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경제적복지감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액티브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 김순복;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50
    • /
    • 2023
  • 본 연구는 액티브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노년의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액티브시니어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여가활동의 중요성이 부각되어야 할 시점에서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과 생활 의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존 고령자와 경제적 가치관등의 뚜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액티브시니어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은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액티브시니어의 보다 만족스러운 성공적인 노화와 행복한 삶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리라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 PDF

주부의 경제적복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Housewives)

  • 이경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03-915
    • /
    • 2004
  • Now in Korea, many factors-for example, unemployment rate rise, consumer prices, corporate restructuring, etc.-are threatening family economy. Thus many households are faced with an economic crisis. In this circumstances, it is the role of households as a subsystem of family system to keep family and household economy stable for the sake of family growth and development. Economic well-being is differentiated by criter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ut it has a large scale of spectrum: household income, asset, consumption, debt and the like. Moreover, these indices have been understood and measured differently by many researchers. In this thesis, we made efforts to distinguish subjective satisfaction from objective satisfaction, and then focus on the form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housewives living in Pusan through questionnaires.

  • PDF

세대별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세대의 탐색적 비교연구 (Exploratory Study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 김여진;최유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6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인의 주관적 안녕감을 삶의 의미와 가치의 맥락을 담은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사회적 세대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층화표집법을 활용하여 전국 19세 이상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유데모니아 관점에서 측정하였으나, 물질적인 요인이 여전히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 세대의 주관적 안녕감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경제수준 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는 모든 세대에 공통적으로 주관적 안녕감과 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사회참여활동은 세대별로 다른 유형의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급격한 사회변화를 다르게 경험한 세대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으며, 향후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심층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손자녀 돌봄과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 돌봄 상황, 양육지각, 자원의 상호관련성을 중심으로 (The Psychosocial Well-Being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The Role of Resources, Type of Care and Perception of Caregiving)

  • 강유진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73-97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노인생활실태조사'를 토대로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양육 상황, 양육지각, 자원 등을 손자녀 양육경험의 주요 차원으로 설정하여, 매개모형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 간의 상호복합적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손자녀 양육동기의 대부분이 맞벌이가정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함이었으며, 조사대상자의 대다수가 양육에 대한 대가를 받지 않았다. 둘째, 돌봄 상황 자체가 직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의 차이를 유발하지 않고, 돌봄 상황의 차이가 가져온 양육지각과 자원의 차이가 매개역할을 하면서 간접적으로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원 중 경제형편과 이웃도움은 양육지각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것과 관련되었으며 자녀지지는 양육지각과 관련이 없었다. 결국,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조부모가 손자녀 양육을 통해 성인자녀세대의 경제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서비스 제공자임을 보여준다. 또한 손자녀 양육경험은 관련요인들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된 복합적 과정이며, 특히 손자녀 양육 조부모의 심리적 복지감에 작용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자원의 유용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이 더 이상 개인과 가족차원의 논의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사회차원 이상의 관심사로 다루어짐으로써, 이들의 외적자원을 강화시키는 구체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 박미석;장진경;손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547-555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23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대학생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과 행복으로 각각 측정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연계형 및 결속형)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대학생의 우울을 예측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을 함께 투입한 결과, 성별, 주관적 경제만족도, 오프라인 연계형 사회적 자본만이 대학생의 우울과 관련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행복을 예측하는데 있어 주관적 경제만족도와 오프라인 연계형 및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을 함께 고려하였을 경우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만이 대학생의 우울과 행복과 같은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도서지역 여성노인의 경제상황과 경제적 복지감 (The Economical Situation and Economical Well-being among Elderly Women Living in Islands)

  • 노채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3호
    • /
    • pp.1-16
    • /
    • 2005
  • In an attempt to illuminate the lives of elderly women, this article has studied the economical situation and economical well-being felt by the elderly women dwelling in the southwestern coastal islands of Korea. In this article, we have attempted to conduct a consolidated research that incorporates both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d areas included 6 islands. Here are the main results. : 1) The elderly women living in the islands were enduring various forms of excessive labor, and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se women didn't receive adequate amount of compensation. There should be more considerations made by the locals and proper restrictions should be brought out in order to prevent these women from conducting excessive and hazardous tasks. 2) Due to unpropitious economical situations, the majority of the elderly women living in these islands were incapable of saving money. There should be a plan devised to empower the economical capabilities of these elderly women that will elicit economical effects. 3) The degree of economical well-being that these elderly women felt was very low, both in the absolute level of economical satisfactions, as well as the relative level of economical satisfactions compared to the people living in the cities. There should be an incorporated effort conducted by the elderly women themselves, the local society, and the relevant offices to increase the level of economical well-being that are felt by these elderly women.

  • PDF

청소년의 자존감과 노동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 of Adolescent Self-esteem and Labor Participation)

  • 박상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87-192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존감이 노동참여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이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긍정)은 학교 밖 학생들이 가장 낮았고, 재학생은 학년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존감(긍정)과 자존감(합계)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자존감과 노동참여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0.4%,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50.6%이었다.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르바이트 경험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르바이트 의향과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아르바이트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중에 자존감이 낮은 집단의 비율은 50.5%이고, 자존감이 높은 집단의 비율은 49.5%이었다. 따라서 자존감의 높고, 낮음이 아르바이트 의향과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르바이트 이유와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68.1%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31.9%이었다. 또한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이유가 경제적 이유가 아닌 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75.2%이고, 경제적 비자발적 동기인 경우가 24.8%이었다. 자존감이 높은 집단이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 비해서 자발적 동기가 높고, 비자발적 동기가 낮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in Later Life)

  • 장유리;이정남;윤현숙;김수영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055-1068
    • /
    • 2008
  • 자기 통제감은 노년기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영향 요인을 (1) 사회 인구학적 특성, (2) 신체 건강 상태, (3) 최근 일어난 부정적 생활사건, (4) 사회 관계적 자원으로 분류하였다. 국내 다섯 개 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91명(평균 연령 = 69.9)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자기 통제감은 Pearlin과 Schooler(1978)의 Mastery Scale의 7항목으로 측정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경제 수준, 만성 질환, 일상생활 수행 장애, 시력,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자기 통제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년기 자기 통제감 증진을 위한 개입이나 사회적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가족 경제 상황과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사회관계의 매개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on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Economic Status and Adolescents' Career Identity)

  • 원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51-260
    • /
    • 2019
  • 본 연구는 가족의 경제적 상황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및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정의 경제적 상황과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사회관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의 경제 상황이 사회관계의 질적인 측면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러한 청소년의 긍정적인 사회관계는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정의 소득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발달 격차를 긍정적인 사회관계의 증진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저소득 가정 청소년들의 진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긍정적인 사회관계의 형성을 돕는 융합된 진로 지도 개입이 요구된다.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186-18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0차년(2015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성별, 교육수준, 건강상태 등의 인구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가구소득, 심리적 요인으로 우울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요인으로 신뢰와 상호호혜성, 가구수준과 종사상 지위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부머의 삶의 만족에 대해 건강상태(B=.236, t=9.914, p<.001), 가구소득(B=.131, t=4.535, p<.001), 우울(B=-.186, t=-7.568, p<.001), 자아존중감(B=.286, t=11.080, p<.001), 신뢰(B=.049, t=2.128, p<.05), 종사상 지위(B=.081, t=3.284, p<.01)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