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격리 지침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초

유지,보수잡업시 위험에너지 관리지침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전기기술인
    • /
    • 제184권12호
    • /
    • pp.8-14
    • /
    • 1997
  • 이 지침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기계, 기구의 유지, 보수 등의 작업 중 갑작스런 에너지의 공급, 기계, 기구의 작동 또는 축적된 에너지의 방출 등에 의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업주가 행하여할 에너지 격리장치의 잠금/표시 설치에 관한 절차 및 계획수립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멀티테넌시 환경에서 안전한 웹 사이트 개발을 위한 데이터격리 방법 분석 (Analysis of Data Isolation Methods for Secure Web Site Development in a Multi-Tenancy Environment)

  • 김점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35-42
    • /
    • 2024
  • 멀티테넌시 아키텍처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환경에서 데이터 격리는 중요한 보안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스키마 기반 격리, 논리적 격리, 물리적 격리 등 다양한 데이터 격리 방법들을 조사하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데이터 격리 방법들의 실질적인 적용 사례와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해 멀티테넌트 웹 사이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보안 요소들과 데이터 격리 방법의 선택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멀티테넌시 환경에서의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려는 개발자, 아키텍트 및 시스템 관리자에게 중요한 지침을 제안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멀티테넌트 웹 사이트의 설계와 구현을 위한 기초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그리고 데이터 격리 방법의 선택이 시스템의 성능, 확장성, 유지관리 용이성 및 전반적인 보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멀티테넌트 시스템의 보안과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메르스 감염관리지침에 따른 감염병 임시 격리병동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 컨테이너를 이용한 음압격리병동을 중심으로 - (A Design Methodology for the Temporary Isolation Room Based on the MERS-Cov Infection Control Guideline - In Case of Temporary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Using Shipping Container -)

  • 이상현;이진우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3권12호
    • /
    • pp.19-2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methodology to build temporary isolation rooms when infectious diseases suddenly occur in a certain region, such as the case of MERS-Cov in South Korea in 2015. Although most big hospitals usually have isolation rooms, they are expensive and dangerous to run such facilities on normal and typical day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n this research, shipping containers are chosen as devices used to build the temporary isolation rooms near the original hospital. To do so, firstly, a prototype for the temporary isolation room was designed with the three part modules. The first part is for the medical team; the second part including the isolation rooms is for patients; the third part is for medical selection rooms to test the specimens. Secondly, the plan was compared with the MERS-Cov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inally this prototype is applied into the Yong-in Yon-sei severance hospital and then evaluated through a CFD simulation using STAR-CCM+(ver.9.06) for checking infectious bacterium movement in this prototype. The result showed that the prototype is effectively safe for patients tested as negative, patients waiting to be tested, and the medical team.

Hot Issue - IMDG Code 37차 개정판 주요 개정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65호
    • /
    • pp.98-109
    • /
    • 2015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은 195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위험물운송 전문가 위원회에서 제정한 "위험물 운송에 관한 유엔권고"(일명, 오렌지 북)를 기본골격으로 국제해사기구가 1965년 제정한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 시 적용하는 국제규칙이다. IMDG Code에는 위험물을 그 특성에 따라 제1급(화약류)부터 제9급(기타 위험물)까지로 분류하고, 이들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 포장방법 및 포장용기 기준, 선적서류, 선박 적재방법 및 위험물 상호 간의 격리 등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IMDG Code에는 위험물의 화재 또는 누출 시 비상대응절차, 인명사고 시 의료응급처치 지침, 화물고박지침 및 선박에서 살충제의 안전사용 방법 등에 관한 규정도 수록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2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IMDG Code 37차 개정판의 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Hot Issue - IMDG Code 37차 개정판 주요 개정 내용

  • (사)한국포장협회
    • 월간포장계
    • /
    • 통권266호
    • /
    • pp.106-119
    • /
    • 2015
  •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 :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Code)은 195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의 위험물운송 전문가 위원회에서 제정한 "위험물 운송에 관한 유엔권고"(일명, 오렌지 북)를 기본골격으로 국제해사기구가 1965년 제정한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 시 적용하는 국제규칙이다. IMDG Code에는 위험물을 그 특성에 따라 제1급(화약류)부터 제9급(기타 위험물)까지로 분류하고, 이들 위험물의 표시 및 표찰, 포장방법 및 포장용기 기준, 선적서류, 선박 적재방법 및 위험물 상호 간의 격리 등 포장 위험물의 해상운송에 관한 기본원칙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IMDG Code에는 위험물의 화재 또는 누출 시 비상대응절차, 인명사고 시 의료응급처치지침, 화물고박지침 및 선박에서 살충제의 안전사용 방법 등에 관한 규정도 수록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2년마다 개정되고 있는 IMDG Code 37차 개정판의 주요 개정내용을 지난 달에 이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병원 간호사의 중동호흡기증후군 격리 지침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 (Knowledge and Practice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solation Precaution among Hospital Nurses)

  • 김선주;송라윤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isolation precaution, and to explore influencing factors of the isolation practice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A total of 182 nurses were recruited from four general hospitals where MERS patients had been treated.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MERS isolation precaution were measured by the scales developed based on the CDC guideli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2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nurses were 30 years old in average, and half of them had less than 5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knowledge on droplet precautions (${\beta}=.171$, p=.019)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ing 19.6% of variance in the MERS isolation guideline practice. Clinical experience (${\beta}=.225$, p=.002), working at infection unit (${\beta}=-.203$, p=.011). Conclusion: The knowledge on droplet precaution and general knowledge on MERS were the important modifiable factor to improve the MERS isolation guideline practice among hospital nurses, even after adjusting clinical experience and demographic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icient education program on specific guidelin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infection by improving the knowledge on infectious disease such as MERS as well as droplet precaution which are modifiable factors.

