴퓨터 대수체계(CAS) Module이 포함된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 -연립 일차방정식과 이차함수를 중심으로, Casio fx2.0-

  • Heo, Man-S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505-517
    • /
    • 2000
  • 수학 학습에서 컴퓨터와 계산기의 활용은 시각화의 강화로부터 직관력과 사고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컴퓨터 대수체계(Computer Algebra System)가 탑재된 수학 학습용 컴퓨터 프로그램과 계산기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교수매체로서의 활용은 지식 정보전달 체계와 학습자의 지식 구성방법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다. 특히 수학학습용 그래픽 계산기(Graphing Calculator)는 휴대형(Hand-held Technology)으로 학습공간의 이동(Mobil Education)이 가능하며, 수학학습 전용기라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는 계산기를 가지고, 기호연산 실행 조작을 통해 자신의 사고과정을 표현하고, Symbolic Graphing Calculator는 실행 조작에 즉각적으로 과정과 결과를 제공하며, 다른 표상과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의 규제가 강화된 과정을 통해 지식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지식 정보전달 체계인 대화형 실행매체(IMTs)를 작성하여 학습자의 지식 형성에 안내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워크샵에서는 CASIO fx 2.0을 활용한 교실 수업모형을 그래프 표상과 연계한 방정식의 풀이과정을 통해 알아본다.

  • PDF

New Address Assignment System based on Road Using GIS (GIS를 활용한 도로중심의 건물주소 부여시스템)

  • 이미란;조정관;김부영;옥철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20-12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토지지번 중심의 현행 주소체계를 도로 중심의 새로운 주소체계로 변환시키기 위해 시스템 설계의 기본원칙을 설정하고, 건물과 도로의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리정보시스템(GIS)를 활용하여 신주소변환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는 도로중심선과 건물좌표의 직교점을 찾아 도로기점과의 거리에 따라 건물번호를 부여하고, 도로와 골목길에서의 건물번호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부여하여 차별화된 주소체계를 유도하였다. 특히, 도로내의 골목길은 네트워크로 구성된 위상관계를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Development of Integrated Spatial Information Identifier for Developing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식별자 개발)

  • Song, Myung Su;Song, Sang Cheol;Jang, Yong Gu;Lee, Sung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1-17
    • /
    • 2012
  • The study aims to secure an integrated UFID system-based ID system as it defines the three-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through selection and standardization of objects. By comparing the integrated ID system secured by the study and the objected ID system proposed by Seoul City, the study came up with practicality of the integrated ID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information system. An integrated UFID-based intellectual spacial information which is consisted of 41 figures in total was developed by the study. The study confirmed the practicality of the integrated ID system by comparing it with the objected ID of the three 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information system established by Seoul City.

Resident Friendly River Management: Focusing on Performance Indicators (주민 친화적 하천관리 방향: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 Jo, M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9-9
    • /
    • 2020
  • 하천공간은 홍수방어와 용수사용을 위한 수자원관리 측면의 공간에서 벗어나 국민들의 삶의 질 제고와 이용편익, 생활환경의 중심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민의 하천에 대한 눈높이가 상승하고 있음에도 하천공간이 주는 여러 가치에 대해서는 학술적 검토가 미진하였으며, 그에 따라 정책에도 제한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요인분석 등을 통해 주민 입장에서 부여할 수 있는 하천의 다면적 가치를 식별하고 주민친화적 관리를 위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가 개발하고자 하는 성과지표 체계는 기존 방식대로 객관화·정량화가 불가능한 주민의 정성적·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관련된 각종 선행연구 및 도로 등 타분야 사례, 일본 등 해외 사례 등을 종합하여 하천의 4가지 사업부문인 치수, 이수, 환경, 친수를 모두 포괄하는 지표체계안을 구축하였다. 다만 본 연구가 주민친화적 하천관리를 목적으로 하므로 상대적으로 환경·친수 부문 지표의 비중이 높았으며, 총 지표 개수는 25개로 도출하였다. 도출한 지표체계안을 바탕으로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표체계를 재정리하였다. 요인분석법은 학술적·실무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PCA 추출법과 Varimax 회전법을 채택하였으며, KMO 및 Barlett's 검정법을 활용하여 자료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하천 부문 주민만족 요인은 3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를 각각 '최소친수기반요인', '안전·청결기반요인', '친수활동지원요인'으로 정의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개 영역, 6개 세부 영역,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성과지표 체계를 도출하였다. 마련된 성과지표의 항목별 중요도를 전국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영역 중에서는 '안전·청결기반요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징적으로는 CCTV, 장애·위험물 제거, 수질·공간청결성, 공공화장실 만족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지역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을 사례지역으로 성과지표를 비교한 결과, 국가하천의 성과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최소친수기반요인' 영역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a Potentiality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in Urban Information System (도시정보체계의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연구)

  • 고광철;민경옥;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261-267
    • /
    • 2003
  • 사회의 빠른 변화 속에서 지자체가 처리해야 할 정보의 양과 행정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의사결정과 기획을 위한 정보망과 정보시스템의 활용 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는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도시정보체계(UIS)의 구축은 의사결정의 효율적인 도구로 각광받아 대다수 지자체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행정업무의 70~80%가 공간정보와 연계되어 있다는 막연한 기대감에서 출발한 현재의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은 단지공간정보 관리 중심의 시스템 개발에 치우치게 되었으며, 시설물 관리 분야에 대한 사업을 이미 수행한 지자체에서는 향후 어떠한 사업들을 전개해야 할 지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비전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 아닌가라는 우려를 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보체계(UIS)의 새로운 비전 수립을 위해서는 막연하게 제시되고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을 보다 세분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지자체 도시정보체계(UIS) 구축사업의 현재를 돌아보고 보다 발전적인 새로운 사업추진의 시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업무영역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공간정보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공간정보를 업무관점, 업무-정보산출물 관점, 데이터구축관점, 정보관점, 서비스관점으로 세분화여 하여 접근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공간정보 관련성 분석 모형을 구성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도시정보체계(UIS) 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간적 개념의 변화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GIS의 발달단계에 따라 어떠한 부분에 비중을 둔 사업의 추진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설물 관리 중심의 도시기반정보화에 편중된 도시정보체계의 구축사업의 시각이 행정정보화, 생활정보화, 산업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보다 큰 시너지 효과와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beta}$-glucan은 고용량일 때 직접적으로 또는 $IFN-{\gamma}$ 존재시에는 저용량에서도 복강 큰 포식세로를 활성화시킬 뿐 아니라, 탐식효율도 높임으로써 면역기능을 증진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효과는 crude ${\beta}$-glucan의 추출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eveloped. Design concepts and control methods of a new crane will be introduced in this paper.and momentum balance was applied to the fluid field of bundle. while the movement of′ individual material was taken into account. The constitutive model relating the surface force and the deformation of bundle was introduced by considering a representative prodedure that stands for the bundle movement. Then a fundamental equations system could be simplified considering a steady state of the process. On the basis of the simplified model, the simulation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뢰, 결속 등 다차원의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와 최근 제기되고 있는 이론의 확대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간의 개념적 분류, 차이의 검증, 영향력 등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