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견관절 재활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19초

견봉 골절의 불유합으로 기인한 가관절증의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치료 - 증례보고 - (Treatment of Pseudoarthrosis due to Nonunion of the Acromial Fracture with LCP - Case Report -)

  • 김용민;박경진;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박지강;금상욱;정호승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0-134
    • /
    • 2013
  • 견봉 골절의 진단 및 치료 지연으로 발생한 통증을 동반한 가관절증은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견봉은 두께가 얇은 편평골이므로 견고한 고정이 어렵기 때문에 견봉에서 발생한 가관절증의 치료는 매우 어렵다. 52세 다발성 외상환자에서 발생한 전위가 없는 견봉 골절을 보행 재활을 시작하며 통증이 유발될 때까지 발견하지 못하였다. 원위 요골용 가변각 잠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 및 자가 장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9개월째 극상건 부분 파열이 있어, 관절경하 극상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9개월째 방사선 검사상 완전한 골유합을 얻었다. 극상건 봉합술 3개월 후 통증이 완화되었으며, 견관절 기능이 정상화되었다. 견고한 고정이 어려운 견봉 불유합 및 가관절증 증례에서 좋은 결과를 얻어 보고한다.

키네시오 테이핑 요법과 상지 협응 운동이 견관절 근막동통증후군의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Kinesio Taping and Upper Coordination Exercises on Pain and Function of Shoulder Myofascial Pain Syndrome)

  • 송현승;김태원;박성두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5-53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and coordination exercise on the myofascial pain syndrome and shoulder function. Methods: The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randomly 2 groups. Control group (n=22) was taken only physical therapy program. Experimental group (n=22) was taken physical therapy with Kinesio taping and coordination exercise. The Kinesio taping in experimental group applied on levator scapulae and supraspinatus. The coordination exercise performed in supine position and sitting position on 15 times during 10 seconds each positions. We measured the pain degree using visual analog scale (VAS), pain rating score (PRS), pressure pain threshold (PPT), myofascial pain subjects symptoms index and shoulder motor function using constant shoulder assessment scale; CSA before and after experiment. Results: The significant test of CSA, myofascial pain subjects symptoms index, VAS, PRS according to applying the Kinesio taping and coordination exercise between groups used ANCOVA. In the result following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ce on VAS (F=13.071, p=.031), PRS (F=12.130, p=.014), PPT (F=7.378, p=.016), CSA (F=5.302, p=.026)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Then, Kinesio taping and coordination exercise has benefit on the VAS, PRS, PPT, CSA in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So, it may suggest that Kinesio taping combined with coordination exercise will be helpful of the pain and shoulder function improvement the patients with myofascial pain syndrome.

연결형(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 (Linked (Semi-constrained) Total Elbow Arthroplasty)

  • 정홍준;전인호;전재명;이태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70-177
    • /
    • 2013
  •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은 고관절이나 슬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에 비해 아직은 발전 단계에 있는 수술이다.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치환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장기 추시 결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대의 주관절 치환물은 크게 두 가지 디자인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이 그것이며, 이들은 다른 말로 반구속형과 비구속형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비구속형/구속형 전환 가능한 치환물도 사용되고 있다.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의 선택은 우선적으로 주관절의 안정성 및 골성 구조물의 적절성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형 치환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마모, 조기 이완, 해리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장기 추시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적절한 환자의 선택,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수술 술기의 발달, 그리고 수술 후 적절한 재활 치료 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이 많이 해결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신체적인 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환자에 있어서는 마모나 이완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연결형 치환물이 적절한 선택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종설에서는 연결형 (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 이열 봉합술 및 교량형 봉합술식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Double Rows & Suture Bridge Technique)

