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교육 국제화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8초

전환기 미얀마 정치사회변화와 신(新)고등교육 개혁: 정책·지식·권력의 역동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Policy-Knowledge-Power Dynamics in Higher Education Reform in Transitional Myanmar)

  • 홍문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135-1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얀마의 정치 사회변화 속의 고등교육 개혁을 중심으로 첫째,개혁개방이후 고등교육 개혁의 과정을 소개하고, 둘째, 미얀마 개혁개방 시대(1988년~2015년)와 신(新)민주정부시대(2015년~현재)의 고등교육 정책의 내용을 비교 분석하며, 셋째, Thein Sein 정부와 Aung San Suu Kyi 문민정부의 고등교육 정책개혁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지식-권력의 역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규모의 국제정책협력의 과정으로 수립된 교육분야종합검토(CESR) 및 신(新)국가교육전략 2016~2020(NESP)은 '미얀마 고등교육 거버넌스 및 교육 질과 적절성 개선에 집중하여 향후 5년간 고등교육 법, 정책, 전략, 환경, 역량차원에서 야심찬 개혁을 진행한다'는 목표를 선정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제공동작업으로 진행된 본 교육개혁안 수립은 미얀마 고등교육의 지형, 구조, 주요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에 큰 변화를 나았다. 현재 결과로 표출되고 있는 연방교육부-고등교육부-대학차원의 교육권력 구조재편은 미얀마 교육의 민주적인 거버넌스 구축에 중요한 첫 단계를 시작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는데, 특히 수십 년간 외부와의 교류가 단절되었던 미얀마 교육전문가들에 '국제적인 수준'의 교육정보 및 지식에의 접근성을 높이고 국내외 교육이해관계자간의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결정적 계기를 제공하였다. 본 교육정책 수립을 계기로 국제적인 지식, 경험, 막대한 재원을 보유한 다자금융기구, 국제기구, 양자기구 및 국제전문가들은 미얀마 교육개혁의 주류담론으로 고등교육 교육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및 기술화(Technocratization)의 논의를 안착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하였다. 이와같은 미얀마의 교육개혁의 정책담론은 미얀마 지식인, 대학생 그리고 시민사회 등의 교육주체들의 참여가 구조적으로 제한된 본 교육개혁의 권력구조 속에서 군사정권 하에 체계적으로 파괴된 미얀마의 대학사회의 재건 및 미얀마의 신(新)교육철학 수립 등의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비판의 견지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의 교육개혁의 방향성, 목표, 우선순위 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권력의 역동에 대한 이해가 이제 한 국가 단위의 분석을 넘어 국제-국가-지역차원의 다면적이고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 국제 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Quality Assurance Systems in International Students' Education: Australia, Canada, the Netherlands's Cases)

  • 변수연;변기용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1-29
    • /
    • 2014
  • 본 연구는 호주와 캐나다, 네덜란드 등 우리보다 외국인 유학생 교육에 적극적인 자세로 참여해 온 국가들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기관 인증제의 세부 특징들을 고찰하고 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교육 질 보장 체계 확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수행되었다. 3개국의 사례 비교 분석 결과, 3개국 모두 규제 중심의 과거 자세에서 벗어나 보다 상업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생의 유치와 효과적인 교육을 인증제의 주된 목표로 삼고 있었고, 이같은 목표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기관의 교육 역량 및 서비스 능력 개선이 인증제의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국제화라는 추세가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변화임에는 분명하지만 적어도 인증제에서는 국제화 자체가 질 보장의 목표와 동일시되지 않는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올해 시행 4년차에 돌입하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역량 인증제'의 정책 목표를 분명히 하고 교육기관들의 실질적인 교육 역량 강화를 유도할수 있는 정량·정성적 평가기준을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2009 개정 수학교육과정과 IBDP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서 비교 연구 - 고등학교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Textbook Betwee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IB Diploma Program - The case of high school Algebra -)

  • 양현주;좌준수;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3호
    • /
    • pp.391-421
    • /
    • 2015
  •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인터넷의 활성화 등을 통해 전 세계가 활발한 상호 교류를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사회 변화의 결과 세계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흐름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도 달라지고 있으며 우리의 교육도 국제교육 즉, 글로벌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수학교육의 측면에서도 우리나라의 인재들이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안에서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현실화하는 방안의 하나인 국제 공인 교육과정 IBDP(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이하 IBDP로 표기)와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 중 중요한 부분인 대수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및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IBDP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 중 수학 상급과정(Mathematics Higher Level: 이하 HL로 표기)단계를 선택하였으며 각 교과서에서 다루는 대수영역에 관한 내용의 범위 및 깊이, 문제의 수준 그리고 개념을 설명하는 방식이나 문제의 유형 및 교수-학습 방법 등을 분석하여 단원별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대학 영어강의 정책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ollege English-Medium Instruction Policy between China and Korea)

