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면흡착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Changes in the Stability Properties of Methylcellulose Emulsions as Affect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ethylcellulose and Tween 20 (메칠셀룰로오스/Tween 20 경쟁 흡착이 메칠셀룰로오스 유화액의 안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Hong, Soon-Tae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7 no.10
    • /
    • pp.1278-1286
    • /
    • 2008
  • The effect of Tween 20 addition on changes in the stability of methylcellulose (MC) emulsions (1 wt% MC, 10 wt% n-tetradecane, 20 mM bis-tris buffer, pH 7) was investigated by creaming stability and orthokinetic stability measurements. In the case of MC emulsions containing varying amounts of oil (1$\sim$30 wt%) and no Tween 20 added, creaming stability, judged by mean migration velocity of fat globules ($V_m$), was found to depend on droplet size: the larger the droplet size, the worse the stability [$V_m$: 0.326 $\mu$m $min^{-1}$ ($d_{32}$: 0.32 $\mu$m) ${\rightarrow}V_m$: 0.551 $\mu$m $min^{-1}$ ($d_{32}$: 0.53 $\mu$m)]. With Tween 20, creaming stability was found to be worse than the one without Tween 20, except for MC emulsion containing 0.2 wt% Tween 20. In addition, cream stability was the lowest with the lowest concentration of Tween 20 and a tendency to recover with increasing Tween 20 concentration [$V_m$: 0.598 $\mu$m $min^{-1}$ (0.01 wt%)${\rightarrow}V_m$: 0.389 $\mu$m $min^{-1}$ (0.2 wt%)] was found. From viscosity measurement for aqueous bulk phase of MC emulsions, such a change in the creaming stability was found to coincide well with the results of viscosity measurement. Therefore, it was reasonable to say that creaming stability of MC emulsions containing Tween 20 depended on MC concentration in aqueous bulk phase, which was in turn varied by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C and Tween 20 at the oil droplet surface. In case of orthokinetic stability, judged by destabilization time ($t_d$),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Tween 20 resulted in lowered stability with more pronounce tendency at higher concentrations [$t_d$: 160 min (0.03 wt%)${\rightarrow}t_d$: 100 min (0.2 wt%)]. Moreover, combined with previous results, the orthokinetic stability of MC emulsions containing Tween 20 was found to be exponentially proportional to MC load. In conclusion, competitive adsorption between MC and Tween 20 may affect the stability properties of MC emulsion to varying extent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Tween 20.

Removal of Cobalt ion by Foam Flotation(I): Precipitate Flotation (거품부상법을 이용한 코발트이온제거(I): 침전부상법)

  • Jung, In Ha;Park, Hee Seoung;Moon, Je Sun;Yim, Sung Paal;Bae, Ki Kwang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0 no.1
    • /
    • pp.41-45
    • /
    • 1999
  • Simulated liquid waste containing 50 ppm cobalt ion was treated by precipitate flotation using the surfactant of sodium lauryl sulfate. The effects of initial cobalt ion concentration, pH, surfactant concentration, removal time, gas flow rate and foreign ions were estimated on removal efficiency. 35% $H_2O_2$ was added for pre-treatment stage before precipitate flotation. As the result of pre-treatment, optimum removal pH and the pH of treated water being discharged were lowed and optimum removal pH range was broadened. Fo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99.8% removal efficiency was obtained at the condition of 50ppm of initial cobalt ion concentration, pH 9.5, 70 mL/min of gas flow rate, and 30 min of removal time. Attraction between precipitate and surfactant was supposed to be influenced by solubility and chemical affinity among species in sloution as well as zeta potential. The influence of foreign ions such as, $NO_3{^-}$, ${SO_4}^{-2}$, $Na^+$, $Ca^{+2}$ on the removal efficiency was also observed. Removal efficiency by precipitate flotation containing 0.1 M of ${SO_4}^{-2}$ ion decreased to 90% due to the decrease of zeta potential and interruption of precipitation.