  • 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82-89
    • /
    • 2008
  • 이상적인 회전근 개 봉합술은 봉합 초기 높은 고정 강도로 봉합 부위 건-골간 간격 형성을 최소화시키며, 재활 과정 중 발생하는 반복적인 부하에도 견디는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어 궁극적으로 건-골 조직의 생물학적 치유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현재 사용되는 회전근 개 봉합술 중 교량형 봉합술식은 회전근 개 부착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으며, 건-골간 압력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방사형의 봉합 형태를 통하여 회전근 개 전체에 균등하게 압력을 분포함으로 부하를 분산시키며 생물학적 치유를 향상시킨다. 또한 건-골간 간격 형성을 최소화하며 전단 및 회전 응력에 저항력을 주어 정상과 동일한 해부학적 복원력으로 빠른 재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비록 교량형 봉합술식이 다른 술식에 비해 우수한 생역학적 특성을 나타내도 임상적으로 더 좋은 결과를 초래한다는 증거는 없으며, 이열 봉합술과는 비슷한 재파열율이 보고되고 있다. 회전근 개봉합술의 선택은 회전근 개 파열 크기, 파열 양상 및 건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싸이벡스를 이용한 핸드바이크 시트 각도의 상지 회전력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Upper limb Torque on the Hand Bike by Degree of Seat using Cybex)

  • 김동옥;유연호;이근민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87-294
    • /
    • 2016
  • 본 연구는 가변형 핸드바이크를 개발하기 위해서 손으로 구동하는 핸드바이크 사용자들이 싸이벡스를 이용하여 등받이각도별 상지회전력 값, 크랭크축과 가슴명치와의 거리에 대한 상지회전력 값, 그리고 핸드바이크의 손잡이 각도별 상지회전력 값을 토대로 핸드바이크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일반인 남자 3명을 대상으로 상지 회전력 값을 실험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핸드바이크 등받이 각도 중 상지회전력에서 최대근력이 등받이 50도일때가 가장 높았고, 근지구력은 등받이 80도 일때가 가장 높았다. 이는 엎드린 자세 즉 K-Tybe 핸드바이크가 가장 속도가 높을거라고 주관적으로 생각되었지만 바람의 저항이 등받이가 낮을수록 속도와 효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핸드바이크 손잡이 타입 중 수평(0도)손잡이, 수직(90도)손잡이, 45도 손잡이 중 45도 손잡이가 가장 회전력 값이 높았다. 이는 수관절, 주관절, 견관절 등이 골고루 힘이 분배되어 회전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핸드바이크 크랭크축과 가슴명치와의 거리(35cm, 45cm, 55cm)중 45cm가 회전력이 가장 효율적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핸드바이크 핸들링 시에 나타나는 중력에 영향과 피로감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 (Massive Rotator Cuff Tear Repair)

  • 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67-174
    • /
    • 2010
  •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파열단의 내측 퇴축, 근위축 및 지방 변성과 함께 주변 조직과의 유착 등으로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본 종설에서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봉합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임상 결과 향상과 재파열율을 감소시키고 치유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통증, 운동 범위 감소, 근력 약화 등의 임상 증상 및 재활 의지 등 환자와 관련된 요인과, 회전근 개 파열 기간, 크기, 퇴축 및 지방 변성 정도 등은 회전근 개와 관련된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결과: 조직의 가동성이 떨어져 해부학적 봉합이 어려운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주변 조직 유리술과 간격 활주 방법으로 가동성을 증가시켜 봉합할 수 있다. 주변 조직 유리술을 시행하고 회전근 개의 가동성을 증가시켜도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부분 봉합, 변연 수렴 술식 및 상완 이두건 절제 및 고정술 등의 대체 술식을 고려할 수 있다.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견봉하 감압술 및 회전근 개 봉합술에 관한 여러 보고는 통증 감소, 견관절 기능 및 근력 회복 등 만족할만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장기 추시 결과 높은 재파열율이 관찰되고 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는 아직까지 높은 재파열 발생율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으나 광범위 파열의 병인, 진행 과정 및 임상 양상에 대한 이해와 재파열 예후 인자 분석 등을 통해 향상된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NF를 이용한 아래등세모근 강화 운동이 동결견 환자의 통증, 관절가동범위 및 장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PNF on Pain, Range of Motio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 강태우;송귀빈;김범룡
    • PNF and Movement
    • /
    • 제19권3호
    • /
    • pp.401-412
    • /
    • 2021
  •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lower trapezius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on pain, shoulder range of motion, and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Methods: Following baseline measurements, 30 subjects (n=30) with frozen shoulder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he PNF group (n=15), which received PNF strength training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and the control group (n=15), which received gentle palpation of the skin. Each group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The visual analogue scales for pain, range of motion, and SPADI of both groups were recorded at both pre- and post-intervention. Paired t-tests were used to determine significant changes in the post-intervention period compared with pre-intervention,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After the six-week intervention, both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ly decreased pain and SPADI (p < 0.05)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houlder flexion, abduction, internal rotation, and external rotation range of motion (p < 0.05). The PNF group that received the PNF strength exercise of the lower trapezius muscles showed greater improvements in pain and range of motion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 < 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NF lower trapezius strengthening exercise reduces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levels and enhances shoulder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원위 쇄골 불유합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Distal Clavicle Fracture Nonunion)

