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 유역

Search Result 46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stim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Pollutant Delivery Rate of Sapkyo Reservoir (삽교호의 오염물질 유달률 산정 조사 및 평가연구)

  • Lee, Youngshin;Shin, Sanghee;Lee, Tae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4
    • /
    • pp.29-3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liver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oad of pollutants by calculating the delivery rate of targeted areas on pollutants in Sapkyo reservoir. The main rivers of Sapkyo reservoir are Namwoncheon, Dogocheon, Sapkyocheon, Muhancheon and Gokgyocheon. The delivery rate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five major rivers during rainfall season are investigated. As th result,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ous (T-P) of total delivery rate are calculated by 0.40, 0.34 and 0.08,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e of T-P compares to other water quality is investigated relatively low. Looked at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shed, the delivery rate of T-N and T-P is little change in the rate of the year, too. The delivery rate of T-N is calculated from 0.2 to 0.3 in the dry season, and from 0.31 to 0.39 in a flood,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e of T-P is calculated to more than 0.3 in the dry season, and 0.11 in a flood. It is similar values which the average annual delivery rate of T-P is 0.08. Therefore, the measured delivery rate of Sapkyo reservoir can be applicable such as a delivery rate of similar features of the terrain and land use.

Evaluation of Available Water Resources of Soyang Reservoir and Chungju Reservoir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가용수자원 평가)

  • Choi, Sung-Gyu;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7-151
    • /
    • 2007
  • 인위적인 온실가스 증가의 영향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전 지구적인 온난화 추세를 상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및 집중호우의 증가 추세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여 가용 수자원의 변동이 커지고 있다. 추가적인 댐 건설이 어려운 상황이고, 댐 운영의 불확실성에 의한 현실적인 운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보수적인 댐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한정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예측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연구소에서 개발된 A2, B2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다목적댐에서의 용수공급능력의 변화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대규모 유역의 대표적인 다목적댐을 선정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유입량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저수지 모의운영 기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각 댐의 신뢰도 95% 용수공급능력과 예상발전량을 산정함으로써 가용수자원을 평가하였다. 또한 다목적댐의 과거 실적 유입량 자료를 이용한 모의운영 결과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과거 실적에 의한 결과와 비교할 때,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향후 국내 가용 수자원량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로부터 댐 운영에 있어서 홍수기의 안정적인 댐관리와 갈수기의 적절한 수자원 분배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저수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유역의 수자원 영향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댐의 순기능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댐별 방류량을 변동하여 하류 주요지점에 미치는 유황개선효과를 정량화하였다. 마지막으로 댐의 효율을 최대화한 하류확보가능하천유지유량을 월별평균량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오염총량제 기준유량 및 환경용수의 법제화를 통한 하천유지용수의 증가시 비구조적 대책의 공급가능 최대량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다. 5. 초장의 절대치는 품종간에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조파구간에는 초장에 큰 변이가 없었고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짧아졌다. 초장의 신장속도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현저하게 빨라지고 특히 조생종이 만생종보다 더욱 가속적인 경향이었다. 따라서 최고초장과 최저초장과의 절대치의 차이는 조생종일수록 적고 만생종일수록 큰 격차를 보이었다. 6. 간직경에 있어서도 만생종은 일반적으로 조기파종할수록 굵고, 조생종과 중생종은 4월 25일 파종기가 가장 굵은 편이며 이보다 파종기가 지연 가늘어지는 경향이었다. 7. 간중은 품종의 조만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적기(4월 25일~5월 15일)보다 조기 혹은 만기 파종하면 작아지나 파종기 이동에 따른 간중의 변화는 품종의 조만성에 따라 양상을 달리하여 조생종은

  • PDF

Application of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to Urban Water Simulation using TREC Method (TREC기법을 이용한 초단기 레이더 강우예측의 도시유출 모의 적용)

  • Kim, Jong Pil;Yoon, Sun Kwon;Kim, Gwangseob;Moon, Young 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5
    • /
    • pp.409-423
    • /
    • 2015
  • In this study the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and storm water forecasting using the weather radar data were implemented in an urban stream basin. As forecasting time increasing, the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creased and the root mean square error was increased and then the forecasting model accuracy was decreased. However,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up to 60-minute forecasting time is maintained 0.5 or higher was obtained. As a result of storm water forecasting in an urban area, the reduction in peak flow and outflow volume with increasing forecasting time occurs, the peak time was analyzed that relatively matched. In the application of storm water forecasting by radar rainfall forecast, the errors has occurred that we determined some of the external factors. In the future, we believed to be necessary to perform that the continuous algorithm improvement such as simulation of rapid generation and disappearance phenomenon by precipitation echo, the improvement of extreme rainfall forecasting in urban areas, and the rainfall-runoff model parameter optim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urban stream basin, but also we obtained the observed data, and expand the real-time flood alarm system over the ungaged basi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development of as multi-sensor based very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technology.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peration of Movable Weir (가동보 운영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분석)

