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검사영역

검색결과 1,774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urvey of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Non-Cognitive Domain of Mathematics Learning)

  • 이환철;김형원;이지혜;이현숙;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2호
    • /
    • pp.267-287
    • /
    • 2017
  •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수학적 성향과 같은 정의적 특성의 개선은 학교 수학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정의적 영역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과정은 선행연구를 통해 정의적 영역의 요인을 선정하고, 초 중 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요인에 해당되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이후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검사 문항들의 신뢰도와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정의적 영역 검사 문항은 흥미, 학습태도, 가치, 외적동기, 내적동기, 학습의지, 효능감 요인의, 총 24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이는 향후 초 중 고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수학교과의 정의적 영역 성취를 위한 교육 목표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의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 문진수;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69-49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함수 영역에서 현직 중등 수학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을 영역별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영역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함수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지역의 총 5개의 고등학교 현직 수학 교사 3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67.4점으로 나타났는데, Common Content Knowledge[CCK],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영역의 점수에 비해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총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CK, KCS 그리고 KCT 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와 다르게 CCK와 나머지 영역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노후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기법의 주파수 및 시간영역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requency and Time Domain Interpretation for Safety Evaluation of old Concrete Structure)

  • 서백수;손권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5호
    • /
    • pp.352-358
    • /
    • 2005
  • 콘크리트 비파괴 검사를 위하여 배면공동모형과 교량공동모형에 대하여 시간영역 탐사와 주파수영역 탐사를 실시하였다. 시간영역 탐사는 초동주시 역산법을 이용하여 토모그래피를 작성하여 공동의 여부를 해석하였다. 주파수영역 탐사는 시간영역 기록을 푸리에 변환에 의한 주파수영역에서의 최대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가청 주파수 영역의 고주파와 순환 중복 검사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전송 알고리즘 (Wireless Data Transmission Algorithm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 and High Frequency of Audible Range)

  • 정명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9호
    • /
    • pp.321-32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가청 주파수 영역 중 사람들에게 거의 들리지 않는 고주파와 순환 중복 검사 기법을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알고리즘은 스마트 기기의 내장 스피커에서 출력할 수 있는 가청 주파수 영역(20 Hz~22 kHz) 중 고주파 영역인 18 kHz~22 kHz를 사용한다. 이때 데이터의 전송량을 높이기 위해 고주파 영역 1(18.0 kHz~21.2 kHz)에서 여러 개의 주파수를 혼합하여 전달하며, 이와 동시에 전송 데이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고주파 영역 2(21.2 kHz~22.0 kHz)에서 순환 중복 검사를 위한 체크섬을 전달한다. 제안 방법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북과 스마트 기기 간에 데이터 전달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평균 235 ms에 32 bits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었으며, 전송 성공률은 99.47%, 그리고 순환 중복 검사에 의한 에러 검출률은 0.53%인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 방법은 스마트 기기 간에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다.

비용 함수를 이용한 오 정합 개선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utlier Improvement Method Using Cost Function)

  • 백영민;최현준;서영호;김동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9-27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변이지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비용 함수를 이용한 교차 일치성 검사 기법을 제안하고, 다양한 조건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듬이 효율적임을 보였다. 좌우 변이정보를 이용하는 교차 일치성 검사로 오정합을 검출하는 방법을 시도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물체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오정합을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최종 변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교차 일치성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영역 기반 스테레오정합 방법은 물체의 경계에서 정확도 높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합창의 크기를 늘리거나 특징 점을 이용한 적응적 가변 정합창을 적용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기존 교차 일치성 검사를 통한 오정합 검출은 부정확하다. 이러한 영역의 비용 함수 값들을 비교한 결과 첫 번째와 두 번째 값의 차이가 적거나 크게 나타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오정합 검출 능력을 향상 시킨다. 제안한 방법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스테레오 비전에서 많이 사용되는 영상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교차 일치성 검사 방법과 제안한 방법의 객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전체 영역에 대한 오차율 (error ratio)과 교차 일치성 검사로 유효하다고 판단된 변이 값 중 실제 변이 값과 일치하지 않은 변이값의 오차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방법에 비해 제안한 방법이 1~5%정도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 PDF

자동차 성형 조립품을 위한 범용 검사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General Inspection-Machine for the Vehicle Forming Assembly)