  • 강호정;윤항섭;한수봉;김성재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20-226
    • /
    • 2007
  • 목적: 원위 쇄골 골절은 근위부나 중간부 쇄골 골절과는 다른 생역학적 구조를 가져서 지연유합과 불유합이 많이 발생한다. 원위 쇄골 불유합 치료에 대한 연구보고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원위 쇄골 골절 불유합에 대한 관혈적 정복 및 골이식의 수술적 치료 후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8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원위 쇄골 불유합으로 수술 치료받은 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38.9($21{\sim}62$세)세였고, 지배 수지 6예였다. 수상 초기 수술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이 4예, 보존적 치료 후 발생한 불유합이 4예였고, 불유합 기간은 수상 후 평균 1년 5개월이었다. 전 예에서 자가장골 이식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였고, 내고정물은 금속판이 7예, 긴장대 강선 고정술이 1예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14개월이었고, 방사선학적 골유합은 전 예에서 평균 8주에 관찰할 수 있었다. 최종 추시상 견관절의 운동범위는 모두 정상 소견이었고, Kona 등의 평가표에 의한 기능적 평가에서 7예에서 우수한 결과를, 1예에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원위 쇄골 골절 불유합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조기 재활이 가능하고 견고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추천할 만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된다.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의 결과: 지방 변성이 중등도 이하인 전층 파열에 대한 단기 추시 임상적 결과 (Outcome of Arthroscopic Suture Bridge Technique for Rotator Cuff Tear: Short Term Clinical Outcome In Full-thickness Tear With Fatty Degeneration Less Than Moderate Degree)

  • 천상진;허준오;서정탁;유총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80-188
    • /
    • 2009
  • 목적: 회전근 개 건 전층 파열 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 시행 후 단기 추시 관찰을 통해 이 술식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건 전층 파열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 받고 조기 재활을 시행한 29명 (남자:17명, 여자: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평균 나이는 56.4세 (34~73세)였으며 추시 관찰 기간은 평균 13개월 (12~15개월)이었다. 임상적 및 기능적 평가로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score, The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및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를 이용하였다. 15예에서 최종 추시시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하여 Sugaya 분류를 통해 회전근 개의 구조적 상태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의 UCLA score는 수술 전과 수술 후 각각 16.4에서 31.6으로 측정되어 유의할만한 호전을 보였고 (p< 0.05), KSS는 수술 후 6개월에 88이었고, 최종 추시 시 92로 측정되었다. VAS score는 수술 전 8.6에서 수술 후 3개월에 2.1로, 수술 후 6개월에는 1.4로 나타났다. 28예 (96.5%)에서 수술 후 관절 운동 범위가 증가되었다. 추시 시 자기 공명 영상을 촬영한 15예에서 Sugaya 분류에 의해 I형이 6예, II형이 7예, III형이 1예, V형이 1예이었다. 결론: 회전근 개 건 전층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교량형 봉합술을 이용한 회전근 개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96.5%에서 양호 이상의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므로 믿을 만한 수술적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