  • 고장완;위옥정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1-25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대학영어강의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이에 따라 양국의 영어강의 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영어강의의 도입 및 확대 배경과 현재적 상황을 살펴보았으며, 두 국가 간 영어강의 정책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중국과 한국은 모두 지난 2000년대 초부터 고등교육 국제화의 일환에 따라 정부주도로 영어강의를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는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이중언어 전문가의 양성을 목표로 특정 과목을 중심으로 대학영어강의가 시작한데 비하여, 한국의 경우는 외국학생유치와 대학국제화를 목표로 영어강의를 추진하였다. 또한 중국의 경우는 주로 정부가 정책을 유도하고 대학은 이를 추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면, 한국은 정부의 정책과 함께 대학들도 이에 동조하며 대학영어강의 확대를 추진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양국의 대학영어강의 정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중국의 경우는 영어강의를 위한 교수자 또는 교재나 수업자료 등이 제대로 준비될 필요가 있으며, 한국의 경우는 영어강의의 무분별한 확대보다는 적합한 과목을 중심으로 시행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양국 모두의 경우 영어강의의 진정한 목적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영어수업을 위한 학생과 교수자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국내 대학원 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 변유량
    • 미생물과산업
    • /
    • 제13권2호
    • /
    • pp.15-17
    • /
    • 1987
  • 현재 우리나라 대학원생 수는 약70개 대학에 6만여명에 달하여 학부학생에 대한 비율은 약 8%이다. 이와같은 대학원생의 양적확대는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는 많은 우려도 있으나 아무튼 대학원 교육이 도약의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늘날의 사회발전과 산업의 고도화를 담담하는데 필요한 고급인력, 특히 연구개발 부분의 국제 경쟁력 강화하기 위한 연구인력과 고등교육의 확충에 따른 교수를 비롯한 학자를 양성하여야 하는 대학원의 국가적 사명은 매우 크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의 대학원 교육이 과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기대하는 고급인력의 구실을 할 만큼 충분한 질적 수준에 도달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교육에 임하고 있는 교수는 이러한 기대 역할을 수행하기에 미흡한 상태이며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허다하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동안 우수한 많은 인재들이 국내 대학원보다 해외 유학의 길을 택하였고, 고급기술인력을 주로 해외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의 손으로 우리의 고급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는 자각이 각 학문분야와 산업계에서 열도 높게 일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연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오늘날 우리 대학원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한정된 지면에 일일이 열거할 수 없으며 필자가 평소 느끼고 있던 몇가지 근본적인 점만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87-393
    • /
    • 2024
  •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중에서 상업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불안, 진로스트레스, 진로정체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를 준비하고 있는 상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로불안이 높아질수록 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불안은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을 통하여 진로준비를 위한 행동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평등의 관점에서 본 아시아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 (Future Scenarios of Asian Universities in a view Point of Equality)

  • 류청산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53-70
    • /
    • 2014
  • 이 연구는 아시아 지역의 대학들이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를 구안하여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국의 미래학자들은 2002년에 휴스턴 대학에서 하먼의 '팬시나리오 기법'을 응용하여 고등교육의 미래를 예측하였다. 2015년까지 많은 대학들이 '사이버 대학'의 기능을 강화할 것이며, 2020년까지는 대학에서 교재가 사라지게 될 것이며, 2025년까지는 행정 중심으로 편성되어 있는 '학사 일정이 사라지는 대학'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2025년 이후에는 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진학하여 공부할 수 있는 대학으로 변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2030년 이후가 되면 캠퍼스 기반의 대학 강의실 수업은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기법은 한국 대학의 미래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활용되었다. 이 시나리오는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개성과 수월성이 강조되는 학습자 관점, 이윤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기업의 관점, 복지와 평등성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정부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예측모델 3개와 대안모델 4개를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의 대학들은 기억력에 기반을 둔 인지 중심의 교육 비중을 줄이고 의식과 감성에 기반을 둔 실무능력을 키우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제간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특성화 교육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아시아의 대학들은 미국과 유럽의 대학들에 비해 자신들만의 강점요인을 심층 분석하여 찾아낸 다음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을 특성화해 나가야만 미래에 생존할 수 있다. 아시아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동양의학'과 서양 학문의 총화인 '정보공학'의 융합은 아시아 대학을 경쟁력 있게 특성화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하되 서양의 대학들과는 달리 좁은 토지에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아시아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평등성이라는 관점에서 예측모델 1개와 대안모델 3개를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학술지 내용분석법에 의한 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 이명희;김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100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두 학술지에 10년 동안 발표된 연구논문 913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발표논문 수와 연구주제별 발표논문 경향, 연구행태, 연구자 및 공동연구자의 수와 소속, 연구방법, 연구비 지원유무 및 지원기금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행정과 고등교육 분야의 논문발표는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교육학 연구"에서는 기초학문적인 연구가, 그리고 "한국교육"에서는 정책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 조사연구, 실험연구, 사례연구 등의 순서로 사용되었지만 실험연구가 널리 사용되는 연구방법임이 밝혀졌다. 연구수행 행태에서 67%의 연구가 단독연구이며, 85%의 연구가 교수와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인 교육분야 연구, 국제지표와 현안에 대한 비교연구, 방법론의 정교화, 연구 분석단위의 다양화를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베트남 유학생들의 행복한 대학생활 적응 방안 - 생활·경제, 복지 환경, 대학 전공 교육, 언어 연수 설문 조사를 기반으로 - (Way to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Life in Vietnam Foreign Student Abroad - Based on a Survey of Living, Economic, Welfare Environment, University Major Education, and Language Training -)

  • 박종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95-504
    • /
    • 2019
  • 2000년대 이후 국내 외국인 유학생은 크게 증가하였다. 2010년대 후반 정부의 고등교육 국제화 전략으로 인해 2019년 현재 외국인 유학생 수는 14만 명이 되었으며, 2023년에는 20만 명에 이를 전망이다. 우리 사회의 국제화와 인구절벽의 사회적 문제 앞에 외국인 유학생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인 일이며, 앞으로 이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은 상당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최근 한국에서 유학하는 베트남 유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에 대해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베트남 유학생들의 행복한 유학생활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에 유입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도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행복한 유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활·경제, 복지, 교육 등의 측면에서 함께 노력해 가야 할 것이다.

상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Care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ing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49-455
    • /
    • 2023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적응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들 중에서 경기 및 충청지역 상업계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성과 심리적안녕감과의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상업교육에서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지도 및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