수용개작방법을 활용한 의료기관의 격리주의지침 개발 (Adaptation of Isolation Guidelines for Health Care Settings)

  • 류재금;정재심;정인숙;김정혜;홍은영;김향숙;정영선;권정순;이지영;최지연;김경숙;김은현;차경숙;김은진;박경희;서현주
    • 임상간호연구
    • /
    • 제24권2호
    • /
    • pp.209-226
    • /
    • 2018
  • Purpose: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practice guideline for isolation in health care settings to prevent transmission of infectious diseases utilizing guideline adaption process. Methods: The process of guideline adapt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s guideline adaptation manual which consisted of three main phases, 9 modules, and 24 steps. Results: The adapted isolation guideline consisted of introduction, overview of isolation guideline, summary of recommendations, recommendations, references, and appendices. The guideline includes 224 recommendations in 4 sections which are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standard precautions, transmission-based precautions, and education/counselling. Conclusion: The adapted isolation guideline is recommended to be disseminated and utilized by nurses and clinicians nationwide to improve the isolation practices for infected or colonized patients with communicable diseases and to decrease the transmission of infections in the healthcare settings.

요양병원 인증제도의 현황과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he Nursing Hospital Certification System)

  • 박종원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45-154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1주기 인증과 2주기 인증을 간단히 비교해 보고, 또 2주기 인증과 3주기 인증의 변화 및 성과를 검토하고, 인증 3주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당면과제와 해결방안을 사례로 살펴봄으로써 요양병원 실무자들에게 시사점을 주고 인증제도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부가 의도하는 인증의 실질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인증 전 단기간에 준비하는 전시성 행정이 아니라 항상 인증을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직원을 두거나 기존의 환자안전관리 담당자 등을 통하여 항상 의료의 질향상을 대비하는 시스템을 만들도록 제도적인 규정이나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둘째, 요양병원 인증제 시행 이후 의료기관인증제도가 병원성과에 미치는 연구가 질적/양적인 측면에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인증제에 대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적 지원도 필요하다. 셋째, 인증에 대한 표준지침이 크게 변경되지 않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증 표준 지침서를 설계하고, 지침서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준 개별 규정, 양식도 인증원에서 제작하여 배포하고 각 의료기관에서는 현장에 맞게 수정만 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의료기관들의 부담은 훨씬 줄어들 것이다. 넷째, 4주기 인증에서는 감염관리와 격리병동 운영지침 등에 대한 정확하고 현실감 있는 지침이 개발되어야 한다. 코로나 등으로 앞으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는 단기간의 인증 준비가 아닌 평소의 활동들을 인증 기준에 맞추어 실행한다면 요양병원의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수 있고 경쟁력을 가질 수 있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여섯째, 요양병원 관계자들은 인증을 준비함에 있어서 과거처럼 단기적으로 서류를 정리하거나 행정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이것 또한 역시 평소의 업무 프로세스를 인증기준에 맞춰 설계하여야 하며, 대부분의 업무 절차를 규정하고 지표화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코로나19 감염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관리 지침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COVID-19)

  • 최재홍;최수한;김도현;최용성;윤기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25-130
    • /
    • 2022
  • 장기화된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많은 임산부들이 분만에 임박하여 감염되는 사례들이 많아진 반면, 이런 상황에서 출생하는 신생아들을 처치 및 검사에 대한 국내 권고 사항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만들어져 진료 현장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다행히 최근에 축적된 자료와 외국의 최신 지침을 반영한 국내 권고 사항이 개정 발표되어 이를 소개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코로나19 확진 산모에게 출생한 신생아의 처치 및 검사가 반드시 음압 격리 시설 내에서 이루어질 필요 없이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생아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검사도 생후 48-72시간에 1회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으며, 모자 동실을 할 경우에는 증상 없는 건강한 신생아라면 검사 없이 경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 권고 사항과 같이 생후 24시간, 48시간 째에 각각 두 번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개정된 권고 사항이 코로나19 확진 산모와 신생아의 진료에 유연성을 주면서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의료시설 관련 기준 비교와 환경 조사를 통한 의료시설 지침 및 현황 분석 (Comparison of Standards for healthcare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Investigation to Analyze Guidelines and Current Status of Healthcare Facilities)

  • 조예림;김기훈;성민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51-6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supplement the standards related to healthcare facilities,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s, and emergency treatment facilities. In addition, through environmental investigations, analysis of emergency remodeling cases centered on the structural and HVAC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facilities is conducted. Methods: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related to healthcare facilities were analyzed. Field investigations and architectural drawing analysis of general and emergency treatment facilities were conducted. Results: Healthcare facilities have different space classifications and air conditioning methods depending on the site situation. Emergency treatment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cases where the HVAC system is remodeled and portable negative pressure unit is installed, and some facilities did not meet the standards for differential pressure and air change rate. Implications: When developing emergency remodeling technology, remodeling and safety evaluation guidelines, it is considered possible to propose clearer guidelines for emergency remodeling treatment facilities for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