  • Seo, Il Won;Park, Sung Won;Kim, Tae-Wo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01-101
    • /
    • 2011
  •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4대강 살리기 사업'은 하천에서 발생하는 홍수 및 가뭄재해방지를 위한 다양한 공학적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안정적인 수위 및 유량확보와 홍수방지를 위한 보(weir)가 4대강 유역에 16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보 구간에는 고정보와 가동보가 복합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며 가동보는 그 형상과 운영방식에 따라 다양한 설계방안이 적용되었다. '4대강 살리기 사업' 중 낙동강 23공구의 강정보 공사 구간에는 원호형태의 측면 형상을 갖는 라이징 섹터게이트(Rising sector gate)가 적용되었다. 라이징 섹터게이트는 구조물의 높이가 낮고 수문의 개폐장치가 수문피어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경관이 우수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비체와 수류의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4개의 공사구간에 적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정보의 가동보 구간 2문 중 1문을 1/100 축척으로 제작하여 가변경사 개수로에 설치하고, 홍수 빈도별 상류 유량 조건과 하류단 수위조건으로 케이스를 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개수로 장치는 너비 0.6 m, 높이 0.8 m, 그리고 길이 15.0 m(측정가능 구간, 헤드탱크와 테일게이트 부제외)의 개수로 실험장치이다. 측부는 모두 강화유리로 되어 육안관찰 및 계측 시 용이하게 제작되었으며, 순환식 유량 공급장치를 구축하여 수로의 하부에 설치된 유량탱크로부터 계속적으로 순환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수로 하단으로부터 상단방향으로 약 33 m 지점에 전동 유압식 Jack screw 2기가 설치되어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유량조절용 판넬의 제어기판에는 디지털 경사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경사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보 모형의 총연장은 53 cm이며 폭은 45 cm이다. 섹터게이트의 게이트부분은 직경 15 cm로 설계하였다. 문주부분을 포함한 모든 모형은 아크릴로 제작하며 레이저의 주사를 방해하지 않으며 투과율을 최대로 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아크릴을 가장 얇게 하여 중공형태를 채택하였다. 실험조건은 우선 보의 운영방안에 따라 게이트의 4가지 개방도를 설정하였고, 특히 평수위조건에서는 보의 상류부에 퇴적된 퇴적물의 세척을 위한 flushing 운영개방도 포함되어 있다. 홍수시에 대한 유량조건은 2년 빈도에 해당하는 유량을 수문의 비율과 상사법칙에 따라 설정하였으며 하류단 수위조건도 동일한 조건에 대한 값을 채택하여 적용하였다. 유동장의 해석을 위해서는 비접촉식 계측방법인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시스템을 채택하여 2차원(x-z 방향) laser sheet를 생성하고 주입된 particle에서 반사된 변위(displacement) 정보를 상호상관(cross-correlation)기법으로 유동장을 계산하였다. 또한 수리모형과 동일한 지형격자를 구축하여 3차원 CFD 프로그램인 FLOW-3D로 계산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특히 flushing 운영방안에 대한 게이트부의 개방도를 세가지(30, 45, $60^{\circ}$)로 구분하여 모의하였고, 적절한 개방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는 우선 4가지 운영방안에 대한 가동보 주변에서의 유속장을 파악하였고, 최대유속의 발생위치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른 보의 바닥에서 최대유속이 발생할 경우, 하상보호공 위치와 거리 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동보 운영에 따른 다양한 유속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며 구조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검증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가동보 운영방안 중 수세효과(flushing effect)에 대한 효과분석을 위해 게이트부 상류구간에 적절한 입경과 비중의 퇴적물질을 설치하는 연구와 상류부에서의 유입유사농도 및 시간변화에 따른 퇴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 PDF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Sediment Discharge Measurement in Mountain Stream using the Load-cell Sensor (Load-cell Sensor를 이용한 산지 토사유출량 계측의 현장 적용성 검토)