  • 김동환;윤재식;김진욱;김석태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13-8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성형 조립품의 불량 및 부품의 조립상태를 고속, 고정밀도로 검사하고 여러제품에 적용 가능한 범용 검사 시스템을 제안한다. 검사 프로그램은 검사 대상의 표면 검사 및 조립상태 검사를 위한 결함 검사 알고리즘, 실시간 검사를 위한 고속처리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결함검사 알고리즘은 크게 ROI 영역내의 픽셀 평균을 이용하는 방법과 영역분할 및 객체 유무 판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검사 시스템의 정확도, 처리 시간 등의 평가를 통해서 시스템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BGA 소자의 결함검출을 위한 2차원 비젼 검사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2-Dimensional Vision Inspection Algorithm for the Defects Detection of BGA Device)

  • 김준식;김기순;주효남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3-5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비젼 시스템을 사용하여 마이크로 BGA 소자의 2차원 결함을 검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부화소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입력된 영상에서 패키지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에서 볼 탐색창 방법을 사용하여 볼 영역을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볼 영역에 대해 결함검사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추출하고, 이들을 사용하여 소자의 불량 유무를 판정한다. 모의실험을 통해 볼 검사 정밀도의 평균 오차가 17[${\mu}m$]가 됨을 확인하였다.

항해사 인지·지각 검사도구 개발

  • 김정호;장은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2-253
    • /
    • 2017
  • 동일한 작업환경과 작업조건을 가정하였을 때, 사고가 발생할 확률은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거의 균등하다. 그러나 현실은 다른 사람들과 달리 특정하게 사고를 많이 발생시키는 사고 빈발자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항해사 인 적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항해사의 운항적성 중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에서의 운항적성 평가를 위해 CBT(Computer-Based Test)의 형태로 항해사의 지각 운동 영역을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지각 운동적 기능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항해의 특성 상 복합적인 측정이 가능한 형태로 검사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 PDF

한국형 MHBT 영재판별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MHBT for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 임경희;손승남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371-400
    • /
    • 2008
  • 본 연구는 독일 MHBT 영재판별검사를 한국형으로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있다. 우선 MHBT 모델의 구성요소와 이를 활용한 다단계 영재판별과정 및 활용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MHBT는 인지능력검사인 KFT-HB와 중등용 영재판별 도구인 MHBT-S로 나뉘며, MHBT-S는 1) 공간표상능력, 공간지각 및 사고, 물리 및 기술문제해결 능력 2) 창의적 재능, 기본 동기 및 인식욕구, 성취욕구, 사회적 능력을 포함한 정의적 영역, 3) 작업태도 4) 흥미선호도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형 MHBT를 중학교 1, 2학년 영재교육원 학생과 일반학급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일부 하위영역에서 내적일관성 합치도가 낮은 것을 제외하면 전체 신뢰도는 매우 양호하였다. 대비집단을 이용한 타당도 검증 결과 인지능력검사와 공간 및 물리 관련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영재집단이 전체 점수와 모든 하위검사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작업태도와 흥미선호도는 일부 영역에서 영재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KFT-HB와 MHBT-S 모두를 판별변인으로 했을 때 두 집단에 대한 판별률도 매우 높아 MHBT의 한국적 적용가능성은 자은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Analysing the Use of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 and its Improvements)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3-277
    • /
    • 2019
  • 이 연구는 1989년 이후 30년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현황과 이와 관련한 검사 도구의 수정 사례와 내용을 분석했다. 이로써 향후 검사 도구 개발과 개선 과정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제공하고, 타당한 검사 도구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했다. 연구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한 국내 과학 교육 연구 88편의 현황과 이들이 참고한 국내 외 원도구 57건의 현황을 분석했다. 그 후 원도구가 개정되었던 사례 5건의 특징과 구체적 문항 수정 사례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국내 연구 현황에서는 지속적으로 나타난 주제와 최근에 출현하기 시작한 주제, 연구 목적과 평가 방법에 따른 연구 상황, 원도구 활용 현황 등이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연구의 원도구 중 개정 과정이 공개된 5건의 검사 도구인 TOSRA, SAI, PISA 문항, STEBI-A/B, SMQ 등에 대해 개정 배경과 주요 사항을 분석했다. 개정 전후의 문항이 공개된 4개의 검사 문항을 비교해서 문항의 변천 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문항 개선은 하위 구인의 변화에 따른 신설과 삭제, 가독성 향상, 의미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여러 구인이 혼재된 검사 도구에서 얻은 결과 해석상 유의점, 연구의 지평을 넓혀주는 검사 도구의 가능성, 주관적 자기 보고에서 나타나는 오차 인식, 타학문에서 유래한 검사 도구를 과학과에 적용시킬 때 유의할 점 등을 제안했다.