  • PDF

전기로 셀렌화 공정에 의한 CuInSe2 박막 연구

  • Go, Hang-Ju;Lee, Gyeong-Hun;Kim, Jin-Hyeok;Kim, Hyo-Jin;Han, M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318-318
    • /
    • 2010
  • 전기로를 이용하여 셀렌화한 $CuInSe_2$ (CIS)박막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화석연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지구온난화의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영구적이고 무상의 태양에너지 이용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기 위한 태양전지는 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CuInSe_2$을 흡수층으로 하는 CIS 박막 태양전지이다. CIS 박막은 태양전지의 흡수층으로 사용되는데 직접천이형 밴드구조를 가지고 있고, 약 $10^5\;cm^{-1}$의 높은 광흡수계수를 가지고 있어 태양전지의 흡수층으로 적합한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에너지 밴드갭이 1eV로 실리콘과 유사한 밴드갬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Ga, Al을 In 대신 치환함으로 조절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유리와 같은 저가의 기판위에 스퍼터와 같은 장치로 대면적 CIS 태양전지를 만들수 있다는 것이 산업적인면에서의 장점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50mm{\times}50mm$ 넓이의 sodalime 유리판을 기판으로 하여 CIS 박막을 제조하고 연구하였다. 스퍼터를 이용하여 유리기판 위에 Mo (Molybdenum) 을 증착하고 그 위에 Cu-In막을 증착하였다. Cu-In/Mo/유리기판 시료는 전기로에 도입되어 셀렌화 처리 하였다. 전기로는 $10^{-1}$ Torr 정도의 진공을 수분간 유지하여 반응할 수 있는 공기(산소)를 제거하였다. 진공 혹은 5N의 고순도 질소를 흘려주며 열을 가하여 셀렌화를 하였다. 전기로에는 1g의 셀레늄(Se)이 Cu-In/Mo/유리기판 시료와 함께 도입되었다. Se이 Cu-In 막과 높은 반응성을 갖도록 Se과 Cu-In 시료는 그라파이드 상자에 함께 넣었고, 그라파이트 상자는 전기로에 넣어 셀렌화하였다. 셀렌화 온도는 $400^{\circ}C{\sim}500^{\circ}C$까지 변화시켜 가며 CIS 박막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도 조사하였다. 물성 조사는 사진, 현미경, SEM, EDX, XRD, Hall effects를 이용하였다. 셀렌화 온도가 $450^{\circ}C$ 이상에서는 CIS 박막의 흡착성이 낮아 CIS 박막이 Mo 표면에서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셀렌화 후 박막에 함유된 Se은 48%~49% 정도있었다. 제조된 CIS 박막시료를 SEM으로 확인한 결과 생성된 CIS/Mo 사이에 계면층이 생겼있음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계면층은 $MoSe^2$층으로 사료되고, 셀렌화 온도가 높으면 계면층의 두께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셀렌화 온도가 높아질수록 많은 양의 산소가 CIS 박막에 들어가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학술회의에서 보다 깊은 조사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Biocompatibility and Surface Characteristics of (Si,Mn)-HA Coated Ti-Alloy by Plasma Electrolytic Oxidation (PEO법으로 (Si,Mn)-HA 코팅된 치과 임플란트용 Ti 합금의 생체적합성 및 표면특성)

  • Gang, Jeong-In;Son, Mi-Gyeong;Choe, H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83-83
    • /
    • 2017
  • 생체재료의 표면은 이식과 동시에 생체계면의 역할을 하게 되어, 일련의 생물학적 반응이 시작되고 진행되는 중요한 장소가 된다. 초기에 생체계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 흡착이나 염증반응을 비롯한 생물학적 반응들은 궁극적으로 임플란트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골융합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생체불활성의 타이타늄 (Ti)과 골조직의 능동적인 반응을 이루기 위해 생체활성 표면을 부여함으로서 계면에서의 골형성 반응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이용된다. 생체불활성의 Ti과 Ti합금은 골조직과 직접적인 결합을 이루지 못하므로, 골조직과의 반응을 향상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생체활성 재료를 코팅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고, 이 중 생체의 변화와 가장 유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코팅이 가장 대중적인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초기 골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표면형상과 화학조성이 골 융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므로 최근의 연구동향은 이들 두 가지 표면특성을 결합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최적의 골세포반응을 유도하고, 골융합 후 골조직과의 micromechanical interlocking에 의해 임플란트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마이크론 단위의 표면조도와 표면 구조를 유지하면서, 부가적으로 골 조직 반응을 능동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생체활성 성분을 부여하여 골 융합에 상승효과를 이루기 위한 표면처리법에 관해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골을 구하는 원소인 망간과 실리콘으로 치환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코팅하여 세포와 잘 결합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골 융합과 치유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방법은 시편은 치과 임플란트 제작 합금인 Ti-6Al-4V ELI disk (grade 5, Timet Co., USA; diameter, 10 mm, thickness, 3 mm)이며, calcium acetate monohydrate, calcium glycerophosphate, manganese(II) acetate tetrahydrate, sodium metasilicate을 설계조건에 따라 혼합 제조된 전해질 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전해 산화법으로 표면 코팅을 실시하였다. 각 시편의 플라즈마 전해시 전압은 280V로 인가하였고, 전류밀도는 70mA로 정전류를 공급하여 해당 인가전압 도달 후 3분 동안 정전압 방식을 유지하였다. 코팅된 피막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 회절분석을 통하여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코팅된 표면의 생체활성 평가는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동전위시험과 AC 임피던스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분극거동을 확인하기 위해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여 구강 내 환경과 유사한 $36.5{\pm}1^{\circ}C$의 0.9 wt.% NaCl에서 실시하였다. 전기화학적 부식 거동은 potentiodynamic 방법으로 조사하였고 인가전위는 -1500 mV에서 2000 mV까지 분당 1.67 mV/min 의 주사속도로 인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은 potentiostat (Model PARSTAT 2273, EG&G, USA)을 이용하였으며, 측정에 사용한 주파수 영역은 10mHz ~ 100kHz 까지의 범위로 하여 조사하였고 ZSimWin(Princeton applied Research,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용액의 저항, 분극 저항 값을 산출하였다. 망간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불규칙한 기공을 보였으며, 실리콘은 $TiO_2$ 산화막 형성을 저해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독으로 표면을 처리한 경우보다 두 가지 원소를 이용해 복합 표면처리를 시행한 경우가 내식성이 좋아 임플란트과의 골 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paration of Liquid Crystalline with Gemini Surfactant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액정기술의 제조방법)