  • Seo, Jun-Pyo;Lee, Ki-Hwan;Kim, Dong-Yeob;Woo, Choong-Shik;Lee, Chang-Woo;Lee, Heo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
    • /
    • pp.644-653
    • /
    • 2018
  • Landslides occur frequently due to the effects of heavy rainfall and typhoons caused by climate change. Erosion control measures are needed to effectively prevent landslide damage. In order to improve their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sediment discharge from the mountain stream. In this study, a load cell sensor was installed in a mountain stream and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applicability and load test type in the mountain stream. The result of the load test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loading type (load test 1, 2) was low at average (loadings) of 0.4kgf and 0.6kgf at sites 1 and 2, respectively. The load factor was also derived by regression analys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oad factor (normalized) to the load-cell measurement value, the output value increased by 14.8% and 24.6% in sites 1 and 2, respectively, and was calculated to be similar to the reference value. The load cell sensor enabled us to quantitatively estimate the amount of sediment discharge in the mountain stream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with the water level and rainfall information. If the monitoring is carried out for a long time, it can be used to find the sediment discharge mechanism for the mountain stream. In addition, applying sensors such as load-cells to a mountain strea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such as the manufacturing of measurement sensors.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iver water intake u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pumping station (양수장의 가동시간을 이용한 하천수 취수량 산정방안 연구)

  • Baek, Jongseok;Kim, Chiyoung;Cha, Jun-Ho;Song,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2
    • /
    • pp.89-96
    • /
    • 2020
  • Water management agenci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duce and accumulate qualified basic data for major rivers. Howeve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river water has been weak since the artificial water circulation process, such as the intaking and drainage of agricultural water,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basin, which includes many agricultural land.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the power usage method (operating time method) based on the running time can be applied and improved among indirect flow rate measurement methods used to investigate flow rates collected by the riverside for agricultural water purposes, and thus the resultant data of high reliability can be obtained at low cost. The operation time method is suitable for small-scale water pumping st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secure real-time power supply data. The reliability of the data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actual flow rate, and it was found that the flow rat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time method reflecting the level of the stream to which the inlet of the pumping station is connected can be reasonably matched with the actual flow rat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vestment cost at the time of initial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was highly efficient by generating qualified flow data at low cost through comparison with direct flow rate measurement methods. If flow data is secured by applying the operation time method to large and small water farms located along the riverside, it is expected that more quantitative and integrated stream water management will be possible.

The Water Quality Analysis on Climate Change and Dam construction (기후변화와 저수지 건설에 따른 수질분석)

  • Kim, Dong-Il;Choi, Hyun-Gu;Park, Tae-Wo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3-193
    • /
    • 2011
  • 국제기구인 정부간 기후변화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이하 IPCC)에서는 기후변화가 기온 상승에 따른 증발산량의 증가, 강수량 및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의 변동 등을 초래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IPCC 4차 보고서에 따르면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현재보다 최대 $6.3^{\circ}C$정도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전구평균기온이 $3.0^{\circ}C$ 증가할 경우 아시아에서만 연간 700만 명이상이 홍수피해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기온은 전구평균기온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1.5^{\circ}C$ 정도 상승하였으며, 최근 50년간의 강우일수는 감소한 반면 일강수량이 80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발생빈도는 증가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의 물수지 해석과 관련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기온 및 강수량 증가에 따른 물순환 과정을 모의하고, 농업용수, 댐건설, 도시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 인위적인 환경 변화 및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량의 변화를 정량화하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한국건설기술원, 2007). 이를 위하여 단기적이 아니라 장기적인 측면에서 유출분석을 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까지 보유하고 있는 실측 자료의 한계 및 이러한 조사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의 한계 때문에, 유출해석 모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 건설예정인 미계측 호소의 유량과 수질을 모의하기 위하여 하천, 하구, 호소 및 해역에 고루 적용할 수 있는 3차원 수리 동력학적인 모델인 EFDC 모형과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질을 모의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하는 WASP 모형을 도입하였다. 향후, 내성천의 영주댐 건설과 같은 큰 변화가 발생하였을 기후 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EFDC와 WASP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한 유출량과 수온의 변화를 통하여 A2, B1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2020년, 2050년, 2080년의 수질(BOD, TN, TP)변화를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EFDC 및 WASP 모형의 연계를 통한 기후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저수지 수질예측 모의를 수행한 결과, BOD, TN, TP 등 수질농도 변화는 2020년에서 2080년도로 갈수록 BOD, TN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TP농도는 감소하였다. 시나리오별 변화 특성은 TN, TP 농도는 A2 시나리오가 다소 높고, BOD 농도는 B1 시나리오가 A2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EFDC와 WASP을 이용하여 미계측 호소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별로 적용하여 수질변화를 예측하여 보았는데,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유량변화와 수질 항목간의 상간관계 정립 및 수질 모의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body Detection from Sentinel-2 Images Using NDWI: A Case of Hwanggang Dam in North Korea (Sentinel-2 기반 NDWI를 이용한 수체 탐지 연구: 북한 황강댐을 사례로)