  • Zhoh Choon-Koo;Kim In-Young;Han Chang-Giu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0 no.3 s.47
    • /
    • pp.369-375
    • /
    • 2004
  • In this study, liquid crystalline (LC) is formed using Gemini surfactant (GS) type and moisturizing effect in vivo is measured. $3.0\;wt\%$ of sodium dicocoyl ethylene diamine (PEG)-15 sulfate (SCD-PEG-15S) is used as GS and $4.0\;wt\%$ of hydrogenated dimer acid esters (HDAE) as booster. For stabilizers, $2.0\;wt\%$ of behenyl alcohol (BA) and $1.0\;wt\%$ of Iyso-lecithin (LyL) are utilized. It is stabilized in pH from 4.0 to 10.5 and the best condition is in pH 6.5. The value of viscosity is $8,000\pm500$ cP. The most excellent particles are formed within the range of 4.0 to 15.5 um. Formed LC is observed around LC particles using polarization microscope. It is also observed that lamellar gel network structure is formed around LC particles. Moisturizing effect is improved by $13.6\%$ (P<0.05) compared to control when measured 30 min later after coating samples. After 1 h, moisturizing effect is improved by 1$12.6\%$ (P<0.05) than control while showing $28.3\%$ (P<0.05) of improvement after 4 h. These results may be caused from that manufactured LC forms lamellar structure so that it has better water-holding ability and absorbance of oil increases. This formula could be utilized by delivery system (DS) on skin so that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for manufactuing pharmaceuticals and cosmetics.

Removal of Cobalt Ions by Precipitate Foam Flotation (침전 포말부선법에 의한 Cobalt Ion의 제거)

  • 정인하;이정원
    • Resources Recycling
    • /
    • v.7 no.3
    • /
    • pp.11-16
    • /
    • 1998
  • Simulated waste liquid containing 50 ppm cobalt ion was t$\xi$sted by precipitate flotation using a sodium lauryl sulfate as a c collector. The effects of initial cobalt ion concentration, pH, surfactant concentration, flotation time, gas flow rate and foreign i ions on removal efficiency of cobalt ion were studied. Pretreatment of the waste liquid with 35% $H_2O_2$, prior to precipitate f flotation made shin of optimal flotation pH from the strong alkalinity to weak alkaline range and made a favorable flotation of c cobalt ion in wide range of pH. For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99.8% removal efficiency was obtained on the conditions of initial coball ion concentration 50 ppm, pH 9.5 gas flow rate 70 mllmin, flotation time 30 min. The simulate ion was fanned t to be the most harmful ion against removal of cobalt by precipitate flotation of the species which were tested The presence of 0.1 M of $SO_4^{2-}$ ion decreased remo,때 $\xi$폐iciency of cobalt to 90% while the cobalt were almost entirely removed in the a absence of sulfate ion.

  • PDF

Sufface Structures and Electrode Characteristics of Carbon Electrodes (탄소전극의 표면조직과 전극특성)

  • O, Han-Jun;Kim, In-Gi;Ji, Chung-S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11
    • /
    • pp.991-998
    • /
    • 1997
  • 중성과 산성의 전해질내에서 여러 탄소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전극재료의 중요함수인 이중층 축전용량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이를 위해 임피던스 스펙트로스코피를 이용하였으며, 0.5M $K_{2}$SO$_{4}$용액과 0.1M H$_{2}$SO$_{4}$용액내에서 electrographite와 박판상 흑연의 경우 이중층 축전용량은 다른 두 전극재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0.1M H$_{2}$SO$_{4}$용액에서 탄소재료의 전하이동저항 R$_{1}$은 유리상 탄소와 PVDF graphite의 경우 140 ㏀과 31.9㏀로 나타났으며 electropraphite와 박판상 흑연의 경우 2.0㏀과 5.7㏀의 적은 값을 나타냈다. 이는 재료의 표면이나 내부의 기공에 의해 생기는 커다란 비 표면적 때문이며, 이것에 의해 재료의 상경계에서 측정된 임피던스량은 저주파영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특히 electrographite는 전극계면에서 흡착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났으며, 4종류 전극재료의 전기화학적 특성과 이중층 축전용량은 전극표면 조직에 의해 차이가 나타났다.