  • Kye, Changwoo;Shin, Dae-Kyu;Yi, Jonghyuk;Kim, Jingyeom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1
    • /
    • pp.1207-1214
    • /
    • 2021
  • In thisletter, we developed technology which can exclude effect of cloudsto perform remote waterbody detection based on Sentinel-2 optical satellite imagery to calculate the area of ungauged reservoirs and applied to the Hwanggang dam reservoir, a representative ungauged reservoir, to verify usability. The remote waterbody detection technology calculates the cloud blocking ratio by comparing the cloud boundary in the Sentinel-2 imagery and the reservoir boundary first. Next, itselects data whose cloud blocking ratio does not exceed a specific value and calculates NDWI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with selected imagery. In last, it calculatesthe area of the reservoir by counting the number of grids which have NDWI value considered as waterbody within the boundary of the target reservoir and correcting with cloud blocking ratio. To determine cloud blocking ratio threshold forselecting image, we performed the area calculation of Hwanggang dam reservoir from July 2018 to October 2021. As a result, when the cloud blocking ratio threshold wasset 10%, we confirmed that the result with large error due to clouds were filtered well and obtained 114 results that can show changes in Hwanggang dam reservoir area among 220 images.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ector Well on the Landcreep Slope (땅밀림 비탈면내 집수정 설치 효과 연구)

  • Jeon, Byeong Chu;Lee, Su Go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2
    • /
    • pp.123-13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ollector well installed to reduce groundwater level in the regions with the occurrence of landcreep, a soil mass movement triggered by instability on slopes. Slopes are prone to failure as a result of instability caused by its internal, topographic and geological properties as well as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rainfall and earthquake. In Korea during the rain season, rainfall infiltration affects the groundwater level in soil, building up porewater pressure and load, and finally drives slopes to collapse. Slope failure caused by rainfall infiltration has been leading to a drastic forest degradation. The studied slope is located adjacent to a valley, its terrain corresponds to piedmont gentle slope, while the upper part of the failure surface is steep. After reinforcing the terrain where landcreep had occurred and installing collector well on the slope, we measured the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ll and the slope, we calculated the ratio of groundwater level to rainfall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ollector well.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ratio increase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well, which in turn reduces the groundwater level. Analysis of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after 3, 7, 15 days antecedent rainfall showed that the higher the overall groundwater level, the less the value ($r_p$) of groundwater level-rainfall ratio is, while the value becomes relatively greater when the groundwater level is low. In particular, if a slope has a large catchment basin as is in the case of the studied site, antecedent rainfall affects groundwater level in the order of 3 < 7 < 15 days.

Measures to improve the DEM using SAR images in the river corridor (합성개구레이더 영상을 이용한 하천내 DEM 개선 방안)

  • Kim, Joo-Hun;Noh, Hui-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11
    • /
    • pp.913-92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measurement of improving DEM by using the water surface range of SAR image analysis for river corridors and to suggest the construction of satellite-based 3D river spatial information of inaccessible regions such as North Korea. For this research, it has been progressed from the accessible area, watershed of Namgang river, the branch of Nakdonggang river. The satellite image was collected from SAR satellite image data for a year in 2021 which was provided by ESA from Sentinel-1A/B data and extracted from the seasonal water surface area. Ground gauge water level was collected from hourly intervals data by WAMIS. The DEM was improved by analysis of the river altitude of water surface area change by the combination of the ground water level of minimum to maximum water surface area data extracted from SAR image analysis. After the improvement of DEM, the altitude of the river varied that it is defined to comprise more natural form of river DEM than the existing DEM. The correction validation of improvement DEM was necessary in field survey elevation data; however, the correction validation was not progressed due to the absence of the data.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improvement of DEM by using the analyzed water surface by existing DEM data and SAR image analysis. After the progression of additional correction validation research, we would plan to examine the application in other places and to progress the additional methodological research to apply in inaccessible and unmeasured area including the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