  • PDF

Nano-electrotribology 분석을 중심으로 표면 stress 분석에 의한 HfN 박막의 질소효과 연구

  • Jo, Si-Yeong;Kim, Su-In;Kim, Hong-Gi;Park, Myeong-Jun;Lee, Ch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175.2-175.2
    • /
    • 2015
  • 이 연구는 nano-indenter를 중심으로 박막의 nano-electrotribology 분석 연구로 Hafnium Nitride (HfN) 박막의 열처리 시 열적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HfN 박막은 Copper (Cu)와 Silicon (Si)의 계면 확산방지막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박막으로 현재 많은 연구소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fN 박막은 Si (100)기판 위에 rf magnetron sputter로 증착되었다. 증착 시 Ar, $N_2$ 가스유량을 총 40 sccm 사용하였고 증착 후 HfN 박막을 질소분위기 furnace에서 500, $700^{\circ}C$로 각각 30분 동안 열처리 하였다. 열처리 전 후의 시료를 nano-indenter를 이용하여 nano-electrotribology 분석을 실시하였다. Nano-indenter 측정결과 열처리 전 HfN 박막 시료의 표면강도는 39.68 GPa였고 500oC 열처리 후 31.31 GPa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700^{\circ}C$ 열처리 시 표면강도가 37.89 GPa로 다시 증가하였다. 탄성계수 측정결과도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500^{\circ}C$ 열처리 전 후 탄성계수가 258.99 GPa에서 201.88 GPa로 감소하였고 $700^{\circ}C$ 열처리 시 247.55 GPa로 다시 증가하였다. 이는 $500^{\circ}C$ 열처리하였을 때 박막 내에 흡착되었던 $N_2$ 가스가 빠져나가며 tensile stress가 발생하여 박막의 표면강도 감소를 유발했고 $700^{\circ}C$ 열처리 시 다시 박막 표면이 안정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열처리 온도 변화에 의한 질소효과가 나타나 HfN 박막 표면의 물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의 마찰특성

  • 김영환;강부평팔랑;익자정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9.11a
    • /
    • pp.41-58
    • /
    • 1989
  • 현재 자동차엔진유를 비롯한 각종윤활유에 마찰마모방지제 및 산화방지제로 사용되고 있는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은 윤활제의 첨가제로서 마찰부분의 고온에 의해 열분해함으 2 유화몰리부덴($MoS_2$)을 생성하기 위해서 합성한 것이다. $MoS_2$는 마찰마모 감소제로서 잘 알려져 있지만 고체이기 때문에 마찰면에 COATING 하거나 윤활유에 분산시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윤활유에 분산시키는 것과 마찰면에 흡착시키는 것과는 계면화학적 반대현상이므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윤활유중에 안정한 분산계를 만들어 사용시에는 비교적 안정한 COLLOID 계가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열가학적으로 불안정한 COLLOID 계를 유지하기는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유용성인 몰리부덴계 화합물을 윤활유에 용해시켜 열적 혹은 TRIBOCHEMICAL 적으로 분해해 줌으로서 마찰표면에 $MoS_2$의 생성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목적으로 개발된 유용성 몰리부덴화합물은 마찰마모감소작용 및 산화방지작용의 메카니즘에 관해서는 불투명한 점이 많다. 본 논문은 유용성 몰리부덴계 화합물중 Molybdenum dialkyl dithiocarbamate (이후 MoDTC로 명함)를 윤활유 첨가제로 사용해 마찰실험을 통하여 마찰감소작용의 메카니즘을 해명하고, 특히 마찰표면에 생성될 $MoS_2$막의 효과에 관해 중점을 두고 분위기의 효과로 부터 MoDTC의 마찰감소작용의 인자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 PDF

Effect of protein and oil concentration on the emulsion stability of soy protein isolate (단백질과 기름농도가 분리대두단백질의 유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Hwang, Jae-Kwan;Kim, Young-Sook;Pyun, Yu-Rya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5 no.6
    • /
    • pp.457-461
    • /
    • 1992
  • The emulsion stabilizing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SPI)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protein and oil concentration. Particularly, the dependence of emulsion stability on the oil particle size and viscosity of emulsion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adsorption pattern of protein onto the water/oil interface during emulsification. The data showed that increasing protein concentration decreased the oil particle size and increased the emulsion viscosity, resulting in the enhanced emulsion stability. In contrast, increasing oil concentration increased both the oil praticle size and the emulsion viscosity, and thus emulsion stability varied depending on which factor predominated the overall emulsion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